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8CX Gen3(Microsoft SQ3) 재평가 가능성...?

  • Section31
  • 조회 수 1314
  • 2023.10.25. 09:36

https://meeco.kr/mini/37867312

 

위의 글을 참조하시면, Microsoft SQ3는 삼성 파운드리 5nm FinFET LPE (EUV)에서 제조되었으며, 긱벤치6 기준 평균 점수가 싱글코어 1527, 멀티코어 6195로서 이는 인텔 i9-9980HK와 같습니다.

 

인텔 i9-9980HK는 2019년식 맥북프로 16에 사용된 CPU이기 때문에, 대충 비슷하게 보시면 됩니다.

 

Microsoft SQ3 (스냅드래곤 8CX Gen3)는 TDP 9W이고, 시네벤치에서는 33W를 먹습니다. 그런데 오늘 발표된 스냅드래곤 X 엘리트에서는 긱벤치에서만 무려 50~51W를 잡아먹습니다.

 

TDP 9W로 설계된 8CX Gen3에서도 엄청나게 가혹한 워크로드를 테스트하는 시네벤치에서는 33W라는 소비전력을 보였는데, 긱벤치6에서만 51W 정도 되는 소비전력을 보인 X 엘리트는 시네벤치에서는 100W 또는 그 이상 잡아먹을 가능성을 아무리 봐도 부정할 수 없어 보입니다.

 

이건 도저히 맥북에어(MacBook Air)처럼 팬리스이면서 고성능 노트북 폼팩터를 노리는 제품이 아닙니다.

 

Apple M1은 15W, M2는 20W를 먹습니다. 이 정도가 팬리스 노트북의 한계 정도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20
흡혈귀왕
1등 흡혈귀왕
2023.10.25. 09:39

DX12만 지원하는 시점에서 제 입장에선 SXE든 S8cxG3든 도긴개긴입니다.

설령 루머처럼 외장 GPU지원 하더라도

 

x86_64 랩탑에서나 썬더볼트를 활용한 외장GPU가 효용성이 있지

arm64에???ㄷㄷㄷㄷㄷㄷㄷㄷ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흡혈귀왕 님께
2023.10.25. 09:43

최소한 서피스 같은 윈도 기반 태블릿이나 팬리스 노트북에서는 그래도

8CX Gen3(Microsoft SQ3)가 더 매력있는 SoC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능도 긱벤치6 기준 i9-9980HK 정도니까요.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흡혈귀왕 님께
2023.10.25. 10:32

음 일단 듣기로는 OpenCL이랑 불칸용 드라이버 스테이블 브랜치가 있긴 한데, 퀄컴이 이걸 드라이버 패키지로 합쳐서 내놓은 적이 거의 없다보니 폐쇄적인 스탠스를 취한다는 말도 있더라고요.

확답할 수는 없겠지만 나중에라도 나올 가능성이 0은 아닌 것 같네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2등 Antares
2023.10.25. 09:40

tdp 명목상인게 한두번도 아닌데

sq3 긱벤치6 소모전력을 봐야 맞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절대 9w는 아닐거 같은...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Antares 님께
2023.10.25. 09:41

시네벤치가 긱벤치보다 고부하로 알려져 있는데 거서 33w면 긱벤치는 그보다 적지 않을까여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Antares 님께
2023.10.25. 09:50

안타깝게도 Microsoft SQ3(8CX Gen3)는 긱벤치6 소비전력 데이터가 구글링을 해봐도 없는 상황입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Section31 님께
2023.10.25. 09:57

보니까 화상 회의 비디오 스트리밍 생산성업무 이런 일상 테스크의 평균이 9w네요 ㄷㄷㄷ 긱벤치는 확실하게 더먹을거 같습니다

카메라 키고 화상회의하는데 15w면 최소 그 이상은 하지 않을까 싶네요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3등 흡혈귀왕
2023.10.25. 09:47

Microsoft SQ3는 일단 아드레노700 시리즈가 아닌거랑 AV1 디코더 미지원 빼고 나쁘지않다고 봅니다.

