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그렇군요

미니 솔직히 이제는 디자인에 도드라지는 독창성이 크게 필요한가 싶습니다.

솔직히 바형 스마트폰에서는 이미 해볼 수 있는 디자인은 다 해본 거나 마찬가집니다.

 

2.5D 글라스도 넣어보고 네모의 꿈(...)도 해 보고, 엣지도 넣어보고 다 해봤습니다.

 

이제는 아이폰마저 다이내믹 아일랜드니 뭐니 하면서 천편일률적으로 펀치홀이 대세가 되었고, 기술실증을 목적으로는 이미 UDC까지 다 넣어본 상황이죠.

 

거기서 가장 잘 팔리는 디자인이 지금의 아이폰, 갤럭시 디자인이라고 봅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어차피 가장 잘 나가는 놈들만 기억하는 특성상 비슷한 디자인 나와도 아이폰 닮았다, 갤럭시 닮았다 할 거 뻔하죠.

 

특히 아이폰은 뭐 갤럭시조차 노골적으로 닮았네 뭐네 하는 마당에...

 

어차피 예쁘고 쌩쌩한 물건이 돈 벌어다주지, 독창성이 뭐 그렇게 중요한가 싶습니다 이제는... 차라리 한창 성장세였을 때였다면 모를까...

 

독창성 챙기다가 괴상한 디자인 뽑을 바에는 그냥 있는 거에서 서로 수렴진화(...)하는 게 서로 윈윈하는 방향일 거 같습니다 ㄹㅇ ㅋㅋ

 

오히려 요즘에는 폴더블 쪽이 그나마 독창성이 보이는 거 같습니다 ㅋㅋ

그렇군요
💻DELL XPS 17 9710
📱Samsung Galaxy Z Fold5
⌚️Samsung Galaxy Watch6 Classic 47mm
🎧Samsung Galaxy Buds2 Pro
🖱Logitech MX Master 3 / Logitech MX Master 3S
⌨Logitech MX Keys Mini / Logitech MX Mechanical Mini
댓글
31
하루우라라
best 1등 하루우라라
2023.09.29. 17:57

카메라 디자인 빼곤 거기서 거기긴하죠 ㅋㅋ 갤럭시는 이제 디테일한 부분을 좀 끌어올렸으면 좋겠네요 이전에 s22,21 때 컨투어컷이 프레임이랑 일체화 되는걸 바랬던 것 처럼요

 

후면글라스+메탈프레임은 무충에 혁신(메탈에서도 된다던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유지할 수 밖에 없구요

[하루우라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하루우라라 님께
2023.09.29. 18:03

이제는 진짜 마감에서 승부를 볼 차례 같습니다 ㄹㅇ

 

그런 의미에서 갤럭시는 그 마감에서 역량을 갈아넣을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ㅎㅎ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레오가좋아
2등 오레오가좋아
2023.09.29. 17:58

갤럭시는 스피커 그릴이나 단자 중앙정렬 버튼 디자엔 더 다듬었으면

[오레오가좋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오레오가좋아 님께
2023.09.29. 18:04

그런 자잘한 걸 챙길 때가 됐죠 이제는 ㅋㅋ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그렇군요 님께
2023.09.29. 18:04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hy'zner
3등 Why'zner
2023.09.29. 17:58

그나저나 2026년부터 EU의 정책에 따라 탈착형 배터리가 돌아온다면.... 디자인이 오히려 후퇴할 수도 있겠죠?

[Why'zn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Why'zner 님께
2023.09.29. 18:06

그동안 기술이 성숙해진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스마트폰 시장 초기 상황보다는 훨씬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일체형보다는 신경쓸 게 많아질테니 지금보다는 덜 깔끔한 디자인이 나올 수도 있겠고요.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as42
soas42
2023.09.29. 18:04

독창적인거랑 정체성이 있는건 다르죠.

독창성은 없지만 정체성은 있는 디자인이면 모르겠으나

유출된 사진보면 둘 다 못지킨거같긴하네요.

저럴거면 차라리 컨투어컷은 유지했던게 맞습니다.

[soas4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soas42 님께
2023.09.29. 18:08

그 컨투어컷 이 독창성, 정체성 챙기려다가 심미적으로도 불호가 많았고,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은 디자인이라 판단해서 없애버린 거죠.

 

그 컨투어컷 만들겠다고 공정이 더 들어가는 건데... 획기적으로 뭔가 숫자로 결과가 안 나오면 없애는 수 밖에요.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as42
soas42 그렇군요 님께
2023.09.29. 18:14

그 부분이 아쉬운거죠.

정체성이 한 두 제품만으로 형성되는것도 아니고, 첫술에 배부를수도 없는데

딱 두시리즈만 유지하고 없애버리는건 

'경제성'은 모르겠으나 '정체성'에선 최악의 판단이었다 생각합니다.

 

21 이나 22나 디자인 때문에 안팔린 물건은 아니었으니까요 

[soas4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soas42 님께
2023.09.29. 18:17

거기까지는 디자인 자체보다 그 외의 요소(GOS, 발열, 원가절감 등)들이 더 크게 작용한 부분이라서 크게 뭐라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긴 하죠.

