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WayBack

미니 M3 Max GPU는 거의 PC급이네요.

  • WayBack
  • 조회 수 2351
  • 2023.11.07. 20:33

IMG_8575.jpeg

대강 같은 메탈 API 내에서 비교한 거니까

성능은 1:1 비교가 될겁니다.

 

RX 6700 XT 하고 RX 6800 XT 사이라고 봐도 되려나요?

노트북에서 이정도 성능이 나오는 세상이 온 게 신기하네요. 

WayBack
Remember 416
일본불매/NO JAPAN

MacBook Pro Early 2015 13"
iPhone 11 White
Mac Pro 2019
iPad Pro 12.9 Space Grey (2021, M1)
AirPods Pro (2nd generation)
MacBook Pro 14" Silver (M2 Max)
iPhone 15 Pro Natural Titanium
댓글
35
루티
1등 루티
2023.11.07. 20:38

지원되는 게임이 많지 않아서 그림의 떡이긴 하지만...

높긴하네용ㅋㅋ

 

반대로 특정 작업용으로는 추종을 불허하긴하쥬 :)

[루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진셕
2023.11.07. 21:34

근데 재밌는게 여기선 모바일하고 반대네요. 뭔가ㅋㅋ 모바일은 메탈빨 받고 실성능 좋은데 엔비디아 쪽하고 비교하면 성능도 심하게 딸리고 메탈빨도 없고

[진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est 3등 BarryWhite
2023.11.07. 22:06

6850M이 6700XT 그대로 쓴 걸로 아는데

랩톱에 들어간지 꽤 됐습니다......

가격도 M3 맥스 맥북에 비해 저렴하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2:12

근데 그 물건 전력 소모가 어마어마하지 않나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2:23

TGP를 얼마로 잡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모바일 RTX4090도 최대 150W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요.

다 랩톱에 들어가서 잘 작동합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2:33

어우 전기먹는 하마에 불덩이겠군요. ㄷㄷㄷㄷㄷㄷ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2:35

그래픽 성능 내는 만큼

전기 먹고 열나죠.

초전도체라도 나오는 거 아닌 이상은.

그건 내장 그래픽들도 마찬가지인데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2:39

근데 왜 M3 Max 글을 적었냐하면 쟤는 전기 그정도로 안 먹어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2:44

그건 당연한게 쟤는 4090성능을 못내잖아요.

(4090 모바일이 데탑 4080에 클럭 다운 전력 제한 모델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그 이상 전기를 먹여도 성능 향상이 무의미한 거고요.

M1 프로와 성능 비슷한 3050Ti(모바일)도 45W 정도로 TGP 걸고 잘 쓰입니다.

M1, M2 맥스나 울트라로 게임하시는 분들 글도 봤는데

발열에 배터리 광탈은 다 똑같습니다.

공정 차이에 따른 이점은 있겠지만,

현재로써 전기도 안 먹고 발열도 안내면서

성능 좋은 그래픽카드를 만들어내는 건 어렵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2:46

뭐 빡센거 굴리면 그렇겠지만 쟤는 전원 어댑터 없어도 퍼포먼스 잘 나옵니다. M2 맥스 맥북프로 보유해서 쓰는 중인데 확실히 엔비디아 암드 겜트북 보다 GPU 전성비는 압도적이긴 해요. 맥에서만 굴러가니까 블렌더 이런건 별로이긴 합니다만... 일단 암드에 비해 훨씬 낮은 전력에 6700 XT 조금 넘게 나오는 거 보면 신기하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2:52

애플이 그래픽 후발주자라는 입장에선 대단한 게 맞지만

공정 차이 생각하면 전성비는 크게 이상한 것도 아니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2:53

근데 M1 시절 그래픽 생각해봤을 때 공정 차이를 넘는 것 같긴 했는데 요즘엔 아드레노도 빛을 볼 것 같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2:57

M1은 시작부터 5nm였고 1050ti 모바일은 14nm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3:01

M1, M1 Pro, Max 모두 말씀드린 거에요. 그거 모두 동세대 글픽 카드들 보다 훨씬 전력소모 낮았거든요. 당시라면 엔비디아 3000 시절이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3:11

3000번대 전성비는 안 좋기로 유명하죠

삼성 파운드리 8nm 기반 생산이었고

그게 4000번대 TSMC로 넘어오면서

전성비 차이가 극도로 나게 됐습니다.

오죽하면 성능 향상이 크진 않아도

전세대 대비 전력 소모, 발열 줄어든 것 때문에

좋다고 하는 유저들이 많으니까요.

 

애플이 공정 차이를 뛰어넘는 

전성비의 그래픽카드를 만들었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차피 최고 수준의 그래픽 카드를 쓴다는 건

전력/발열을 감당하고 게임이든 뭐든 한다는 걸 뜻합니다.

랩톱에서 발열이 많이 나고, 전력을 많이 먹는다고

헤비 게이밍 유저가 게이밍 노트북 대신 맥북을 구매하진 않겠죠.

