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아 그리고 마이크론 저것들은 tsmc보다 더 큰일날수도 있습니다.

  • 바보중
  • 조회 수 1281
  • 2023.05.18. 20:08

1µ(10나노 6세대)에서 euv를 쓴다고 작년에 말하더니 이젠 1µ때도 안쓴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더라고요?

3d적층 d램으로 승부보려고 그런거일텐데 적층이고 나발이고 결국 euv를 필요로 할때가 올텐데

그땐 어떻게 하려고 쌍 마이웨이로 가는건지.

 

tsmc도 gaa 한번 늦췄다가 3nm에서 온갖 피똥을 싸고 있는중인데

저것들은 저 선택이 사실이라는 가정하에그대로 2군으로 밀려날수도..... 

댓글
11
Antares
1등 Antares
2023.05.18. 20:21

아무리 빨라도 3D 디램 만들려면 표준도 만들어야하고 장비개발도 해야하고 
그거 기반으로 공정 만들고 하면 2030년 넘는거로 다들 말하던데
그사이 땜빵 어찌하려는지 모르긴함니다 당장 핫한 HBM 준비도 하나 안되어 있는거도 그렇고
약간 당장 격차 좁히는걸 위해 미래 팔아먹는 느낌..? 덕분에 겉으로 보이는 '초격차'많이 줄기는 했죠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가로쓰기
2023.05.18. 20:32

디램이랑 파운드리 공정을 같은 선상에서 보시면 안 됩니다.

디램/플래시는 규격 맞춘 최소한의 성능을 최대한 싸게 만드는게 최고 미덕인 시장이라 선제적으로 신기술 도입했다고 꼭 앞서나갔다거나 잘하고있다는 지표는 안 됩니다.

오히려 고성능 하겠다고 투자 잘못해서 가격 경쟁력 잃어서 오는 리스크가 훨씬 더 큽니다.

[가로쓰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0:3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0:58

EUV 전환 자체가 어렵고 그 과정에서 많은 원가 상승이든 수율하락등등이 필연적인데
성공했을때 파운드리 뿐 아니라 선단 디램공정에서도 생산성과 품질의 차이는 절대적입니다
현상태로 2020년대 안에 무조건 디램 3사가 EUV 전환을 해야한다는 게 확실한 상황에서
EUV 전환을 혼자만 미적대는게 훨씬 위험한 선택이라고 생각하네요..
지금이야 삼성이 EUV 신기할 정도로 헤메서 초격차많이 상실했지만
25년 이후 마이크론이 EUV 도입하면 삼성 했던 뻘짓 반만해도 꽤 볼만할껍니다
하이퍼스케일마냥 비현실적으로 앞서나가는 목표도 문제지만 뒤쳐지는건 더 문제입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1:02

EUV를 쓰는게 애초에 장기적으로 가면 성능과 원가경쟁력을 위해서죠.

멀티패터닝을 계속 해야하는데 그게 원가에 좋을리가 없잖아요?

특히나 갈수록 미세화되면서 생기는 누수전력에도요.

 

tsmc도 n7,n7p까지만 arfi를 쓴거지 n5부터 쓰는거봐요

 

메모리 삼사중 마이크론만 유독 미적거리는겁니다.

삼성은 1z시절에, 하이닉스는 1a시절에 euv를 적용했어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1:02

향후 공정 미세화하려면 dram도 EUV 필수입니다.

dram 양산 수율은 기본 80% 중반 먹고 그 이상을 타겟으로 하기때문에 수율 경쟁이란건 있을 수 없고, 그래서 공정 미세화없이 싸게 만든다는건 망상입니다.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쓰기 gamma 님께
2023.05.18. 21:14

디램에 EUV가 앞으로도 필요없다고 하는게 아니고... 당장 눈앞에 어느회사가 디램공정에 EUV를 쓰네 마네 하는게 잘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직접적인 지표가 아니란 얘깁니다. 

그 순간에 마이크론이 EUV를 안했다고 해서 삼성한테 도저히 못 따라잡힐만큼 밀린 것도 아니고 반대도 아니란 거고요.

 

공정 미세화 얘기도 꺼내셨는데 역시 디램이나 플래시에서 게이트 길이 50나노 30나노 이하로 줄인다고 당장 엄청나게 가격이 내려가는 것도 아니고요. 

 

만약 EUV 없이 JEDEC든 PCI-SIG든 특정 세대 규격에만 잘 맞춰서 내놨다면 마이크론이 단기적으론 훨씬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보는 거죠.

 

디램/플래시 사업을 파운드리처럼 보면 안 된다는건 애초에 디램/플래시 작업 방식 자체가 파운드리하고 완전히 다르고 회로 복잡도나 요구되는 속도/레이턴시 면에서 아예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거지 반도체 기술발전을 디램플래시는 멈춰도 된단 얘기가 아닙니다. 

