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

미니 S23FE의 2200 탑재가 약간 아리까리하다 생각하는건

일단 요즘 핫이슈인 S24 엑시노스 설은 일단 너무 먼 이야기이기도 하니 잠시 접어두고

앞으로 나올 삼성폰 중에 가장 가까울 듯하면서도 미코인 입장에서 나름 재미있는 이슈인

S23FE의 AP에 대하여 생각해보자면 개인적으로 2200 탑재설이 약간 아리까리 합니다

 

2200이 들어간다는거 자체는 이해가 안가는게 아닙니다.  S23본가의 후기형이긴 하지만

너무나도 비싼 스냅 8Gen2가 못 들어간다는거는 납득가능하고 그럼 전세대 AP를 넣을만

하며 특히 루머처럼 그간 S 노멀과 큰 차이가 없어 무존재감이었던 기존 FE모델과 달리

S20처럼 차이가 날 것이다란 루머를 생각해보면 그만큼 원가를 낮춰야 하고 그러기에는

1380같은 A시리즈용을 넣기엔 모양빠지니 전세대 플래그쉽 AP넣는건 이해할 만합니다

가격차 만큼 적당히 성능차도 날것이고 전세대 플래그쉽이니 S.LSI 입장에서도 위신도

살 것이고 동세대 스냅보다 아래라는 인식도 약간이나마 희석시킬 수 있을테니까요

 

다만 과연 폭망했고 카더라로는 이미 버린 공정이라 5LPE와 달리 수율개선도 없으며

심지어 이미 단종때려서 샷다 내렸다는 이야기도 도는 4LPE 기반 2200이 과연 S23FE의

물량을 커버칠 만큼 충분히 모을 수 있었는가는 잘 모르겠습니다

포지션만 잘 잡아도 1000만대 이상은 팔 수 있을걸로 예상되는데 그 극악의 수율의 4LPE

2200이 물량을 버틸 수 있나 하는 의문입니다. S22시절 물량 부족으로 갤갤거리던 애인데

말이죠 작년부터 영끌해서 모았을까요?

 

SF4로 재설계 했다면(8+Gen1 사례처럼) 모르겠으나 다른 분들 의견은 부정적인거 같습니다

뭐 재설계 한다치더라도 스펙 바뀌는경우는 없을거라 생각하고 전성비와 물량 이슈만 해결되지

싶습니다만 그런거 없다하니..

 

이럴바엔 그냥 2100을 넣는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도 했습니다.  1330, 1380 사례를 보면

5LPE가 나름 정상화 스럽게 돌아간다는거 보면 그 중 양품만 뽑은 2100이면 충분한 성능이라

보거든요.  물론 그러면 2200의 RDNA대신 말리를 다시 가지고 놀아야 하니 별 재미는 없겠습니다만..

 

요약

 

1. 이미 단종되었다는 4LPE 기반인 2200이 과연 물량을 커버 칠 수 있을 것인가

2. SF4로 재설계를 했으면 모를까 그것도 아니라 하니 여전히 의문 상태

3. 차라리 2100 신버전이 더 현실적이지 않을까

댓글
14
흡혈귀왕
1등 흡혈귀왕
2023.04.18. 11:55

어느 선생님이 이미 힌트를 주셨습니다.

파운드리랑 S.LSI 매출 견인을 위해서일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흡혈귀왕 님께
2023.04.18. 11:59

저도 처음에 2200 넣는다 했을때 아~ 이거는 S23에 못들어가 서운(?)했을법한 S.LSI와 삼파를 위한 떡밥이겠다 싶었는데 4LPE 그대로 버전인거 넣는다 하니 앵? 그간 수율안나와 개고생했던 2200인데 심지어 여전히 수율 안나오고 개선도 없이 그냥 단종때린건데 2200 물량이 되려나? 싶었습니다

 

뭐 어찌 되니까 넣기야 넣었을거라 봅니다만 S22 사례처럼 물량 안나오는거 뿔딱도 넣어서 어찌저찌 넣었다면 S23FE도 좀 복불복 탈려나 모르겠습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Section31 흡혈귀왕 님께
2023.04.18. 12:16

사실 4LPE 공정에서 개선된 게 4LPP/4LPP+라고 하면

이전에 저도 S23 FE에 2200 탑재라면 개선된 버전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변경점이 없는 4LPE 공정 생산 2200이라 하여 좀 아쉬운 느낌이 들었었습니다.