긱벤치 기준 4600U보다 높은 성능이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2023.10.25. 09:54

그냥 같은 칩을 TDP 25w 정도로 제한한 세팅이면 여전히 절대성능으로 M2 Pro를 이기면서도 전성비도 좋습니다. (동 성능 기준 M2 계열대비 30% 더 적게 먹는다고 했었죠)

 

TDP 45w급 노트북에서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차력쇼로 최대한으로 뽑은 피크 성능을 낼 때 저정도까지 먹는다는거고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10.25. 09:56

제 생각엔 퀄컴이 만약 진정 애플 M시리즈와 경쟁하려 했다면 최고 워크로드에서도 여전히 M시리즈 대비 성능 및 전성비에서 모두 우세를 보였어야 한다고 봅니다. 게다가 애플은 효율코어도 집어넣은 거고요.

(덧: 하필 바로 일주일 뒤에 Apple Event가 있으니...)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3.10.25. 10:57

? 효율코어를 넣은 애플보다 안넣은 스냅드래곤이 동 성능 기준 전성비가 좋으면 오히려 이쪽이 더 대단한거죠.

 

말씀하신 것처럼 M3 계열을 감안해서 피크를 미리 최대한 높혀둔 면도 있긴 하겠죠. A17 pro를 보면 M3도 차력쇼를 할테니까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10.25. 09:59

그건 싱글코어 기준에서 동 성능 기준 전성비가 좋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멀티코어가 아닌)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3.10.25. 10:06

저 30% 언급은 그렇긴 한데 멀티코어 기준으로 따져도 스냅드래곤 쪽이 전성비가 더 좋긴 합니다.

그러니까 흔히 나오는 전성비 곡선으로 따지면 전반적으로 왼쪽 위에 있다는거죠.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10.25. 10:08

덧붙여,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X 엘리트는 M시리즈 Pro/Max처럼 전문사용자 계층을 타깃으로 하는 랩톱을 노리는 제품인 듯한데, 그 특성상 매우 고부하의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도 배터리로 오래 쓸 수 있는 것을 사용자들이 기대를 할 것 같습니다(그래서 Apple Silicon 기반 맥북 시리즈가 고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저전력모드 등 전력제한을 거는 상태에서는 마치 스포츠카에 포터 엔진을 다는 것과 별반 다를바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3.10.25. 10:13

그러니까 저전력이라는게 막 8cx Gen 3수준의 저성능 저전력이 아니라, M2 Pro 정도의 성능으로 제한하는걸 말하는거죠.

말씀하신 용도에서 경쟁 칩들 수준의 성능이 나오면서도 전성비나 유지력은 더 좋으니까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10.25. 10:16

M2 Pro 풀칩과 M2 Max는 본질적으로 똑같은 코어 구성에 똑같은 클럭이라 긱벤치6은 같습니다.

그리고 X 엘리트의 긱벤치6 멀티스레드 최고점수는 딱 그 정도로 보입니다.

그 상황에서 M2 Pro 풀칩 & M2 Max 대비 소비전력이 1/2나 더 많습니다.

 

이로 미루어보면 X 엘리트는 여전히 멀티스레드 전성비면에서는

M2 Pro/Max 대비 불리하다는 것을 추리해볼 수 있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3.10.25. 10:20

긱벤치 6 기준 M2 Max/Pro 풀칩 기준으로 딱 14000 중반~15000점 정도 나오는거 아닌가요? X 엘리트는 샘플때 확실히 15000점은 넘고 잘하면 중후반까지 나오기도 하는 것으로 압니다.

 

긱벤치 5로 비교하면 차이는 더 벌어지고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10.25. 10:22

공식 발표된 그래프를 눈으로 보니 i7-1360P 대비 40% 정도 더 높은 것 같은데,

i7-1360P가 긱벤치6 멀티 기준 대략 10500점 정도 나오므로 14700 정도로 추리되었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propeller 님께
2023.10.25. 10:16

저도 여기에 공감합니다.