 

정확히는 당시 상황이 컨투어컷을 그대로 끌고 갈만한 분위기가 아니었다는 거죠.

 

분위기 쇄신이 분명 필요할 건데, 그런 와중에 컨투어컷이 배제당한 거라고 봅니다.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as42
best soas42 그렇군요 님께
2023.09.29. 18:29

제품에 문제가 있었던건 회사의 문제고, 그걸 소비지가 맥락까지 알아줄 필요는 없죠.

결국 그 선택들이 브랜드의 정체성을 만들었고,

지금 갤럭시 디자인이나 인식을 보면 수렴을 시키는 입장보단 수렴을 당하는 입장인거같네요.

그 인식이 억까든 억빠든 뭐든 간에요.

[soas4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oas42 님께
2023.09.29. 18:27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hy'zner
Why'zner 그렇군요 님께
2023.09.29. 19:31

UX로 치면 노트7 폭발사고로 한 세대만에 희생당한 그레이스 UX가 생각나네요....

[Why'zn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Why'zner 님께
2023.09.29. 19:33

사실 삼성 익스피리언스가 그레이스 UX의 연장선이나 다름 없죠.

 

디자인 코드부터 UI 전반적인 부분까지...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참깨돌이
참깨돌이
2023.09.29. 18:01

저는 디자인을 외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보단 이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폰의 각진 디자인이 예쁘다지만 어차피 케이스 끼면 잘 보이지도 않고 손으로 잡기도 힘든 데다가 무게도 무거워지기만 하네요. 

차라리 그립감과 무게에 몰빵해서 오래 써도 편안한 디자인이 되면 좋겠어요. 

[참깨돌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참깨돌이 님께
2023.09.29. 18:11

인체공학 붙은 거치고 대중적인 취향을 만족한 경우는 거의 못 본 거 같습니다. 특히 심미성에서는 말이죠.

 

말씀하신 디자인이 정황상 노트5, S7 요런 디자인 같은 거 말씀하시는 거 같은데, 이걸 적용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흘러버렸죠. 막상 그 디자인들 지금 보면 흔히 말하는 요즘 메타에는 아닌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ㅋㅋ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Qteam
HQteam
2023.09.29. 18:05

전 바형 스마트폰이 완성도가 높아질 수록 서로서로 디자인이 비슷해지는건 어쩔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바형 스마트폰에서 눈에 띌만한 개선점은 이미 다 개선되었다고 생각하고, 이제 남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완성도를 높여가려면 비교적 효율적인 디자인을 할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효율성에 반하는 요소들은 쳐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HQtea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HQteam 님께
2023.09.29. 18:13

결국 살아남는 게 강한 개체이듯, 스마트폰 디자인도 마찬가지죠.

 

기업 입장에서 제조 과정이 효율적이면서, 소비자 입장에서도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울 만한 디자인만 살아남을 겁니다.

 

스마트폰 시장 초기에 그렇게 많고 많았던 폼팩터들 중에서 바형 스마트폰이 최종적으로 살아남았듯 말이죠.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그렇군요 님께
2023.09.29. 19:18

말씀하신걸 보고 생각해보니 초기에는 쿼티형 스마트폰도 있었죠 ㅋㅋㅋㅋ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propeller 님께
2023.09.29. 19:27

쿼티에 슬라이드에, 별의 별 폼팩터 많았죠 ㅋㅋ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2023.09.29. 18:05

소재를 다르게 가져간다던데 유리와 사이드 프레임의 접합부 마감에 신경을 쓴다던가 디테일을 다르게 가져갈 부분은 많아도 전체적인 형태는 다 비슷하게 가져갈 수 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ㅋㅋㅋ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미국인턴 님께
2023.09.29. 18:15

오히려 이제는 디자인 자체보다는 그 외적인 요소들이 더 차별화되는 느낌이죠.

 

당장 아이폰에 티타늄 때려 박으니까 두께가 얼마 안 된다느니, 유분에 취약하다느니 말 나와도 일단 예쁘니까 고급스럽다하는 말 나오잖아요 ㅋㅋ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마키세크리스
best 마키세크리스
2023.09.29. 18:42

아이폰은 이뻐서 팔리는게 아니라 그게 아이폰이라서 팔리는거라고 생각합니다. 로고만 어디 대륙제 이런걸로 바꿔도 디자인 쌍욕 먹을걸요?

[마키세크리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글쓴이
그렇군요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29. 19:28

둘 다라고 봅니다. 아이폰 디자인이 아예 못난 디자인은 아니라...

