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2400의 빅코어 클럭은 어디까지 올려야 할까요.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어제 , MappleGold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Cortex-X4가 가져온 효율성(?)을 고려하면 표준형 스냅드래곤 8 Gen 3의 Cortex-X4 클럭은 스냅드래곤 8 Gen 2 for Galaxy의 Cortex-X3 클럭인 3.36 GHz를 넘어야 한다."

 

 

** 이하 여기서부터는 허구의 시나리오로서(Fictional scenario), 실 제품이 나올 때는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스냅드래곤 8 Gen 3의 클럭에 대해서는 MappleGold의 말에 따르면 웨이보에서 조만간 나올 것 같으므로 기다리자고 했으니, 새로운 정보가 나오면 다시 확인해보죠.

 

이로 미루어볼 때, 대충 표준형은 3.40(±0.02) GHz, 갤럭시형은 3.45(±0.02) GHz 정도로 잡는다고 치면,

(3.5 GHz 이상은 터무니없이 높다고 생각해서 일단 패스했습니다.)

 

다시 엑시노스 2400의 널리 알려진 타깃 클럭을 가져와보겠습니다.

 

1) 빅코어 : Cortex-X4 MP1 3.1 GHz

2) 미들-H : Cortex-A720 MP2 2.9 GHz

3) 미들-L : Cortex-A720 MP3 2.6 GHz

4) 리틀 : Cortex-A520 MP4 1.8 GHz

 

이제 빅코어 클럭을 좀 더 올려야만 열세를 좁힐 수 있다는 것은 거의 자명해집니다. 그렇다면 보통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는(?) S.LSI의 역량과, 현재 4LPP+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얼마까지 올릴 수 있을까요.

 

1) 만약 3.20 ~ 3.25 GHz 구간일 경우 : 싱글코어 대략 7.8% ~ 6.1% 열세

2) 만약 3.25 ~ 3.30 GHz 구간일 경우 : 싱글코어 대략 6.1% ~ 4.5% 열세

 

 

멀티코어는 스냅드래곤 8 Gen 3의 클럭값을 여전히 알 수 없어서 지금 시점에서는 비교할 수가 없습니다...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17
MiKor82
1등 MiKor82
2023.05.05. 11:17

멀티는 2400이 앞설 것 같은데 싱글은 글쎄요. LSI보다 삼파 역량이 중요할 것 같네요.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MiKor82 님께
2023.05.05. 11:24

그런데 양산취소된 엑시노스 2300이 빅코어 3.07 GHz인데

(같은 공정 타깃으로 설계한 것임에도) 텐서 G3가 3.3 GHz인 걸 생각해보면...

 

LSI역량도 삼파역량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MiKor82 Section31 님께
2023.05.05. 11:37

텐서는 고클럭 전략인데 이게 그냥 피크성능만 뽑는거고 유지율이나 실성능은 항상 개박살이었죠. 2200보면 아시겠지만 9810 이후로 LSI는 차력쇼보단 안정적인걸 더 중요시하는 것 같습니다.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MiKor82 님께
2023.05.05. 11:41

근데 만약 3.1 vs 3.45(허구의 시나리오이지만)라면 10% 차이인데

이러면 싱글코어를 집중 사용하는 어플에서는 성능 체감이 꽤 크지 않을까요.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MiKor82 Section31 님께
2023.05.05. 11:44

그을쎄요. 당장 23U랑 14프로 실사용에서 큰 차이를 못 느끼는 중이라서요. 0.n초 정도 더 빠르게 돌아가겠죠? 배터리 줄어드는게 체감이 더 클 것 같네요.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MiKor82 님께
2023.05.05. 11:46

근데 또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들에도 집중하는지라...(특히 벤치마크 수치 등등)

클럭을 올리면서도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게 중요해보입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MiKor82 Section31 님께
2023.05.05. 11:48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커스텀을 다시 해야죠...ㅠㅠ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MiKor82 님께
2023.05.05. 12:04

이게 유니티 엔진 게임에선 잡시스템 같은걸로

쓰레드 배분 해주지않으면 결국 싱글 좋은게

퍼포먼스가 좋더군요 ㅠㅠ

 

싱글 쓰레드 성능이 필요한 상황이

시나리오상 분명 있긴해서 가능하면 10% 차이는

없게하는게 좋을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MiKor82 흡혈귀왕 님께
2023.05.05. 12:08

아 제가 게임을 안 해서 그부분까지 미처 고려를 못 했네요.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MiKor82 님께
2023.05.05. 12:10

일반 상황에선

멀티 쓰레드 성능이랑 낸드 성능이 더 체감되는것도

사실이긴합니다 ㅎㅎ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흡혈귀왕 님께
2023.05.05. 12:08

한 6~7% 정도로 좁히면 그나마 나을 것 같고, 5% 정도로 하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크흠...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2등 NeoSeven
2023.05.05. 11:19

빅코서 싱글은 벤치용이라고 봐서 사실 소비전력 생각안하고 스냅처럼 클럭 땡길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대신 클럭을 땡길만한 수율이 나오려면 공정성능이 중요 할꺼 같습니다.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5.05. 11:24

공정성능도 공정성능이지만 설계가 안 좋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파운드리 만큼이나 설계도 중요하기에 말이죠.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Section31 님께
2023.05.05. 11:26

G3클럭을보면 충분히 클럭을 올릴수 있다고 봅니다. G3루머가 맞다면 말이죠.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5.05. 11:32

이제 그러려면 LSI와 삼파 둘 다의 역량에 달리게 되는 것이라 봅니다.

