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지금까지 나온 루머를 바탕으로 한 계산 (2400&8G3)

  • Section31
  • 조회 수 1053
  • 2023.08.31. 14:30

주의 / WARNING : 이하 모든 수치들은 지금까지 나온 루머들을 모두 취합한 뒤 대부분의 루머들이 맞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수치입니다. 따라서 차후에 벤치마크 결과가 유출된다면 계산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비전력은 SoC 전체가 먹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1) 루머를 바탕으로 한 스펙은 다음과 같다고 보입니다.

 

- 엑시노스 2400

** CPU : Cortex-X4 MP1 3.16~3.2 GHz , Cortex-A720 MP2+MP3 2.9+2.6 GHz , Cortex-A520 MP4 1.96 GHz

** GPU : Xclipse 940 "Magellan" / 6WGP 12CU / SP:TU:ROP:RA = 768:48:32:12 / 1,100 - 1,200 MHz

** NPU : 44 TOPs INT8

** RAM : 16-Bit 쿼드채널 LPDDR5X 4266 MHz (8533 Mbps) / SLC 8MB

** 제조공정 : 삼성 파운드리 4nm FinFET LPP+ (EUV)

 

-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 CPU : Cortex-X4 MP1 3.3 GHz , Cortex-A720 MP3+MP2 3.15+2.96 GHz , Cortex-A520 MP2 2.27 GHz

** GPU : Adreno 750 / 1536ALU? / 1,000 MHz?

** CPU+GPU+DSP : 최대 60 TOPs INT8

** RAM : 16-Bit 쿼드채널 LPDDR5X 4266 MHz (8533 Mbps) / SLC 8MB?

** 제조공정 : TSMC 4nm FinFET P (EUV)

 

 

2) 먼저 CPU 벤치마크 예상점수를 계산해보자면... (긱벤치 6)

 

- 이미 스냅드래곤에 대해서는 유출되었습니다. 싱글코어 2233, 멀티코어 6661 점입니다.

- 디씨의 모 유동IP 유저가 싱글코어는 딱 클럭 차이만큼, 멀티코어는 동급이라고 언급을 하였으므로,

- 이에 따라 계산해보면 엑시노스 2400은 싱글코어 2165 [2150 - 2190] , 멀티코어 6700 [6620 - 6800] 정도로 계산됩니다.

- 이를 긱벤치5로 환산하면 대략 싱글코어 1560 [1540 - 1620] , 멀티코어 6200 [6150 - 6300] 정도로 나올 듯합니다.

 

3) 다음으로 GPU에 대해 벤치마크를 예상해보자면....

 

- 스냅드래곤 8 Gen 2의 경우 레퍼런스 모델 기준, ES3.1 FHD 225 FPS , AZH QHD Vulkan 65 FPS가 나왔습니다.

- 소비전력의 경우 스냅드래곤 8 Gen 2는 표준형 기준 AZH QHD Vulkan 66~67 FPS @ 8.6 W 정도 나왔습니다.

- 지금부터 아드레노 750이 740과 똑같은 코어 개수를 가진다고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전제조건]

- 주의점은 클럭이 오른 만큼 퍼포먼스가 반드시 선형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TSMC N4P는 같은 성능 기준 소비전력 6% 절감 또는 같은 소비전력 기준 성능 6% 향상이라는 마이너 업그레이드입니다.

- 이를 고려할 때, 아드레노 740의 클럭인 680 MHz에서 750의 903 MHz로 증가 시 +32.8% 클럭 증가이지만,

- 이에 따라 동반되는 소비전력 & 발열 증가를 고려했을 때 실제 증가분은 그보다는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 최근 웨이보발 루머에서는 스냅드래곤 8 Gen3의 GPU 벤치마크가 ES3.1 FHD 기준 각각 285 / 290+ 정도라고 합니다.

- 따라서 표준형 기준으로는 클럭은 32% 증가했지만 퍼포먼스는 26% 증가한 것이며,

- 갤럭시형 기준으로는 클럭이 47%(전 세대 갤럭시형 기준 39%**) 증가했지만 퍼포먼스는 28~30% 증가한 것입니다.

- 또한 소비전력은 어느 시점에서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 이로 미루어보아, 스냅드래곤 8 Gen 3의 경우, AZH QHD Vulkan 기준, 8 Gen 2 레퍼 벤치를 1로 잡았을 때,

** 표준형 : 77 - 83 FPS @ 10.5 ~ 12.5 W

** 갤럭시형 : 84 - 89 FPS @ 11.5 ~ 14 W

정도로 대략적인 계산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 소비전력은 SoC 전체가 먹는 것 기준)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엑시노스 2400의 GPU 퍼포먼스 수치를 어림잡아 짐작을 해보자면,

대략 표준형에 조금 더 무게가 쏠려서, AZH QHD Vulkan 기준, 79 - 85 FPS @ 11 ~ 13 W

정도로 추정됩니다.