 

윈도우 노트북 시장에서는 M2 Pro급의 멀티 성능을 내면서도 그와 비슷한 전력을 소모하는 CPU는 결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M2 Pro 급의 성능에, 전력은 오히려 더 적게 소모하는 CPU가 드디어 윈도우 진영에도 등장했다는 점은 정말 고무적인 일 같습니다.

 

특히 윈도우는 전원 옵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피크 클럭을 제한할 수 있기에 최대 성능을 원하는 유저와 M2 Pro 이상의 전성비를 추구하는 유저의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 같네요. GPU는 신경쓰지 않는 저 같은 입장에선 너무나 환영할 만한 CPU인 듯 합니다.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62 13
핫글 미니 S24 판매량이 동기간 전작보다 높네요 [9] file 퍼펙트게임 24.05.31 1004 18
핫글 미니 요즘 가장 잘 쓰는 기기 갤럭시북S [10] file 달콩이 24.05.31 836 10
핫글 미니 이것이 윈도우 xp [1] file 퍼핑 24.05.31 401 8
203229 미니 현재 갖고싶은 노트북 [13] file 구골플렉스 19.03.18 296 0
203228 미니 A8은 이제 보내드릴 때가 되었죠 [성공]함께크는성장 19.03.18 81 0
203227 미니 결론적으로 이 모든 건 삼성이 [1] [성공]함께크는성장 19.03.18 180 0
203226 미니 제 프로 10.5는 어찌 되는 겁니까 [10] 전자정보공학부 19.03.18 267 0
203225 미니 ??? : Hello [3] 다잊어야해욥 19.03.18 203 0
203224 미니 10e 배터리 이정도면 어떤가요 [1] file 오리제 19.03.18 205 0
203223 미니 S10 512기가 92만원 어떤가요 [12] 숲속의참치 19.03.18 213 0
203222 미니 오늘에서야 구글의 무서움을 실감했습니다. [7] A7S2 19.03.18 333 0
203221 미니 여러분 정신차리십쇼 [2] ChiangMai 19.03.18 203 0
203220 미니 덱스패드 궁금하긴 한데 여러분은 어캐 쓰나요? [5] ChiangMai 19.03.18 121 0
203219 미니 아이패드 미니 떡상인가요... [3] 으엉 19.03.18 271 0
203218 미니 애플 발표가 언제죠?? [5] 기기덕후 19.03.18 184 0
203217 미니 결론은 삼성 이것들아 좀 분발해라 [2] [성공]함께크는성장 19.03.18 260 0
203216 미니 아 이러면 안돼는데 [2] 숲속의참치 19.03.18 138 0
203215 미니 태블릿은 아이패드 귀주대첩 19.03.18 109 0
203214 미니 그래도 패드프로10.5 성능 >> 패드에어 10.5 이겠죠? [9] 기기덕후 19.03.18 399 0
203213 미니 뭐 큰 기대는 안했지만 [2] file Helix 19.03.18 266 0
203212 미니 안드로이드도 태블릿 좀 나왔으면 좋겠네요 [4] [성공]함께크는성장 19.03.18 138 0
203211 미니 '그거' 나왔다고 해서 유튜브에서 찾아보는데 [4] file 프라페노 19.03.18 378 0
203210 미니 미니5도 유리와 디스플레이 사이 갭 있나요? [2] 갤럭시S2 19.03.18 236 0
203209 미니 미니5가 끌리긴 하지만... 다물 19.03.18 97 0
203208 미니 그래서 패드에어 10.5는 램이 얼마죠? [5] 기기덕후 19.03.18 216 0
203207 미니 삼성, 애플 아이패드 신제품 공개에 맞서 고사양 태블릿PC 공개 .."용호상박" [10] 갬럼심 19.03.18 451 0
203206 미니 아 몰라 미니5 삽니다. [4] Helix 19.03.18 259 0
203205 미니 램 행복회로 [5] F9F 19.03.18 214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