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Hahn

개인적인 종교 이야기 (긴글 주의)

  • Hahn
  • 조회 수 475
  • 2023.08.25. 23:24

(우선 저는 철학에 조예가 전혀 없는 비전문가이고,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얼마 전 집 근처 성당에 예비신자 등록을 하고 왔습니다.

 

강아지를 떠나보내고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빈자리를 메꿔보려 이것저것 배워보기도 하고 상담도 받았었지만, 종교의 도움도 한번 받아보고자 했습니다.

 

우선 불교 교리를 한번 공부해 보았습니다. 초파일에 강아지 이름으로 연등도 달아주고, 법당에 가서 앉아있으면 뭔가 조금은 위로를 받는 느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중표 교수님의 초기 경전 강의를 진지하게 보면서, 불교 교리에 대해 어렴풋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앞에 어떤 대상이 있고, 우리의 감각기관이 그것을 인식하고 형상화하면, 그 순간 그 대상은 우리 마음속에 있습니다.

우리 앞에 어떤 대상이 있다, 우리의 감각기관이 그것을 인식한다는 ‘조건’이 맞을 때만 우리 마음속에 형상화되고, ‘조건’이 바뀌면 사라지는 것일 뿐, 우리에게 불변의 ‘자아’가 있고 우리 밖에는 우리와 구분되는 ‘세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제법무아 : 불변의 ‘자아’란 허상이다). 이 세상이 실존하는지는 확신할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하는 나는 존재한다고 보는 데카르트보다 한걸음 더 나아간 아이디어죠.

 

우리를 포함한 생물들은 먹은 음식을 통해 우리 몸의 세포들을 끊임없이 재구성합니다. 변하지 않는것처럼 보이는 무생물들도 풍화작용을 겪고, 물의 순환까지 생각하면 세상에 변하지 않고 머물러 있는 것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제행무상 :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한다).

 

따라서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는 변하지 않는 어떤 ‘존재’도 없으므로 나의 ‘자아’를 그것에 투영하는 것은 허망한 생각이다 라고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이 진리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살아가면서 경험을 통해 우리만의 기준을 만들어 나와 세상을 구분하고, 인식하고, 인식된 것 중 좋은 느낌과 싫은 느낌을 구분하고, 좋은 느낌에 집착하게 되지만 좋은 것만 가질 수도, 싫은 것을 피할 수도 없기 때문에 괴로움이 생겨나고, 그 괴로움이 심화되다가 사라지고, 또다른 괴로움이 생겨났다 사라지고를 반복합니다 (이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의 실질적 의미라고 합니다. 전생과 환생 등의 개념은 석가모니 부처님 생존당시 인도의 고대종교에서 기인한 것이구요.).

 

이 악순환 프로세스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모든 것은 마음에 잠깐 스쳐 지나갈 뿐인 허망한 것들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이것들을 굳이 이름붙여 ‘구별’하려 하지 않으면 좋은 것도, 싫은 것도 없으니 집착할 것도 없고, 따라서 괴로움이 생겨나지 않으니 위에서 말한 괴로움의 무한 루프 (윤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해탈, nirvana). 불교는 이런 깨달음을 얻기 위한 삶의 방식을 가르치고, 꺠달음을 얻은 자를 buddha라고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참 대단한 철학자이자 큰 스승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진리의 탐구’라는 측면에서 앞으로도 제 마음 한켠을 차지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당장 기댈 곳이 필요했던 제게 조금 엄격하다는 느낌도 들었고, 신앙으로서의 무언가에 대한 제 갈망과는 조금 결이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성경 창세기에 보면 선악과라는 것을 먹고 선악을 ‘구별’할수 있게 된 최초의 인류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들은 그 죄로 낙원에서 쫒겨나지만, 저는 선악과를 먹은 그들이 부끄러움을 알게 된 부분에 주목했습니다. 초월적 존재가 아닌 인간이 그들만의 기준으로 뭔가를 ‘구별’하기 시작하자 이미 그들의 마음 속에 어두운 부분이 생겼고, 아직 몸이 낙원에 머물러 있음에도 그곳은 이미 더이상 낙원이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어쩌면 설립 과정과 교리가 전혀 다른 두 종교가,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삶의 방식이란 측면에서는 공통적인 부분이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천주교는 입교하기 위해 6개월 정도의 교육 과정을 거칩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 진입 장벽이라고도 볼 수 있는 이 부분이 저는 오히려 마음에 들었습니다. 적어도 제가 뭘 믿어야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배울 기회를 부여받는 거니까요. 교육이 끝날 때 쯤 제게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예상하기 어렵지만, 스스로를 낮추고 반성하는 마음으로 살아보려고 합니다. 그렇게 살다 보면 언젠가 그놈이랑 다시 만날 수 있겠죠.

 

무겁고 긴 글 끝까지 읽어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혹여나 제 짧은 지식에 의한 오류 때문에 마음이 상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미리 사죄드리고 싶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십시오.

Hahn
#Mobile
Galaxy S21 Ultra
Galaxy Watch Active 2
Galaxy Buds Pro

#At home
Macbook Air (2022, M2, 16GB, 256GB)
Epson Perfection V39
Wacom Intuos Pro M (PTH-660)

#For Machine Learning study
i7 9700 / 16GB / Quadro P400
Ubuntu 22.04.2 LTS

#For Electromagnetic Simulation
i7 9700 / 16GB / Quadro P400
Windows 8.1
댓글
12
BarryWhite
1등 BarryWhite
2023.08.25. 23:32

결국 자신이 살아가는 답을 찾는 거니까요.

