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대형기기 *TV·모니터와 같은 영상가전, 생활·주방가전, 차량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갠냑시

차량 LFP 배터리는 사면 안되는 이유

LFP 배터리하면 안전하다,수명이 길다(열화율이 낮다) 이말은 어디선가 한번쯤은 꼭 들어 보셨을 겁니다.

 

맞는 말입니다.. 근데 왜 LFP배터리가 달린 전기차를 사지 말라고 제가 말을 하려는걸까요.?

 

LFP는 고 C-rate을 내기 어렵고 그로인해 고 C-rate에서 열화율이 심합니다. 이런말을 했더니 모 유튜버 채널에서 공격을 하는 사람들이 있더군요.. ( C-rate는 대충 충방전 속도값 이라고 생각하세용)

 

LFP가 뭐가 수명이 짧냐 알지도 못하면 이야기 하지마라, 고 C-rate 필요 없다.. 이러면서요..

뭐 어떤 사람들은 모두가 타이칸을 만들고 타이칸을 타는것도 아닌데 무슨 상관이냐라고 하는데,

 

LFP의 경우 1 C-rate가 넘어가면 열화가 삼원계(통상 리튬이온)보다 열화율이 높아집니다.. 

보통 전기차가 2 C-rate대에서 운용이 되는걸 생각했을때 경차급에서나 일단 쓴다면 ok이지만 그것을 벗어난다면 안쓰는게 모두를 위해 좋습니다.

 

--

누가 LFP는 미래의 배터리라고 선동하고 다니는지 모르겠지만.. 또 어떤사람은 메신저인 본인이 공격을 당하니까 이제 현대 기아를 끌어들여서.. 자기 논리를 관철시키려 하는데.. 제발 그러지말기를 바랍니다.

 

 

댓글
26
Hahn
1등 Hahn
2023.08.03. 09:51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가격이 싸다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신뢰성 문제도 있나보군요.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Hahn 님께
2023.08.03. 09:57

에너지 밀도가 낮기때문에 고출력 차량엔 쓰기 힘들죠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하와이조아
2023.08.03. 09:54

듣기로는 1년 내내 온화한 기후인 곳에는 이만큼 좋은 선택지가 없지만 1년 온도차가 극심한 우리나라에선 너무 맞지않는 배터리다 라고 들었었네요

[하와이조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aulBasset
PaulBasset 하와이조아 님께
2023.08.04. 14:32

테슬라는 LFP를 노르웨이에도 팝니다 

몇년 지나보면 알겠죠 

[PaulBasse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3등 범퀴
2023.08.03. 10:09

엘지앤솔 공식 블로그 내용이네요

02.jpeg.jpg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best 범퀴
2023.08.03. 10:13

어느정도 고전압 충방전때 어느정도 열화율인지 자료가있나요?

 

본인 뇌피셜인가요?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범퀴 님께
2023.08.03. 10:45

자료는 직접 잘 찾아보시면 될것 같네요.  LFP의 전기적 특성을 원론적으로 말하면 LG엔솔이 말한게 맞죠. 그러나 다른 부분은 다 빼고.. 말을 하는게 문젭니다.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best 범퀴 갠냑시 님께
2023.08.03. 10:53

그런자료는 아무리 찾아도 없는데 좀 보여주세요

사지말라는 선동을 하면서 자료는 니가찾아봐라니;;

 

이런주장을할땐 자료나 출처를 올리고 해야죠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범퀴 님께
2023.08.03. 11:05

제가 그냥 공학적으로 설명을 드릴게요 일단 당연히 찾아 보면 안나올거겠죠 ㅋ 다들 열화율이 적다고만 나오니까요.. 그러나 말씀드렸다 싶히.. 전기찹니다.. 그래서 근거는? 제가 배운걸 가지고 설명을 하니까요

 

LFP = 리튬인산철 이죠 인산철은 분자적으로 움직이기 어렵다고 보시면됩니다. 이걸 또 설명할려면  엄청 길어집니다.

 

그렇기때문에 당연히 C-rate가 높아질수록  당연히  빠르게 움직이면  리튬인산철엔 당연히 단점요소가 됩니다. 그래서 열화가 심해지겠죠.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best 범퀴 갠냑시 님께
2023.08.03. 11:16

그니까 그 열화율이 얼마나되는지 모르는데 있을것같고 그래서 사지마?

