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지금이 한국사 역대 최전성기라는 표현을 많이 보는데...

  • 익명
  • 조회 수 421
  • 2023.07.21. 09:44

절대적으로야 당연히 현대가 더 부강하고 잘사는 건 맞겠지만

사실 모든 나라, 모든 문명권들이 다 그런 것 같고

 

 

동시기 세계에서 상대평가를 한다면 지금보다 과거가 더 영광스럽고 부강한 시절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 한반도는 둘로 갈라져서 해외 초강대국들의 영향력에 좌우되는 신세인데

예를 들어, 고구려 전성기는 영토만 훨씬 넓은 게 아니라 그 중국과 대등하게 맞서기도 했고, 동아시아 역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투사했다고 하네요

백제,발해,신라,고려,조선도 황금기 시절에는 부강했다고 들었어요

댓글
21
1등 Eomjunsik
2023.07.21. 09:46

역사상 국력=인구이던 시절이 거의 대부분이었죠. 그래서 쌀을 재배하는 동아시아 국가 특성상 언제나 세계 몇 위는 차지했다고 봐야죠.

산업혁명이 몇천년을 이어온 저 공식을 부쉈지만 산업혁명도 결국 그럭저럭 적응했으니.. 저는 이 나라가 그렇게 쉽게 망할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Eomjunsik 님께
2023.07.21. 09:47

동아시아 쌀 문화권 자체가 오랫동안 세계 최상위권이었고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네요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2등 BarryWhite
2023.07.21. 09:48

고구려 전성기 그대로 삼국이 통일되고 한반도가 이어져왔으면 어땠을까 싶긴 하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BarryWhite 님께
2023.07.21. 09:52

궁금하군유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콜홍 BarryWhite 님께
2023.07.21. 10:01

모두가 한번씩 생각해보는 if죠 ㅋㅋㅋㅋ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그렇군요 콜홍 님께
2023.07.21. 10:05

한국사 왓이프 ㄷㄷ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3등 그렇군요
2023.07.21. 09:50

시대별로 각 국가마다 GDP를 추산해서 순위 매긴 거 봤는데, 흥미롭게도 현대 국가들하고 비슷한 경우가 많더라고요.

 

당장 대한민국만 해도 고려, 조선 당시에도 추산되는 GDP가 세계에서 10위권 내외였으니...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그렇군요 님께
2023.07.21. 09:53

조선 말기~대한민국 초기,현 북한이 유난히 가난한것이지 사실 gdp10위권 내외가 한국사 보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그렇군요 익명 님께
2023.07.21. 09:56

옆에 중국이나 일본이 워낙 부강한 동네들이라서 그렇지, 한국도 결코 약한 동네는 아니었죠.

 

그렇게 약해 빠졌으면 지금까지 못 살아남아서 중국이든 일본한테 먹혔어야...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그렇군요 님께
2023.07.21. 09:53

와 고려 조선이 생각보다 높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BarryWhite 님께
2023.07.21. 09:54

고려가 몽골에 쑥대밭 된 것, 조선의 말기 모습 임팩트가 커서 그렇지, 보통~전성기 시절에는 나름 부강했다고 들었네유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그렇군요 BarryWhite 님께
2023.07.21. 09:58

세간의 인식과 달리 고려나 조선 둘 다 나름대로 힘 좀 쓰던 동네였죠 ㅎㅎ

 

당장 그 시기 다른 대륙의 국가들하고 비교해보면 더욱 그렇고요.

 

특히 조선은 그 특유의 구조상 재정 규모가 타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었음을 감안하면, 나름대로 입김 좀 날리던 국가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anata
Kanata 그렇군요 님께
2023.07.21. 10:58

선생님 호옥시 그 자료 링크나 이런 것 있을까유?

[Kanat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3.07.21. 10:03

경쟁성장기의 후유증을 겪는건 소득과 미래희망의 관계가 크지 않을까 싶네요. 100$ 시대를 살땐, 10년뒤 또는 내 자식들은 1000$ 또는 10000$에서 살거라는 희망이 있었으니..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Butzed 님께
2023.07.21. 10:30

이제 고성장은 끝났으니 시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생각듭니다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익명 님께
2023.07.21. 10:54

어느 교수님의 주장으로는 저환율, 저금리 성장기 당시 전통의 제조업 > 서비스업 전환에 실패한 것이 추가 성장 동력 확보의 결정적인 실패 요인이라고 하시더라구요.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적당히하자
적당히하자
2023.07.21. 10:23

이전 다른글은은 나라의 부강함을 따지기보단

일반 서민들이 살아가는 삶을 얘기한거니

논점이 좀 다르네요.