오히려 그만큼 쿨링 시스템 좋고 내구성 좋은 제품을 사서

게임을 할 겁니다.

 

정말 전성비를 따진다면 스팀덱을 사서 8W 제한 걸고

게임해야겠죠.

 

전성비 뿐만 아니라 가성비를 따지고 보면

사실 그냥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 사는 게 맞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BarryWhite 님께
2023.11.07. 23:11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3:15

일단 둘 다 5나노인 M2 Ultra vs RX 7900 XT만 봐도 동급 성능에 전력이 몇백와트 차이입니다. 그냥 엔당하고 암드 그래픽이 전력을 심각하게 쳐묵하는 걸로 밖에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est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3:30

지금 계속 주제 전환하며 말씀하시는 거 보면

그냥 애플 실리콘 GPU에 대한 긍정만 하시려는 것 같은데요.

드리고 싶은 말씀은 위에 다 드린 것 같습니다.

 

1. 이런 사양의 그래픽 카드는 이전부터 랩톱에 들어간다.

2. 사실 공정 차이를 놓고 보면 놀라운 전성비는 아니다.

3. 고성능 유저들은 제품 전성비만 놓고 구매하는 게 아니다.

 

언급하신 게시물 댓글에도 비슷하게 적혀있지만

AMD RX7000 시리즈는 차력쇼의 결과라서 전성비 안 좋습니다.

그냥 AMD가 삽질한 거라는 거죠.

차라리 이번에 전성비 칭찬 받는 4000번대와 비교를 해보시는 게 나을 듯하고요.

 

거기다 더불어서 블렌더 기준만 놓고 볼 게 아니라

다른 성능들도 봐야죠......

 

인텔 내장 그래픽은은 8K 유튜브 돌리고

AMD RX6000번대는 못돌리니 전력만 처묵하는

쓰레기 글카일까요?

아니겠죠?

 

시장에서 AMD는 외면 받긴 하지만

그래도 엔당 못 사 안달인 건

그 이유가 있겠죠?

 

물론 언젠가는 맥북 게이밍 환경도 좋아지고

절대 성능도 외장 글카에 근접하거나 따라잡을 수 있겠지만

지금 게이머나 AI 생성 유저들의 선택이 애플 실리콘일까요?

 

비교 우위 때문인지

자꾸 외장 쪽을 폄하하려는 방향으로 글을 쓰시는데요.

저도 애플 실리콘 성능이나 전성비 좋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지금 데스크탑, 외장 그래픽 카드를 처분할 만한 수준이나

이유가 된다고 보진 않습니다.

 

전기 먹는 하마라고 표현하셨는데

300W 먹고 비슷한 성능이면 똑같이 전기 먹는 하마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7. 23:55

저 맥 스튜디오는 CPU+GPU+SSD 등 "본체 토탈" 입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7. 23:58

압니다. 그래서 사용성과 전력 수준을 따져봤을 때

정말 한 쪽이 그저 전기 먹는 하마라고만 표현될 정도냐는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20

근데 여담이지만... 본체에 넣어서 CPU SSD 등 다 넣어서 몇백와트 추가되면 ㅎㄷㄷ하겠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0:33

일단 자꾸 SSD 언급하시는데

평소 2~3W먹고 고성능 모델이나 고속 쓰기 할 때 10W넘게 먹습니다.

SSD 유무는 큰 차이없다는 뜻이에요.

 

그리고 CPU GPU를 풀로 갈구는 작업을 했을 때

전반적인 성능과 효율 차이를 보셔야죠.

그냥 전력 많이 먹으니까 나쁘다고 하시면 할 말이 없는 겁니다.

그리고 그래픽 카드 성능 뽑아낼 때

CPU 전력 소모가 몇백와트까지 안가요....

 

12900H TDP 45W고 터보가 터져야 115W인데

터보 안터져도 웬만한 그래픽카드 다 커버합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35

CPU GPU SSD "등"이라고 적었습니다. 그 외 기타 잡다한 IC 등 온갖 부품들 다 합쳐진 의미로 적은 건데 자꾸 "SSD"를 언급한 게 아닌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0:12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 더 말씀드리면

DLSS니 FSR이니 메탈FX니 나오죠?

 

DLSS 3.5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네이티브와 비슷한 품질에

프레임은 증가하면서도

전력 소모는 줄어듭니다.

같은 4K를 돌려도 DLSS를 거친 가짜 4K면

실사용에는 지장없는데 전성비는 오른다는 거에요.

 

요즘 글카들 성능 향상 폭이 크지 않고

AI 머신러닝 등이 우세다 보니

이런 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FSR3.0도 마찬가지고요.

 

자 이런 상황에서, 단순히 최대로 퍼먹는 전력량이 높다고

무조건 전력량을 많이 먹는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제시하신 건 그냥 단순한 계산에 가까울 뿐이고

그마저도 종합적인 게 아니라 일부 수치만 놓고 말씀하시는 겁니다.

