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갠냑시

미니 확실한건 삼성은 2nm에 공밀레를 엄청 하는 느낌입니다.

  • 갠냑시
  • 조회 수 1553
  • 2023.07.19. 19:13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길 기대합니다.. 뭔가 2nm에서 엄청 자신감이 넘처 보이더라고요..

 

아 그리고 삼성파운드리  뭔가 로드맵 수정이 조금 있을것도 같습니다.

댓글
28
Antares
1등 Antares
2023.07.19. 19:20

제발 tsmc가 gaa에서 헤매길 바랍니다 ㅋㅋ

로드맵 변경은 시기의 변동인가요 아니면 공정의 추가 혹은 삭제인가요?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best 흡혈귀왕 Antares 님께
2023.07.19. 19:22

최근 발표보면 특정 공정 언급이 없어졌죠

그게 없어졌으니 뭔가 앞으로 땡겨지겠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흡혈귀왕 님께
2023.07.19. 19:30

오호...?!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흡혈귀왕 님께
2023.07.19. 20:54

SF3P가 사라지고 SF2가?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OSN
GOSN 흡혈귀왕 님께
2023.07.19. 22:51

자의보다는 타의에 의해.... ㅠ

[GOS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GOSN 님께
2023.07.19. 23:23

모 고객님이 그거 안쓰고 상위쓸거라 하셔서 없어졌죠 ㅋ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2등 xclear
2023.07.19. 20:38

핀펫으로 타사gaa보다 높은밀도구현하는 업체인데
gaa에서 말아먹을까라고생각하면 부정적입니다..
7nm떄와 똑같을거같은..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xclear 님께
2023.07.19. 20:46

사실 전혀 다른 느낌이에요.. 어찌되었던 GAA공정으로 가면 각종 이슈들 다 겪으면서.. 가야하니까요.

TSMC가 과거.. 삼성보다 공정수율등 기술력에서 밀리던때도 있지만.. 지금은 아닌것처럼요.

 

물론 TSMC가 유리합니다.. 공정이 구렸을때도 파운드리 시장에서 압도적1위였거든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best xclear 갠냑시 님께
2023.07.19. 21:06

삼성이 어렵다고 tsmc도 똑같이 어려울거라는 보장이없습니다..
누군가에겐 다른난이도일수있습니다..
tsmc가 하는행동자체가 자신감의 근거로 보이고요
삼성이 3nm때부턴 핀펫으로 못한다라고했는데
tsmc는 아닌데?난되는데??라고 말하면서 증명해내는거보면...
과연 gaa가 tsmc에게도 어려울까는...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xclear 님께
2023.07.19. 21:25

아직.. tsmc 3나노는 증명되지 못했습니다 a17이 나와야 뭐라도 분석이 가능한 거죠
오히려 공개된 자료만 보면 창사 이래 최초로 ppa 너프 먹인 생산성 개선 버전을 빠르게 공개한지 2년 가까이 되었고 일정 지연은 말하면 입아플 정도로 여러번 반복 되었죠 나오는 소식도 아직 공정 수율 안정화랑은 거리가 있어 보이고요
tsmc가 4나노 이전까지 절대적 우위에 있는건 별개로 3나노는 삼성의 그것과 동일할 정도로 아직 아무것도 외부에 실물로서 보여준게 없습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OSN
GOSN xclear 님께
2023.07.19. 23:08

공감합니다. N2 progress 보면 크게 문제 없는 것 처럼 보여요... 애초에 N3는 좀 무리한 target 이었던 것으로 보이구요. N3E는 이제 대형 고객들 TO 앞두고있으니 소식이 더 많이 들리겠네요 곧

[GOS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xclear 님께
2023.07.20. 09:57

아주 근거가 없다고 보긴 어려운게, TSMC 공정 PPA 예상 발표는 하락하고, 삼성 쪽은 상승한 상태라 서로 아무 근거없이 그렇게하고있다고 생각하긴 어려워요. TSMC에서 EUV 적응이 쉽지않아서 자꾸 변경되는 사항들도 있고.. 세밀한 포인트는 알 수 없겠지만 구경할만 하지않을까? 싶네요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갠냑시 님께
2023.07.19. 21:19

삼성말이 신뢰도를 얻으려면
진짜 tsmc가 핀펫으로 3나노 양산에 실패했어야합니다.
근데 멀쩡히 잘하고있죠..