LSI는 설계역량, 삼파는 전체적인 퍼포먼스 역량...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3등 흡혈귀왕
2023.05.05. 12:05

S.LSI의 권장 스펙은 빅코어 3.1GHz라 치고

 

MX 자체적으로 빅코어 3.3GHz 정도로 올리는건

생각해볼수도 있을거같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흡혈귀왕 님께
2023.05.05. 12:10

한 3.2~3.3 구간 내 어딘가가 적절할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이러려면 또 파운드리의 역할이...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55 13
핫글 미니 버즈3 프로, 워치 울트라가 벤츠 출신 디자이너 첫 제품이라네요. [36] updatefile Stellist 24.06.25 1478 25
핫글 미니 스마트태그2 업데이트 [12] updatefile a1001 24.06.25 889 12
핫글 미니 이거 왜이렇게 정자같나요 [9] file Pepsi베어 24.06.25 1007 9
191401 미니 엑스페리아 1 V 카메라 화질 간단 느낌 [8] file S.R 23.05.12 1466 13
191400 미니 아이폰 13프로 vs 14프로 [23] 하이브 23.05.12 1149 1
191399 미니 루머)갤럭시 신형 테블릿 5종 및 폴드 테블릿 관련 [8] 노다 23.05.12 1719 10
191398 미니 엑페 V가 P60pro와 동일센서군요. 그렇다면.. [2] file S.R 23.05.12 424 1
191397 미니 픽셀 폴드와 가까워보이는 녀석 [10] file 개구리 23.05.12 1107 8
191396 미니 암만 생각해도 폴드는 걍 지금 비율이 답인듯합니다. [12] 흡혈귀왕 23.05.12 1091 5
191395 미니 배민 애플페이 결제 되시나오? [1] file ProjectZer0 23.05.12 391 0
191394 미니 픽셀폴드 평면으로 안펴지는 이슈 [11] file 갠냑시 23.05.12 1112 6
191393 미니 선생님들 폴드 비율 이런식으로 해결하면 어떨까요??? [5] file soboru 23.05.12 569 2
191392 미니 이번 하반기 언팩 역대급으로 기대가 되네요 [7] file 오레오가좋아 23.05.12 944 4
191391 미니 美 22일간 누빈 이재용, 엔비디아 CEO 등 20명 잇따라 만났다 [4] file 갠냑시 23.05.12 773 8
191390 미니 폴더블 비율로 말이 많네요 (삼성 폴드3 &오포 파인드N 비교 샷) [12] file 베이어 23.05.12 1026 1
191389 미니 벌뮤다 스마트폰 사업 철수 한답니다 [12] file 갠냑시 23.05.12 1377 20
191388 미니 잡담: 그러고보니 궁금해지는 게.... (오포 AP 관련) [2] Section31 23.05.12 322 1
191387 미니 루머: 중화권 '자체 칩' 개발 관련 [3] Section31 23.05.12 790 1
191386 미니 S23 울트라에서도 버벅임이 꽤 자주 느껴지네요. [26] 적당히하자 23.05.12 2508 7
191385 미니 개인적으로 바라는 폴더블 비율 [30] file 흡혈귀왕 23.05.12 942 6
191384 미니 짐벌삿슈 file 닉포토 23.05.12 262 0
191383 미니 아이소셀이 내년부터 경쟁력이 약간 떨어질 수도 있을거같네요 [3] 흡혈귀왕 23.05.12 961 2
191382 미니 다행히도 네이버가 검색을 개약했던걸 복구했네요. [1] microLED 23.05.12 689 0
191381 미니 랜드스케이프형 폴더블폰들이 국내 정발 되는 게 베스트겠죠 [13] 즐거운시간되세요 23.05.12 717 4
191380 미니 삼파는 삽질 중이어도 아이소셀은 갈 길 잘 가는 것 같습니다. MiKor82 23.05.12 523 0
191379 미니 휴대폰사 자체칩 개발은 [2] 윤이 23.05.12 601 0
191378 미니 폴더블 화면 비율 논쟁은 삼성이 두 버전으로 만들어주기 전엔 안 끝날듯요 [8] Niflheimr 23.05.12 690 4
191377 미니 갤북 키보드 진짜... [2] Kanata 23.05.12 613 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