 

저는 지금이 서민들이 살기 좋은 시대라는 생각은 변함 없지만,

본문처럼 한국사 중 지금이 가장 부유하거나 강한 시대라고 생각하진 않네요.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적당히하자 님께
2023.07.21. 10:31

네 여기서의 상대평가란 상대적인 국력, 외부투사력 이런 거네요

복지제도, 문화파급력은 지금 현대도 대단할 것이라 생각해유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царь
царь
2023.07.21. 11:14

문화적, 경제적으로는 등락이 있었겠지만 외교적으로는 계속 내리막이죠

[цар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 царь 님께
2023.07.22. 11:15

ㅠㅠ

[익명]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1119
핫글 미게가 혼란하네요 [2] sourire 12:02 9 204
핫글 오늘 점심은 오랫만에 [3] file 쿼드쿼드 13:00 4 138
핫글 노스포) 하이재킹 후기 [7] 숨겨진오징어 15:33 3 164
112336 하늘에 푸른 직선 빛 전국서 목격‥스타링크 추정 BarryWhite 23.08.08 1 148
112335 잼버리 3만 6천 명 대이동‥숙소 확보 하루 만에 BarryWhite 23.08.08 0 89
112334 해병대 1사단장 뒤늦은 지시로 인명 수색 확인 [4] BarryWhite 23.08.08 4 172
112333 태풍 카눈이 대한민국을 관통할 것으로 보인다고 해서 찾아보니 [1] file 미붕붕드링크 23.08.08 1 159
112332 질문)이거 지워지지도 않고 그런데.. [3] file Qkooqq 23.08.08 1 111
112331 또 미묘하게 서쪽으로 틀어진 태풍. [4] file 연월마호 23.08.08 7 283
112330 창녕갈릭치킨버거입니다 [2] file 루시우 23.08.08 6 321
112329 새로운 자극이 필요합니다 [2] 오리제 23.08.08 2 170
112328 흑우 ⚾ [2] file MrGom™ 23.08.08 5 142
112327 서울코믹월드에서 찍은 지인차량과 제 차량... [3] file 히타기새 23.08.07 7 570
112326 와 이번 여름은 장난아니네요 [6] HQteam 23.08.07 8 447
112325 제주도에 왔습니다.. [3] file 달토끼 23.08.07 6 160
112324 스포티파이 알고리즘 찰떡이네용 [5] 구운주먹밥 23.08.07 2 222
112323 손흥민 공에 맞은 소녀 [3] file 펄럭펄럭 23.08.07 5 425
112322 Dp1 다봤습니다.스포유 [6] file 또하나의가족Gamsung 23.08.07 0 161
112321 결국 기기수령은 빼박 내일로 밀렸읍니다. [2] Aimer 23.08.07 2 170
112320 잼버리 예산 1,171억 원‥공무원들은 외유성 출장 [9] BarryWhite 23.08.07 14 456
112319 어떤 외국인의 잼버리 반응... [5] file 익명 23.08.07 11 621
112318 저는 사형제도에 찬성하지 않습니다. [19] 몽구스 23.08.07 20 686
112317 머스크 빤스런각 잡네요 [6] Aimer 23.08.07 7 618
112316 잼버리 참가자 전원 조기 철수 결정 [5] file 미붕붕드링크 23.08.07 5 350
112315 선생님들 이케아 가구 그냥 조립서비스 부탁해버리는 게 나은가요 [14] 회기동길냥이 23.08.07 0 265
112314 이불 빨래중입니다 [4] Angry 23.08.07 4 116
112313 방향 튼 태풍 카눈‥목요일 경남 남해안 상륙 [6] BarryWhite 23.08.07 7 320
112312 콘크리트 유토피아, 한국 영화 사전 예매율 1위 [4] BarryWhite 23.08.07 6 30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