 

자료가없다고요? 장난하시나요? ㅋㅋㅋ 근데 찾아봐라고는 왜 말했나요 똥깨훈련시키시나요;;?

뇌피셜로 선동을 ;; 좀 자제하세요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정대만
best 김정대만
2023.08.03. 10:18

C rate는 러프한 기준입니다. 자료 찾아봤는데 테슬라처럼 아주 큰 스케일의 배터리에서의 결과도 없고 테슬라는 배터리 관리 알고리즘(BMS)가 들어갑니다. LFP가 수퍼차저에서 가변적으로 최대 170키로와트로 충전하는데 C rate를 단순환산하면 3정도 되겠지만 항시 그런게 아니라 온도 및 잔량으로 최적화해서 넣는겁니다. 자동차 회사들이 바보가 아닙니다. 덧붙여 사이클 수명이 ncm에비해 2배에서 3배인건 아실텐데요. 이건 여러차례 증명된 내용이구요. 

[김정대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콜홍
2023.08.03. 10:23

C-Rate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면 경차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회생제동을 해야 연비가 좋아지기 때문에 경차에서도 고출력 모터를 달아야 합니다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콜홍 님께
2023.08.03. 10:45

LFP는 사실상 전기차에 안쓰는게 좋습니다 그나마 쓴다면 경차급에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구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범퀴 갠냑시 님께
2023.08.03. 11:02

계속 점유율 늘어나고 지금 27프로정도 사용중인데 안쓰는게좋다?  전기차 대중화에는 관심이없으신가 보네요?

 

"완성차 기업들의 움직임은 LFP 배터리 시장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EV볼륨에 따르면 LFP 배터리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0년 5.5%, 2021년 16.9%에 이어 지난해에는 27.2%로 매년 10% 이상 성장 중이다."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범퀴 님께
2023.08.03. 11:06

점유율 늘어나는거랑 무슨 상관이 있나요?

 

정작 중국 내에서도 자체 고가 브랜드는 LFP를 안쓰는데요 ㅋ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범퀴 갠냑시 님께
2023.08.03. 11:09

본인이 쓰지말라고 하면 안쓰나요? 이런 얘기를 애초에 왜 하죠?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ow_jun
now_jun
2023.08.03. 11:02

진짜 이쪽분야 아무것도 모르지만 순수 호기심으로 든 생각인데 여러 종류의 배터리를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장점을 취할수는 없나요?

[now_ju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now_jun 님께
2023.08.10. 15:14

뭐 만들어낸다면야 가능은 하겠지만.

 

- 두 종류 이상의 베터리를 탑재하면 패키징을 그만큼 나눠야 해서 공간적인 손해도 있고, = 즉 같은 공간에 베터리 용량이 필연적으로 적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 각 베터리에 맞춰서 BMS로 제어도 해야해서 아무래도 들어가는게 많아질겁니다. = 안그래도 전기차 원가가 민감하니...

- 그리고 하이브리드를 하는 경우 보통 각각의 장점을 취하는걸 기준으로 생각하겠지만 필여적으로 각각의 단점을 모두 가지게 됩니다. = 단적인 예를 생각해보자면 LFP의 장점인 안정적인 구조가 얼마나 좋든간에 어차피 옆에 달린 리튬이온 베터리에서 불나면 어쨌거나 같이 타버리겠죠. 

- 베터리가 다른 종류가 각각 붙어 있을 경우 필연적으로 각 베터리당 남은 잔량이 다를건데, 만약 특정 베터리가 다 방전된 상태일 경우 이를 또 역으로 베터리 대 베터리로 충전을 해줘야 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필연적으로 전력 손실이 발생할테니, 사이드미러라도 작게 만들어서 효율을 끌어올릴려는 전기차의 현실적인 상황에 이것도 상당히 부담일겁니다. 또는 주행중 회생제동이나 충전시에도 이를 적절히 분배해서 충전해주야 하니 시스템 입장에서도 부담이구요. 

 

그래서 애초에 고려대상이 아닐겁니다.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ow_jun
now_jun Minny 님께
2023.08.10. 17:53

오오오..

[now_ju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cing
Rcing
2023.08.03. 11:24

단순히 충방전 속도 때문이라면, NCM NCA NCMA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음극은 또 어떻구요.

천년만년 탈 것 아니고, 모든 제품은 노화합니다.