 

어차피 외부인 입장에서 보면 나오는건 보도자료랑 언론밖에 없으니 삼성이 10나노대에서 12나노까지 쓰고 마이크론이 몇나노까지 쓰고 하는 요소가 파운드리의 나노수 경쟁과 대비돼서 같은 맥락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실제로 디램/플래시와 파운드리는 굴러가는 철학이나 경영방침도 다르고 목적도 다른데 같은선상에서 봐서는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가로쓰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1:40

사실 이게 당장 빨리 빨리 하는게 지금 당장의 "눈에 보이는" 격차도 줄이고 참 좋아보이지만
남들 차근 차근 1레이어로 시작한걸 한번에 5레이어로 넘어간다는 대담한 전략이 통할꺼냐는게 문제인거죠
그리고 마이크론 선단 공정 비중도 높고 양산시점도 빠른데 정작 나오는 가장 중요한 수치인
영익률 보면 비상식적인 결과가 나오죠 D램에서 선단 공정=원가절감 인게 정상인데
내부적으로 마스크 수도 삼성 보다 많다고 하던데 이렇듯 외부에 보이지 않는 격차도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제조 노하우를 안쌓고 바로 시행착오 없이 간다? 저는 회의적입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가로쓰기 님께
2023.05.18. 21:50

차후 세대 규격 자체를 euv없이 따라갈수가 있을까 싶은데요? 

 

마이크론 지들조차 1µ에선 euv적용한다고 했다가 취소한다는 루머가 나오는걸 보면

필요없어서 가 아니라 재정압박 문제 같은데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3등 MiKor82
2023.05.18. 21:10

저한테는 약간의 꿈의 그래픕니다 ㅋㅋ 예전부터 메모리 3사 구도가 맘에 안들고 국수주의에 찌든 마인드에서 하닉빼고 삼성이 다 죽였으면하는 마음이 컸어서 ㅋㅋㅋㅋ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MiKor82 님께
2023.05.18. 21:35

저도 삼성과 하이닉스 둘이 과점하는 모습을 보고싶으면서도

한편으론 그럼 아주 똥배짱 장사를 할거같아서 계속 치고박고 싸웠음 하기도 하고....

복잡하네요 ㅋㅋㅋㅋㅋ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481 13
핫글 미니 갤럭시 폰카 제가 느끼는 단점 [21] BarryWhite 24.06.23 1121 22
핫글 미니 M4아이패드 프로 후기 [7] file 미니기기발 24.06.23 500 18
핫글 미니 비판을 하지 말라는 건 물론 절대 아니지만요 [2] RacingMiku 24.06.23 334 15
198948 미니 중국애들 상도덕 없는건 알았지만 이건 진짜 골때리네요. [9] file RuBisCO 20.07.26 1285 0
198947 미니 폴드 2,노트20 등등 포스터 유출 [32] file Thomasp5675 20.07.20 1285 4
198946 미니 아이패드냐 갤탭이냐 묻는다면 전 갤탭입니다. [18] 코르크샌들 20.05.02 1285 2
198945 미니 도대체 아이폰에 스플릿뷰는 언제 넣어주는 거임.. [11] 뚜시뚜시 20.03.02 1285 0
198944 미니 소식: 파운드리 톱3 = TSMC, 삼성, SMIC [7] Section31 24.05.26 1284 1
198943 미니 유튜브 프리미엄 게임패스 혜택 빨리 사용하세요 [6] file MrGom™ 24.04.01 1284 3
198942 미니 S23 울트라 변기에 빠뜨린 거 바로 서비스센터 방문했습니다 [27] Mate 24.02.23 1284 9
198941 미니 잡담: '삼파 3nm 수율 0% 기사' 삭제크리 [6] Section31 24.02.03 1284 6
198940 미니 엑시1480 긱벤치6 상당히 좋네요 [6] file 흡혈귀왕 24.01.05 1284 3
198939 미니 여러분이 폴드를 사야하는 이유 [9] file ONNURI 23.12.14 1284 8
198938 미니 퀄컴이 중국쪽에 SD8G3기기를 뿌린건... [10] file 좌지우건 23.10.21 1284 5
198937 미니 올해는 인기가 좀 식은건가요... [12] file trigun 23.10.06 1284 5
198936 미니 A17 pro가 불판이라고요? 저는 걱정안되네요. [8] file SultanateofRum 23.09.20 1284 13
198935 미니 사실 GPU만큼 빡쌘 분야가 모뎀이죠... [14] 흡혈귀왕 23.09.11 1284 9
198934 미니 삼성이 지금 흡수하고 있는 인력이 [4] Antares 23.05.17 1284 0
198933 미니 삼성 SF2, SF2P, SF1.4 정보 좌지우건 23.03.27 1284 4
198932 미니 갤북3프로 왔슈 [21] file LG산흑우 23.02.20 1284 25
198931 미니 잡담: 구글 텐서에 RDNA GPU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8] Section31 23.02.15 1284 2
198930 미니 정말로 "요즘 아이들"은 PC가 어색한가요? [20] 하루살이 22.10.27 1284 2
198929 미니 어이털리네요. [14] file 요기조기 22.10.25 1284 16
198928 미니 제가 갤럭시를 사고 싶은이유, 아이폰을 유지하고 싶은 이유 [15] 요기조기 22.07.24 1284 4
198927 미니 삼성이 폴더블 라인업에 더 공격적으로 나올수 있는 이유는 [2] Aimer 22.06.02 1284 1
198926 미니 이 사진은 정말 마법의 사진인거 같슴다 [7] file Angry 22.05.31 1284 5
198925 미니 그러고보니 이제 순수하게 디멘9000 vs 스냅8G1 성능비교가 가능해졌네요? [7] Stellist 22.04.26 1284 2
198924 미니 갤럭시 뿔딱 걸렸습니다...... [17] file 수줍은킹콩 22.03.22 1284 3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