득도(?)하시기 바라겠읍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BarryWhite 님께
2023.08.26. 00:34

맞습니다. 이 길이 맞는가보다 생각하고 걸어가면서, 그 끝에선 답을 찾을 수 있을거라 믿어 봐야죠ㅎㅎ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개구리 님께
2023.08.26. 00:36

미코에 좋은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서 (저 말고) 미래가 밝죠ㅎㅎ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좋은라면
3등 다좋은라면
2023.08.25. 23:53

음 선생님보다 조금 먼저 세례를 받은 사람 입장에서...입교를 위한 교육과정의 가장 하이라이트는 마지막에 고해를 하는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고해 하기전에 제 삶?을 한번 돌아보는 시간이 될꺼 같은데 그 시간이 좋으시길 기도하겠습니다!

[다좋은라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다좋은라면 님께
2023.08.26. 00:37

감사합니다! 저도 그 시간이 한편으론 긴장되면서도 기대가 됩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S23
갤럭시S23
2023.08.26. 09:13

저도 요즘 너무 힘들어서 종교에 귀의할까 싶기도 합니다. 내 삶을 이따구로 만들어놓은 신한테 원망이라도 하려구요... 

[갤럭시S2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갤럭시S23 님께
2023.08.26. 13:50

분노는 때로는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갈 힘(오기 같은)이 되기도 하더라구요. 고생하신 댓가를 꼭 받으실 수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2023.08.26. 11:45

나일롱이긴해도 같은 천주교인으로서 추천드립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흡혈귀왕 님께
2023.08.26. 13:51

감사합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2023.08.26. 11:52

요즘엔 성당에 안 나가지만 천주교의 주요한 교리들이 참 좋긴합니다.

천주교에서 매일 강조하는 남탓하지마라, 좀 남으면 베풀어라 등등 아직도 인생에서 제가 지켜야할 도덕적 기준으로 삼는게 다 천주교 오래 다녀서 그런것 같습니다.

거기다 어릴때 진짜 천사같으신 수녀님들 보면 "아 나도 저런 사람이 되야겠다" 생각이 들기도 했었구요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글쓴이
Hahn 영어공학과 님께
2023.08.26. 13:52

저도 처음 갔던 날 미사 끝나고 나올때 웃으면서 인사하시던 신부님과 수녀님의 인자한 표정을 보고 계속 나갈 생각이 들었습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0882
핫글 생산가능인구 늘리려 노인들 ‘은퇴 후 이민’시키자는 국책연구기관 [11] updatefile Stellist 18:01 13 333
핫글 초콜릿·음료 도미노 인상 시작 [11] update BarryWhite 15:07 6 114
핫글 백종원이 간 국밥집, 알고보니 밀양 가해자 매장? BarryWhite 15:06 4 103
117795 네이버 치지직 사내대회 채팅 수준.jpg [7] file PaulBasset 23.12.10 17 1342
117794 오늘밤은 이 작품으로 달래봐야겠습니다... [3] file Ginza 23.12.05 17 868
117793 아무나 쓰십쇼 [5] file 내분점 23.12.02 17 502
117792 지진 눈치 없네요 [6] 까만콩3개 23.11.30 17 592
117791 여행 인증 [7] file AV_Lover 23.11.29 17 366
117790 그래서... [9] file AV_Lover 23.11.28 17 405
117789 넥슨이 제대로 빡쳤군요 [11] 쿼드쿼드 23.11.26 17 863
117788 대충 식빵 입니다 [8] file 펄럭펄럭 23.11.23 17 409
117787 에어프라이어 카스테라 대 성공입니다 [18] file 딸기맛치킨 23.11.14 17 479
117786 미코의 미래가 걱정되는 이유.txt [3] Mar.7th 23.11.10 17 430
117785 중년여인 사진 모음집 [22] file 자동사료급여기 23.10.31 17 784
117784 오늘이 이태원 참사 1주기였네요. [1] BarryWhite 23.10.29 17 350
117783 ADEX 대강 올려드립니다 [23] file 까만콩3개 23.10.21 17 403
117782 세레머니가 뭐라고... [11] 까만콩3개 23.10.02 17 636
117781 집에서 혼자 단백질 보충 [7] file 흡혈귀왕 23.09.29 17 339
117780 NHK에서 보도한 요즘 한국 젊은이들이 많이 쓰는 일본어 [14] file MrGom™ 23.09.12 17 697
117779 고소 가능할까요(15) [11] file 몽구스 23.09.05 17 701
개인적인 종교 이야기 (긴글 주의) [12] Hahn 23.08.25 17 475
117777 학교에 추락사 수정 요구하니‥"그걸 왜 저한테?" [9] BarryWhite 23.08.15 17 553
117776 재건축 하고 있습니다. [9] file Love헌터 23.08.13 17 453
117775 태풍 경로 또 바뀌었네요 [18] file sourire 23.08.06 17 793
117774 초전도체) 뭐죠 얘네 왜이러죠 [12] file PaulBasset 23.08.05 17 1222
117773 라면사리 밑엔 또 뭐가 있죠? [34] file 우리애는물어요 23.07.28 17 485
117772 집 꾸미는 재미가 쏠쏠해요 [15] file 아이폰14프로 23.07.26 17 446
117771 홍보게시판에서 주문한 버팔로 스틱이 왔습니다 :) [20] file 미붕붕드링크 23.07.21 17 35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