 

 

계산 종합평가

 

1) CPU

- 싱글코어 GB6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 97 : 100

- 멀티코어 GB6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 101 : 100

- CPU 전성비 / 엑시노스 2400이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대비 조금 더 유리할 가능성 있음

 

2) GPU

- AZH QHD Vulkan FPS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 103 : 100

- AZH QHD Vulkan FPS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 96 : 100

- AZH QHD Vulkan 전성비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 호각세

- AZH QHD Vulkan 전성비 / 엑시노스 2400 :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 2400의 오차범위 내 약열세~호각세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6
NeoSeven
1등 NeoSeven
2023.08.31. 14:38

이정도라면 유지율에 달렸군요.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2등 흡혈귀왕
2023.08.31. 14:48

나쁘진 않은데 솔직히 특색이 있는 성능이랑 스펙은 아니라서 여전히 많은 분들은 스냅드래곤 선호할듯합니다.

 

유지율을 떠나서 스테이트 성능 기준 결국

스냅드래곤이 더 높을게 뻔해서...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3등 Antares
2023.08.31. 14:49

게임을 안하다 보니 cpu 전성비만 잘 되면 
노멀 플러스에 12기가 램에 qhd ltpo 등등 넉넉하게 넣고 2400넣는다면
'제 기준'에서는 더 좋을거 같습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ntares 님께
2023.08.31. 14:49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러비군
러비군
2023.08.31. 16:33

합리적인 추정이네요.

[러비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러비군 님께
2023.08.31. 16:39

(!!!!)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92 13
핫글 미니 갤럭시북4 엣지 질렀습니다.. [16] file Gottago 12:49 925 15
핫글 미니 스테이지엑스 제4이통 취소절차 들어간다네요 [11] Chrop 14:13 1023 13
핫글 미니 갤탭에 9300+가 오히려 좋은이유 [19] file GalaxyBudsSeries 11:48 1435 11
194066 미니 애플페이 행복회로는 아직은 시기상조 느낌이네요 [2] [성공]함께크는성장 23.12.05 588 6
194065 미니 그만큼 삼성의 장악력(?)이 좋은걸지도요. [5] 애옹애옹애옹 23.12.04 1424 6
194064 미니 카메라 어시스턴트 업데이트 [1] file 펄럭펄럭 23.12.04 729 6
194063 미니 램 12기가의 위엄.jpg [9] file 품귀문란 23.12.04 1613 6
194062 미니 LG 등 경쟁사가 있던 시절에는.... [13] Why'zner 23.12.04 1023 6
194061 미니 불-편 [7] file LG산흑우 23.12.03 912 6
194060 미니 램 8기가와 120hz 중 무엇에 더 불편함을 느낄까요? [35] 당신말이맞습니다 23.12.03 1221 6
194059 미니 최근 구글의 근본이 광고회사라는걸 뼈저리게 느끼는 중이네요 [6] 땃쥐나리 23.12.02 1023 6
194058 미니 카드사, 애플페이 도입 당분간 힘들듯···"리스크 방어 우선" [17] MrGom™ 23.12.02 1428 6
194057 미니 S24 Ultra telephoto lens is similar to vivo X100 Pro [6] file iceuniverse 23.12.02 1263 6
194056 미니 24플러스의 젠3점수가 새로 올라왔네요 [8] file 나무김 23.12.01 1295 6
194055 미니 지금 루머 나온거보니... [8] 흡혈귀왕 23.12.01 1076 6
194054 미니 궁금한건데 FE모델은 왜있는건가요? [13] 북극곰플 23.12.01 609 6
194053 미니 화면주사율과 램 비교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8] choijm0715 23.12.01 537 6
194052 미니 s23 fe 무조건 살건데 [5] 딸기맛치킨 23.12.01 726 6
194051 미니 갤럭시 S24 시리즈 램 용량을 여러가지로 나눠서 출시해줬으면 좋겠습니다. [10] lunasea83 23.12.01 909 6
194050 미니 결국은 플래그쉽이 맞는가? 하는 의문이 제일 큰거 같습니다 [4] KIKIRAKA 23.12.01 679 6
194049 미니 15프로 한달 사용기 [16] file 강약중강약 23.11.30 1228 6
194048 미니 삼성헬스와 갤럭시워치는 너무 아쉽습니다.. [11] 기만심문관 23.11.30 937 6
194047 미니 One UI는 가로 UI 꼭 개선됐으면 좋겠어요 [1] 하나림 23.11.30 538 6
194046 미니 똑같은 글 쓴적 있었지만 또 씁니다. [5] 갤럭시派 23.11.30 553 6
194045 미니 폴더블에서 삼성이 큰일? 난 이유. [21] AurA 23.11.30 1477 6
194044 미니 OneUI 6.0 앨범아트 미디어 컨트롤러 한가지 아쉬운점 [3] file Sparrow 23.11.29 955 6
194043 미니 요즘 아이폰에 부러운점 [18] AurA 23.11.28 1424 6
194042 미니 제 기준 스마트폰 디자인 top3 [5] file 미니기기발 23.11.28 649 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