고민해야할건 오히려 양극 재활용과 환경문제라고 생각합니다.

[Rc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Rcing 님께
2023.08.03. 11:28

결국 고출력차량에 LFP는 어울리지 않죠 열화는 어떤 배터리든 발생합니다. 그러나 LFP는 삼원계보다 취약하고요.. 그걸 부정할 수 없는 문제 아니겠습니까.?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닮은살걀
닮은살걀
2023.08.03. 12:09

LFP단점이 있는게 맞고 가격이 싸면 됩니다. 싸면 수요가 저절로 생기죠. 전 LFP달린게 더 많이 나와줬으면 좋겠어요. 제 라이프스타일엔 전혀 지장이 없어서.. 

[닮은살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xcelsior
Excelsior
2023.08.03. 21:26

충방전에 따른 양극재 깨짐 현상은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사항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단결정으로 양극재를 구성할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고요.

[Excelsi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Excelsior 님께
2023.08.03. 21:2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2023.08.10. 15:17

하고싶은말은 많지만,

 

일단 적어도 선동당하는 사람들이 안타깝다 라고 생각하고 쓰셨다면 최소한 근거자료라도 하나 들고 왔으면 좋겠네요.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핫글 차량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공개 [19] newfile LG산흑우 12:12 5 388
핫글 차량 캐스퍼ev 길이만 늘린게 아니네요 [11] newfile PaulBasset 14:06 2 505
핫글 차량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디자인 최초 공개 [12] updatefile 쿼드쿼드 10:40 2 406
296 생활 에어컨 무섭네요;;;; [10] file woon 23.08.30 4 880
295 차량 메기타 오너입니다 [15] file sweat 22.03.15 4 882
294 차량 우리나라에서 보기힘든 국산차를 만났네요 [12] file 스프레이 21.12.04 4 882
293 차량 T맵 쓰시는 분들 조심하세요 [18] file 아이폰14프로 23.08.01 7 885
292 차량 전 세계에 단 하나뿐인 K3 [20] file 쿼드쿼드 22.06.20 10 886
291 차량 조만간 나오는 경차 [10] file PaulBasset 22.02.07 5 889
290 생활 와! 와디즈에! 그 회사가! [12] 서녘마리 20.10.07 0 891
289 생활 삼성 슴가트싱스 ... [5] file 프리즘스톤 20.01.04 0 892
288 차량 자동차 회사별 OS [9] file 우주안녕 22.07.13 1 892
287 TV TCL이 한국진출한다네요 [9] 스퀴니 23.11.02 1 892
286 차량 출고 했습니다 [29] 개껌무한디스펜서 24.03.19 18 893
285 차량 옆동네에 테슬라 FSD 환불소송하신분이 있네요 [12] PaulBasset 24.01.29 13 893
284 차량 포터 테스트뮬 포착 [7] file 우리애는물어요 23.09.01 6 898
283 차량 모델Y 3열 사진 [7] file 팝카드있으세요 20.01.20 0 899
282 차량 중국의 400만 인플루언서가 말하는 한국차vs중국차 [19] file PaulBasset 24.05.05 8 899
281 차량 기아 니로 (KIA Niro / SG2) 공식 실내외 사진 [7] file 감비아도나츠 21.12.19 1 902
280 차량 사이버트럭, 충돌테스트 결과 공개 [10] 룬룬 23.12.03 1 902
279 TV 삼성TV 스펙 사기침 [14] file 개🐶 21.01.03 7 902
278 생활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2 인버터형 짧막후기 [5] file 븠븠븠 20.06.10 1 903
277 TV 삼성 Q60 사도 QLED 뽕 받을 수 있을까요? [4] 닉네임없음 20.01.01 0 907
276 TV 정신나간 내구도를 자랑하는 중국산 TV... [7] file Stellist 20.01.29 1 907
275 차량 안드로이드 오토 쿨워크 좋쿤요 [9] file 우주안녕 23.02.04 2 912
274 차량 신형 G90에 와서야 제네시스다운 엔진커버가 적용되었네요.. [11] file 오레오가좋아 21.12.16 1 913
273 차량 처음 운전한 차가 큰 차이신 분? [17] file Kanata 24.06.11 4 916
272 TV QD-OLED 게이밍 모니터 에일리언 웨어 AW3423DW [1] Aimer 22.04.01 2 91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