 

물론 지금 삼파 입장에서는 4LPP를 텐서 G3에, 4LPP+를 엑시노스 2400에

전부 다 쏟아부을 것 같으므로 여력이 모자라 어쩔 수 없겠지만...

 

최소한 5LPE처럼 (1280 vs 1330 과 같이) 개선된(?) 모습이 보였으면 했던지라...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Section31 님께
2023.04.18. 12:23

사실 아쉽다면 아쉬운거고 SF4로 재설계 해도 8+Gen1처럼 스펙변경 했을거냐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그럼 매니아 입장에선 SF4로 간 이유가 딱히 와닿지 않겠지만요) 결국 쓰는 입장인 삼성이 계산기 두들겨보고 이게 이득이다 하니 넣은거라 봅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크리모
2등 스크리모
2023.04.18. 11:58

수율 향상이 없을리가 없죠 5LPE 4LPE 공정이 본질적으로 완전히 다른게 아니니까요

[스크리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스크리모 님께
2023.04.18. 12:01

제가 알기로는 4LPE는 기존 7LPP 기반인 5LPE와 달리 새로운 공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5LPE와 달리 이미 단종할 예정이라 딱히 개선 없었을거라 하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3.04.18. 12:07

이 글을 보고 생각난건데

RDNA를 어찌됐건 제도권으로 올려놓기 위한 초석다지기의 일환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긴 해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나르자 님께
2023.04.18. 12:11

일설에는 AMD와 계약으로 일정 수 이상의 RDNA 탑재 제품이 있어야 한다는 카더라도 있었습니다만.. 사실 삼성입장에서도 말리보단 RDNA 넣는게 이득이라면 이득일 것이고 매니아 입장에서도 그게 더 재미있긴 할겁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림
미림
2023.04.18. 12:12

정말로 2200이 양산된다면 저도 글쓰신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정말 10% 대의 수율이었다면 양산진행을 했을까요?

 

양산이란게 공정설계도 중요하지만 장비나 공정 노하우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60% 까진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수율이 올라오지 않았을까요?

[미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미림 님께
2023.04.18. 12:16

그래서 처음엔 8+Gen1처럼 SF4로 재설계 하나 했습니다

근데 그런거 아니라 하는 이야기가 있으니

 

생각한게 4LPE가 수율이 올랐나 했는데 어차피 단종시킬거라 수율개선 없을거란 이야기도 있고 그래서 단종시킬건데 왜 4LPE의 2200이 들어가지 했습니다

 

아님 22년도부터 들어갈거 계약하고 영끌해서 지금까지 저수율로 생산해 모으고 있나 싶었죠 ㅎㅎ

근데 그럴바엔 재설계해서 더 고수율인 SF4로 찍는게 더 이득이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아님 알려진것과 달리 4LPE 아직 단종안되었고 또한 수율도 개선되었을 수도 있다봅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2023.04.18. 12:12

재설계 했는지 아닌지는 아직 나온게 없습니다. 그리고 선단 공정 가동율과 아마 드라이버 안정화등 rdna코어 생산 정보 축적등의 테스트를 위해 진행하는것으로 보입니다.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NeoSeven 님께
2023.04.18. 12:18

사실 어디까지나 카더라일 뿐이죠 ㅎㅎ 오피셜로 따지면 애초에 S23FE 내놓는다는 오피셜도 없으니...

 

제 상상으로는 최선의 결과가 SF4로 재설계된 2200이고 최악의 결과가 S22시절 그 2200 그대로 그 중에서도 재수없으면 걸리는 뿔딱 그놈... 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2023.04.18. 12:16

4nm 수율 잡았다니까 물량은 찍으면 확보되는거고, 수율 낮아도 웨이퍼 투입 늘리면 그만입니다.

