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갠냑시

미니 솔직히 TSMC가 원체 미세화 공정을 잘하던 회사는 아니였죠

  • 갠냑시
  • 조회 수 1687
  • 2023.09.25. 00:06

그리고 가장큰건 애플이 계속 밀어줬기 때문에 이자리에올 수 있었던것도 있습니다 미세화 공정요 

 

사람들이 TSMC에게 삼성따위를 비비냐 했는데 사실상 삼성이 전문 파운드리 하기 이전  팹굴릴때도 미세화 공정은 인텔 다음 탑티어였습니다  인텔과 삼성 말고는 미세화 공정에서 답도 없었습니다.

 

요즘은 뭐 이도 부정하는 사람들이 있는것 같긴한데. 사실이였습니다. 거기다 중요한것은.. 그렇게 수율도 구리고 공정도 구렸지만 28nm 이럴때 45nm 이럴때 점유율이 무려 50%이상이였습니다... 이게다 TSMC때문이다라고 할때도요.. 말그대로 대체재가 없었다고 보면됩니다. AMD에서 분사한 GF? 대만 UMC등등 다.. 구리다고 욕먹는 TSMC만도 못했습니다.. 

 

여하튼 TSMC는 미세화 공정을 원체 잘하던 회사도 아니였습니다. 만약 잠시 꼬라지면 원래대로 돌아오는거라고 그냥 생각하고 .. 경쟁사인 인텔이나 삼성이.. 잘해줘서 소비자가 큰피해 없기만을 바랍니다.

 

모바일 AP를 제외하고라도 미세화 공정쓰는 제품군들이 이제 옛날보다 생각보다 많아졌으니까요... 

댓글
15
ryan747
best 1등 ryan747
2023.09.25. 00:09
관리자가 블라인드 처리한 댓글입니다.
[ryan74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best 갠냑시 ryan747 님께
2023.09.25. 00:10

PDK는 뭔지 알고 TSMC에대해 왈가왈부 하는겁니다.. TSMC가 미세화 공정에서.. 인텔이나 삼성보다 좋았던건 그렇게 오래된게 아닙니다.  삼성도 8nm 까지는 아주 정상적인 공정이였습니다..

TSMC 28nm sion공정으로 나온 제품들 상태보면 잘 아시잖아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yan747
ryan747 갠냑시 님께
2023.09.25. 00:12

뭔지 아시면 삼파 경쟁력이 근본적으로 떨어지는 이유는 아시겠네요.

[ryan74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살살녹는동파육
best 살살녹는동파육 ryan747 님께
2023.09.25. 00:15

비아냥대는 댓글은 그리 생산적이지 못합니다.

전 문외한인데, 대신 삼파 경쟁력이 근본적으로 떨어지는 이유를 여쭙고 싶네요. 순전히 궁금합니다.

[살살녹는동파육]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yan747
ryan747 살살녹는동파육 님께
2023.09.25. 00:19

저게 비아냥 대는건가요, 아니면 글쓴이의 전문성을 의심하는걸까요? 삼성 PDK가 설계하기 거지같은 환경인건 업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ryan74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ryan747 님께
2023.09.25. 11:41

댓글 의도는 말씀하신대로인거 같습니다. 다만 문체또한 상당히 비아냥적이라고 보입니다.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best 갠냑시 ryan747 님께
2023.09.25. 00:16

삼파의 PDK가 우왕 쉣인거는 잘알고 있구요. 그렇다 한들 TSMC의 구렸던 공정이 좋아지는거 아니거든요.. 어차피 개발자의 개발환경이 구리든 말든 최종 공정 성능이 어떠냐 인건데.. 8nm까지 삼성의 미세화 공정은 준수했습니다. 충분히. TSMC는 20nm까지 개죽쓴 사실은 있고요. 20nm가 왜 애플만 쓰는 공정이 되었겠습니까. 그리고 또 갑자기 TSMC로 이전했던 애플이 A9때 다시 삼성에게 물량 수주를 주며 이원화를 했구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ddce
best addce 갠냑시 님께
2023.09.25. 00:19

개인적 궁금한거 있습니다.

대학원에서 공정사용해보면서 삼성 28나노는 tsmc 40나노보다 안좋은 공정으로 체감을 하고 있습니다.

공정 성능이 비슷하다는 거는 어느부분 기준으로 평가되는걸까요?? 

논문들도 저의 전공분야에서는 트슴공정쓰는게 압도적으로 좋더라구요 ㅠ

[add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best 흡혈귀왕 addce 님께
2023.09.25. 00:31

이상하네요 당장 업계에서 레거시 공정들은

동일 숫자에서 성능 차이가 없다는게 정론입니다.

 

그래서 UMC나 동부하이텍 같은 회사들도

살아남는거구요.

 

28나노랑 40나노 비교시 HKMG도 아닌 40나노가

더 좋다는건 납득이 인되네요.

 

당장 TSMC 28LP sion이랑 32nmHKMG 전성비

차이만해도 어마어마하게 났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ddce
addce 흡혈귀왕 님께
2023.09.25. 00:43

사실 학생들이 설계하니 성능 보장하는 레이아웃을 안하다보니 그럴수있는데

 

삼성이 주는 pdk의 성능상으로는 좋은데 막상 칩을 받아서 해보면 그 성능이 안나오는 반면 tsmc는 그래도 어느정도 검증한대로 나오더라구요 ㅠㅠ

 

저는 high speed interface쪽인데 이쪽 논문들도  엄청빠른 속도들은 다 tsmc 논문들이고 학교에서 대세는 28나노 tsmc로 넘어가고 있더라구요 ㅋㅋ

 

파운드리서 ip하시는분 얘기들어봐도 tsmc가 더 성능 좋다고 하더라구요 

[add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패주초 addce 님께
2023.09.25. 01:00

희한하네요 첨 알았어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살살녹는동파육
살살녹는동파육 addce 님께
2023.09.25. 12:43

삼성은 PDK와 실성능간의 괴리에 대처하려 하고 있나요? 삼성의 PDK가 구리다는 원 주제와 더불어 그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살살녹는동파육]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ddce
addce 살살녹는동파육 님께
2023.09.25. 13:00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공정은 레거시공정이다 보니 추가적인 개선사항은 딱히 없는거 같더라구요.