그런데 여기서 더 gaa진짜 어려운기술이라니까 tsmc도 어려울걸?이라고말하면
이걸 믿는게 맞는건지...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OSN
GOSN xclear 님께
2023.07.19. 23:11

이미 7나노때 못할걸? 했다가 당해봤으니까요. 삼성도 tsmc는 목표대로 다 달성할거라 생각하고 경쟁을 준비하는 게 현명하겠네요. 

[GOS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xclear 님께
2023.07.19. 21:21

28nm 때 GPU 물량 부족 원인이 TSMC였다는거 잊으면 안 됩니다.

삼성도 14nm~8nm 나름 잘 나갈 때만해도 이렇게 헤맬줄 몰랐고요.

영원한거 없습니다.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gamma 님께
2023.07.19. 21:27

영원한거 없죠
근데 보통 산업에서 2등이 못한다,안된다라고 말하면 1등이 하는말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는게 사실이고 그 말이 맞을확률이 낮은게 사실이죠.

메모리만봐도 차세대메모리 선정에 마이크론,하이닉스말보다 삼성말이 더 신뢰도를 얻는거랑 똑같은겁니다.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xclear 님께
2023.07.19. 21:24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xclear 님께
2023.07.19. 21:45

근데 보통 새로운 트렌지스터 구조의 도입은 상대적으로 밀도보단 성능 전력쪽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그 인텔이 22nm때도 tsmc 삼성이랑 밀도는 비슷하거나 뒤졌는데 성능이 우수했잖아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MaxPax 님께
2023.07.19. 21:52

그 새로운구조를 도입하는 목표가 트렌지스터집적이후로 지금까지 수십년동안 최우선으로 밀도의 향상을 노렸던거죠..성능전력도 부가적으로 같이 따라오는거였고요
근데 2nm때부턴 기존방식으론 밀도향상이 거의 불가능하니 성능,전력감소쪽으로만 노릴수밖에 없는상황입니다.
그래서 패키징이 뜨는거고요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xclear 님께
2023.07.19. 22:02

그러니깐 어... 트렌지스터 집적도를 열등한 형태의 공정으로 향상시키면 전력 특성이 너무 박살나서 전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를 도입하는거로 알아요. 실제로 tsmc 20nm가 밀도는 인텔 22nm 핀펫보다 좋았지만 PP에서 밀려서 성공적인 공정으로 보기는 어려웠잖아요. 삼성 SF3랑 N3랑 비교해서 밀도는 N3가 앞서지만 성능같은건 SF3가 앞선다고 하고... PP랑 A는 또 trade off 관계니깐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MaxPax 님께
2023.07.19. 22:03

트레이드오프관계에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밀도를 선택한다는게....
트레이드오프관계라고 하기에도 뭐한게 밀도포기하고 성능올리는건 쉬운반면에
그렇다고 성능포기하고 밀도올릴수있냐를 반대로 생각하면 그건 어렵거든요...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xclear 님께
2023.07.19. 22:02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xclear 님께
2023.07.19. 22:08

그 UHD HD HPC 이런거 보면 뭐 똑같은 N7 기반이어도 성능포기하고 밀도를 올리거나 밀도포기하고 성능을 올리거나 하잖아요. N3 FINFLEX도 그렇고 그거 말한거였어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MaxPax 님께
2023.07.19. 22:11

그 등가교환의 기준이나 교환비가 압도적으로 밀도쪽에 유리하다라는게..
예를들어 삼성8nm를 성능포기하고 n7밀도갈수있냐??라고물으면 그건 안되는데
n7의 밀도를 포기하고 삼성8nm성능되냐라고물으면 그건 가능하다라는게...
기준이나 교환비가 아예 안맞습니다.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xclear 님께
2023.07.19. 22:23

어... 그건 그냥 전체적인 공정력 자체가 N7 >> 8LPP인 경우 아닌가요? 

어쨌든 제가 하고싶었던 말은 아래에 있습니다. 요새 머리가 안돌아가서 빙빙 돌려 말했는데 새로운 트렌지스터 구조를 도입하면 보통 PP가 개선되고 A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니깐 핀펫쓰고도 Gaa쓴 삼성보다 밀도좋은 TSMC! 뭐 이리 말하는건 좀 부적절하다는거죠. 새 구조를 도입하면 변하는건 성능쪽이니깐요.