저수율이면 보통 팔아도 손해겠지만 그건 계약 조건 정하기 나름이니 알아서 하겠지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스트리아산캥거루
글쓴이
오스트리아산캥거루 gamma 님께
2023.04.18. 12:21

내심 여전히 수율 잡았다는 SF4로 재설계 했으면 어떨까 했습니다.  그게 저수율에 웨이퍼 떄려박아 물량 내놓는거보다 이득이지 않을까 싶은데...

 

결국 저리 내놓는다면 그건 삼성이 알아서 계산기 두들기고 내놓은 결과이고 매니아 입장에서 아쉽다뿐이지 계산기 두들기는건 삼성이 잘하는 것 중 하나라 뭐 사실 할말이 있진 않아요 ㅎㅎ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36 13
핫글 미니 여러분 기계의 GPS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28] 내맘대로 24.06.24 1659 22
핫글 미니 이번 GPS 이슈같은 '뽑기'식의 문제가... [8] Daylight 24.06.24 786 21
핫글 미니 GPS 이슈는 안전 문제이기도 합니다. [5] file clever 24.06.24 761 16
192063 미니 오호 역시 미코분들은 기기박사이시군요 [3] file asdf 19.03.02 239 0
192062 미니 푸리즘화이트는 걍보면 희미한 하늘색같이 보이네요 [3] file 난민 19.03.02 239 0
192061 미니 얼마전 모델 S 화재 사망사고 관련해서 테슬라측 대변인 가라사대 [6] RuBisCO 19.03.02 239 0
192060 미니 갤럭시 10 세라믹 화이트 질문요 [3] 비앙키 19.03.03 239 0
192059 미니 엣지패널+원핸드 추천위치 file 바고부 19.03.04 239 0
192058 미니 삼성의 자율주행 기술 [5] qazsdf 19.03.04 239 0
192057 미니 S10+ 엣지패널 위에가 카메라부분을 넘는군요 [2] 존버합니다 19.03.04 239 0
192056 미니 디프에서 구매한 것도 SKT특별보상 되는거 같네요 [3] file 바고부 19.03.06 239 0
192055 미니 갤럭시 s10+ 지문 인식 테스트 결과 Ophelia 19.03.09 239 0
192054 미니 저도 버즈 받았습니다. [4] file 슈피리어 19.03.12 239 0
192053 미니 허 버즈 크레들 충전이 안되는 것 같은데 [3] 오뚜기 19.03.15 239 0
192052 미니 미게분들 선택장애를 구제해주십셔 [29] 기기덕후 19.03.16 239 0
192051 미니 암당도 ePOP으로 죄다 쌓아올릴려나 보군요. [1] file 갤러리별 19.03.19 239 0
192050 미니 삼성 모바일 중국 시장 점유율 상승 [8] 다잊어야해욥 19.03.19 239 0
192049 미니 s10+ 기본필름 지문인식 [1] bbjjgg 19.03.22 239 0
192048 미니 버즈사용자분들, 주변소리 킬 시 유닛에서 모터소리 [9] asdf 19.03.23 239 0
192047 미니 정력왕 미코형님들이볼때 이래나오면 다들 흐뭇해하실듯? 노트10 [3] 우주정력황제갤럭시엠 19.03.29 239 0
192046 미니 IDC ; 1분기 스마트폰ODM 주문급감 [2] file 갤러리별 19.03.30 239 0
192045 미니 아 갑자기 NR폰 뽐 옵니다 [3] Div.A 19.04.01 239 0
192044 미니 아직까지는 웨일이 메인 브라우저로 편한 상태이군요. [4] file VentAzure 19.04.09 239 0
192043 미니 노트10이 좋게나오면 더 좋은거 아닐까요? [17] 범죄자호날두 19.04.12 239 0
192042 미니 갤십E 사고싶어여 [2]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04.17 239 0
192041 미니 폴드 이건 그대로 팔겠다고 나오면 더 망하겠는데요 [4] 존버합니다 19.04.18 239 0
192040 미니 12.2인치 이상급 태블릿은 낼 생각 없나봐요... [8] 파네리스티 19.04.23 239 0
192039 미니 찌라시)애플 인텔 모뎀사업부 인수? [3] 다잊어야해욥 19.04.27 239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