 

물론 이제 그 발칸포는 뇌절의 영역까지 온 거 같긴 한데...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이공
스이공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29. 20:55

갤럭시 애플거 베끼는데도 크게 욕 안먹는거보면 그건 아닌거같습니다

[스이공]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능충
best 성능충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29. 21:24

아이폰이 이쁘다는 이미지로 어드밴티지가 있을지언정

그 이미지도 아이폰이 계속해서 만들어온거죠

 

개인 호불호는 어느 디자인이든 갈릴 수 밖에 없는 것이고

대중적으로 정말 못생겼으면 이미지도 깨지기 마련입니다 

[성능충]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lair
best flair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29. 22:34

로고 바꾸면 디자인 욕먹는다는거 전혀 아니라고 봅니다 - 심한 비약이자 가정이네요. 아이폰이 매번 렌더링이나 유출때 별로다가 실물로 보면 마감으로 주는 만족감이 있습니다.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서 가지는 강점이죠.

[flai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너구리미니
너구리미니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30. 14:14

ㅋㅋㅋ

[너구리미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에드기인
에드기인 마키세크리스 님께
2023.09.30. 15:59

제품을 비교할때 이쁘냐 안이쁘냐로 판단하면 절대 우열을 가릴수가없죠.

얼마나 디테일하냐 일률적이냐로 판단해야되고 아이폰은 시간이 지나도 구식처럼 보이지 않게끔 디자인하는걸로 유명하죠.

 

사실 어느제품이 디테일하고 일률적인지는 이미 사람들은 알고있다 생각합니다.

[에드기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eronimo
best Geronimo
2023.09.29. 23:00

한쪽이 화면비, 화면크기 심지어 깻잎통 같은 세부 디자인까지 일방적으로 완전 동일하게 따라하는데도 수렴진화니 뭐니 하는 것도 그렇네요ㅋㅋ 적어도 디자인은 한쪽이 일방적으로 따라하는 것 같은데요

[Geronim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794 13
핫글 미니 아래 란즈크발 블로그 반박 [30] 흡혈귀왕 24.06.18 2186 20
핫글 미니 역시 최후의 승자는 엑시노스 2400이네요 [12] file LG산흑우 24.06.18 1400 20
핫글 미니 S24 울트라 6개월 쓰면서 별로였던 것들 [12] updatefile Beoplay31 24.06.18 970 14
205920 미니 칭화유니가 파산신청 했다네요 [31] Chrop 21.07.11 1579 12
205919 미니 태블릿에서만큼은 갤럭시 압승입니다 물론 제 의견 [13] 가시멜로관 21.06.09 1579 19
205918 미니 A90 사양 미쳤군요 [18] file LG알바 19.09.01 1579 0
205917 미니 삼성은 그냥 자기 갈 길 가면 됩니다. [13] 그렇군요 23.10.28 1578 29
205916 미니 루머) 벌써 유출된 갤럭시 탭 S9 시리즈 모델넘버...? [9] Section31 23.03.07 1578 4
205915 미니 샤오미 13 글로벌 가격 보니까 23가격 혜자네요 [16] file S7엣지 23.02.27 1578 13
205914 미니 S23 u 대만족이네요 [22] file 고라니는멋져 23.02.09 1578 11
205913 미니 그냥 딱 이렇게 예시를 들어보면 됩니다. [44] 도저히못참겠다 23.01.20 1578 10
205912 미니 원UI 최적화는 중보급형을 써보면 답이 나옵니다. [15] 시엠 22.07.26 1578 23
205911 미니 GOS가 벤치앱에도 적용됐으면 [19] 올챙떡국 22.06.13 1578 53
205910 미니 현대기아차 쓰시는 분들: 디지털키(?) [22] file 갤럭시Z플립4 22.05.04 1578 0
205909 미니 S22U로 드리프트 찍어봤습니다. [22] file 괴짜 22.03.29 1578 43
205908 미니 [루머] 갤럭시 Z 시리즈, 파생형 모델 하반기 출시 예정 [19] 프로입털러 22.03.26 1578 15
205907 미니 120Hz가 눈건강에 좋다 안좋다 결론난게 있나요? [20] Fold3 21.09.27 1578 0
205906 미니 워치4 배터리 조루인가요? [14] 필군 21.09.13 1578 0
205905 미니 iPhone 기기별 사용자 비율(Q1 2020->Q1 2021) [6] file Thomasp5675 21.06.07 1578 3
205904 미니 S20U QHD 120hz 인식되었네요 [16] file 두유 20.12.19 1578 2
205903 미니 스마트싱즈 기기들 전시하네요 [11] file Thomasp5675 20.10.08 1578 0
205902 미니 블라인드 게시물 익명 20.09.20 1578 21
205901 미니 삼성의 새로운 1000R 곡면 모니터.avi [2] 스퀴니 20.03.02 1578 0
205900 미니 23FE 갤스 쿠폰 논란이있네요.. [16] 배붕이 24.01.05 1577 7
205899 미니 D9300 실기기 성능, 쓰로틀링 괜찮네요. [18] file PQ 23.12.05 1577 16
205898 미니 스위치2 대박 좋네요? [9] BarryWhite 23.09.12 1577 12
205897 미니 삼성 엑시가 제네시스에도 공급되네요? 이거 성능 괜찮나요? [26] file 반박시맞아용 23.08.30 1577 1
205896 미니 품질로 승부…갤Z폴드5, 출고가 200만원벽 넘는다 [26] 존버합니다 23.07.16 1577 4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