인텔 22nm 핀펫도 밀도보단 성능에 우위가 있었고 N2도 마찬가지로 밀도쪽은 큰 개선이 없는대신 성능, 전력쪽이 크게 좋아지고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MaxPax 님께
2023.07.19. 22:26

그 새로운트렌지스터의 구조가 gaa전까지는 밀도향상에도 영향을 끼쳤다가 맞는거아닐까요??
28nm정체이후 핀펫을 도입함으로써 밀도향상이 가능했던거고요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xclear 님께
2023.07.19. 22:39

새로운 트렌지스터 구조의 도입은 밀도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근데 GAA에서도 밀도향상은 좀 있지 않을까요? 

 

어쨌든 말씀하신 밀도향상에 영향을 끼친다. 와 제가 말하는 과도기에서 PPA 총 향상분의 대부분은 PP로 나타난다. 는 서로 모순되지는 않는 말인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관해선 처음 단 답글에 제가 어느정도 적어두었습니다.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MaxPax 님께
2023.07.19. 22:05

저도 제가 무슨말하는지 모르겠어서 잘 못쓰겠는데... 그래도 정리하면 보통 전체적인 공정력, PPA에서 새로운 트렌지스터 구조의 도입으로 인한 향상분은 A보단 PP 형태로 구현된다 이런 말이었어요. 실제로 TSMC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GAA 구조를 도입한 N2가 N3대비 오히려 밀도가 떨어지고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346 13
핫글 미니 아이폰 교통카드 임박?? [14] 에피 24.06.22 1457 14
핫글 미니 한국형 쿠다 만든다네요 [14] file 룬룬 24.06.22 1354 14
핫글 미니 갤럭시 폰카 제가 느끼는 단점 [13] new BarryWhite 11:16 203 8
205713 미니 최근 LG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 문제점 [12] file 운김 19.10.07 1557 0
205712 미니 온릭스 S24 FE 렌더링 [13] file 노다 24.06.15 1556 12
205711 미니 S23 버벅대는게 램 부족 때문일까요 [20] 갤럭시S23 24.01.16 1556 2
205710 미니 중국, SNS에서 반 아이폰 선동 확산 [19] file AquStar 23.11.02 1556 13
205709 미니 삼성 파운드리 생각 이상으로 별로인것 같군요... [11] 애애앵 23.10.06 1556 3
205708 미니 워치6 카톡 알림도 오질 않네요 -_-;; [28] file 슈갤럼 23.08.14 1556 2
205707 미니 플립 5는 성능 이슈가 있네요 [9] file 적당히하자 23.07.30 1556 4
205706 미니 폴드 5 실기기 [12] file 적당히하자 23.07.03 1556 6
205705 미니 편향성이든 자기세뇌든 저는 아이폰>갤럭시입니다 [29] 헤페바이쎄 23.07.02 1556 23
205704 미니 애플 강남 간판 진짜 이쁘네요 [9] file 그냥페퍼 23.03.31 1556 6
205703 미니 애플워치 새로운 밴드가 나왔군요 [19] file 쿼드쿼드 22.05.25 1556 1
205702 미니 플립의 계절이 오고 있습니다. [2] file 만두는호빵이다. 22.05.19 1556 6
205701 미니 버즈2 오닉스 색상 판매 시작했네요 [3] file MrGom™ 22.05.02 1556 3
205700 미니 아이폰 앨범 실시간 보정처리(?)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7] file swing546 22.03.28 1556 1
205699 미니 글고보니 사내설명 루머에서 의미심장한 부분 [12] file 겅래민 22.03.10 1556 1
205698 미니 갓성 웃긴점 [5] file GalaxyZFold3 22.02.15 1556 25
205697 미니 폰트 다들 뭐 쓰세요 컴이든 폰이든 [38] lexip 21.09.26 1556 2
205696 미니 보안폴더 진짜 신기하네요 ㄷㄷㄷ [10] file SM-G965U 21.02.26 1556 0
205695 미니 평택 P2 파운드리 라인은 S5로 명명한 모양이네요 [10] Eidio 21.01.04 1556 1
205694 미니 레오폴드 키보드 신형이 나왔네요 [27] file 강약중강약 20.11.24 1556 2
205693 미니 아이폰12 가죽케이스 자국 [24] file 배민 20.11.09 1556 1
205692 미니 엑시노스1080 안투투 점수는 스냅드래곤865 압도 [39] 흡혈귀왕 20.10.09 1556 5
205691 미니 갤럭시워치3 티타늄 에디션 [7] file Stellist 20.08.05 1556 0
205690 미니 르누아르 노트북은 램오버가 관건이네요 [8] AGRS 20.03.31 1556 0
205689 미니 삼성전자가 최근 몇년간 선택이 영 시원찮은것 같습니다 [7] 십사프로씁니다 24.03.03 1555 1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