더 이전 공정하는 친구 얘기들어보면 성능적 개선보다는 원가적인 부분만 개선한다고 하네요.

 

지금 개발되고 있는 미세공정 라인은 잘 모르겠어요.

28나노 기준으로 칩 양산도 많지않다고 들어서 그냥저냥 두는것 같습니다. 

[add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글쓴이
갠냑시 ryan747 님께
2023.09.25. 00:20

결국에 우리 공정성능 세계1등이다.. 우리꺼 쓸래? 라고 했는데. 수율이 바닥이면 .. 답이 없는거죠.

옛날엔 인텔이 쟤들 다 구라 nm야 집적도면에서 우리가 진짜라고 했는데 뭐 이젠 PPA를 더 중점으로 보는 느낌이지요... 근데 PPA가 아무리 좋다한들 수율 낮으면. 입니다 현재 돌고도는 소문으로 공정 성능자체는 삼성이 TSMC보다 좋은것 같다란 말이 나오지만 실제 양산 수율이  바닥이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best 2등 흡혈귀왕
2023.09.25. 00:16

엄밀히 따지면 TSMC는 10FF 부터 삼성 10LPE 10LPP보다 밀도는 더 우세했습니다. (성능은 10FF보다 10LPP가 나았지만)

삼성 7LPP가 TSMC N7, N7P보다 밀도랑 면적이 우세하긴 하지만 N7+은 7LPP보다 밀도랑 면적이 더 우세한데다

그 이후 5/4나노 부터는 계속 TSMC가 밀도가 우세했습니다.

 

그동안 업계에선 여전히 밀도당 성능이 삼성보다 TSMC이 우세하다라는게 정론이었으니깐요.

뭐...이제 곧 달라질지도 모르겠지만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8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32]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967 20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5] file AquStar 16:04 631 16
핫글 미니 노트7으로 회귀 [5] file 빅코 07:55 914 11
199871 미니 욜심히 갤24 기다리는 중입니당 [2] 최단장 23.10.03 788 2
199870 미니 제 S23U가 WIFI6 인터넷에서 바보가 되버리네요... [2] 흡혈귀왕 23.10.03 1026 0
199869 미니 갤럭시북4? [1] file 다물 23.10.03 884 4
199868 미니 다음 폰 혁명은 뭘까요 [8] 엣지 23.10.03 1150 1
199867 미니 샤오미도 자체 ISP칩이 있었네요 + 잡담 [2] file RASBI 23.10.02 1021 3
199866 미니 근데 구글은 안드14 정식 언제 발표하는거죠? [6] [성공]함께크는성장 23.10.02 942 3
199865 미니 근데 엣지 말인데요 요즘도 문제가 큰가요? [24] file 패주초 23.10.02 1437 5
199864 미니 베타5 버그... [5] file 흡혈귀왕 23.10.02 575 3
199863 미니 Tenstorrent의 차기 AI칩, 삼파 미국 팹에서 생산 [8]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3.10.02 992 2
199862 미니 베타에서 뭔가 고약한 버그가 걸린 느낌이네요 [성공]함께크는성장 23.10.02 302 0
199861 미니 잡담: 픽셀 8 & 8프로 긱벤치6 감지 [4] Section31 23.10.02 862 2
199860 미니 픽셀8프로 긱벤치 [9] file 카밀리아 23.10.02 1047 6
199859 미니 울트라엔 완전 플랫 강경파들이 많던데... [17] file 패주초 23.10.02 1952 11
199858 미니 s23울트라 청담대교&롯데타워(feat.gcam) [11] file 씨샾 23.10.02 1446 19
199857 미니 S24U가 5배 50MP일 경우 장점 [2] 흡혈귀왕 23.10.02 1144 5
199856 미니 se1..왜 쓸만하죠…? [3] file 딸기가빠졌잖아 23.10.02 874 7
199855 미니 갤럭시 노멀에도 2억화소 될까요? [6] 닉넴이 23.10.02 224 0
199854 미니 잡담: 아이폰 15를 BMW차량 무선충전 시 애플페이 칩 망가질 수도 [7] Section31 23.10.02 800 3
199853 미니 S24U 그래도 완전 플랫은 아닌듯하군요 [21] 흡혈귀왕 23.10.02 1972 10
199852 미니 잡담: Apple M3 시리즈의 CPU/GPU 벤치 예상 (7월경) [1] file Section31 23.10.02 973 0
199851 미니 잡담: 삼성, 갤럭시 전용 클라우드 게이밍 플랫폼 공개예정? [16] Section31 23.10.02 1148 2
199850 미니 Xperia 1V ST look "STANDARD" [1] file 컵누들프로 23.10.02 419 5
199849 미니 삼성과 애플의 원가절감 차이는 딱딱 구분되는 느낌이라 신기합니다 [6] 크로아츠 23.10.02 1466 8
199848 미니 Xperia 1V VV look "VIVID" [2] file 컵누들프로 23.10.02 430 4
199847 미니 Xperia 1V IN look "INSTANT" [1] file 컵누들프로 23.10.02 261 4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