저도 덩치 크고 뜨거운 데탑을 

맥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지만,

아무리 고민해봐도 사용성이나 가성비에서 맞지 않죠.

 

게이밍이라도 게임에 따라 최적화가 갈리고

거기에 따라 또 전성비가 갈리는데

지금 하는 논쟁은 지엽적인 이야기일 뿐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24

DLSS 같은 건 그래픽 찐성능이 아니잖아요...? 그래픽 찐성능을 얘기하는데 그런 것까지 대입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래픽 쓰는 작업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무조건 성능하고 전성비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생각하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0:29

글카 머신러닝 성능도 성능입니다......

그걸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지.

안 그럼 그냥 쓸데없이 커진 거죠.

깡성능만 놓고 비교할 거면 진짜 동일한 구조에 아키텍처만 달라야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36

어차피 긱벤치는 로우레벨 벤치이기도 하고 GPU vs GPU이기 때문에 깡성능 비교하늗데 그렇게 까지 진짜 동일한 구조에 아키텍쳐'만' 다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0:42

그럼 긱벤치로 비교하면서 쓰시면 됩니다.

(긱벤치가 전성비를 정확하게 표현해주진 않겠지만요)

다만 실제 사용성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말이고

그걸 전기 먹는 하마라느니, 불덩이라느니 그냥

폄하만 하시는 건

사실상 해당 제품들을 쓰지 않으시거나

쓸 일이 없는 분의 시야로 밖에는 안보이는 거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43

마지막 댓글이지만 블렌더도 마찬가지고, 현재 인텔 맥에 RX 6800 XT, RX 6900 XT 작업용으로 잘 굴리고 있습니다. 사실상 해당 제품들을 쓰지 않으시거나 쓸 일이 없는 분의 시야로 밖에는 안보인다는 말씀은 유감이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0:46

그 제품을 쓰고 계시면 고작 150W TGP의 4090 모바일에

전기먹는 하마, 불덩이라고 하실 이유도 없죠.

전성비가 훨씬 좋은 제품인데.

 

애당초 성능 격차와 공정 차이에 의한

발열량 차이는 존재할 수 있는 건데

왜 자꾸 그걸 강조하며 비교 우위로

한 쪽 제품만 긍정하시려는 건가요.

 

말씀하시는 좋은 칩 놔두시고

지금 RX 6000번대 시리즈를 쓰시는 이유는 또 뭘까요.

별도의 이유가 있으니까 쓰시겠죠?

 

마찬가지인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0:52

이유요? 업그레이드 용이하다는 거 말고는 장점 모르겠네요. 맥 스튜디오가 압도적으로 비싸다는 거 정도 때문이랄까요? 어차피 M2 Max도 있어서 큰 상관 없습니다. ^^ 작업할 때 M2 Max던 RX던 같은 OS에서 쓰는데 별도의 이유가 있을까요.. ㅎㅎ 체급상 M2 Max 보다는 RX 성능이 조금 더 좋으니 쓰는 거 정도... 울트라 정도면 모르겠지만... ㅎㅎ 근데 전력 퍼먹는 건 아쉽네요. ㅠㅠ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1:01

업그레이드나 가성비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죠.

성능이 좋아도 결국 가성비가 안 좋으면 외면 받고요.

M3 MAX 맥프로 가격 보니까

4090달린 고사양 데스크탑 맞춘 것보다 비싼데요.

전성비 차이가 가성비 만큼 크지 못한 거죠.

게다가 실제 사용하는 환경에서 전력 소모를 생각하면

단순 최대 전력 소모 비교는 의미도 없고요.

실제로 렌더링 성능 비교하면 차이 더 크겠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arryWhite 님께
2023.11.08. 01:05

네... 뭐 여담이지만 그래도 가격은 비싸다고 생각하네요. 뭐 그정도 CPU 넣고 본체 하나다 생각하면 그럴싸하긴 한데 그래도 eGPU 등 이런거 허가 안해주는 건... 이건 가격 생각하면 공감합니다. 전성비나 성능은 둘째치고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WayBack 님께
2023.11.08. 01:30

그 가격이 결국 칩을 어떻게 구성하고 생산하느냐,

전성비에 또 영향을 끼칩니다.

그걸 감안해도 애플 실리콘 상위 라인이 비싸게 느껴지는 거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49 13
핫글 미니 AS는 삼성임을 오늘도 다시 한 번 새깁니다 [4] [성공]함께크는성장 24.06.15 946 16
핫글 미니 온릭스 S24 FE 렌더링 [13] file 노다 24.06.15 1198 12
핫글 미니 갤럭시 AI 창의력;;; [9] updatefile Pepsi베어 00:16 977 11
211562 미니 40만원이하의 공기청정기 추천부탁드립니다 [2] dkdkdkdkzps 19.04.29 131 0
211561 미니 블루투스 스피커 추천 좀요 [4] A7S2 19.05.04 131 0
211560 미니 파나소닉 s1h, 10-25mm 보도자료 유출 [2] file 팝카드있으세요 19.05.31 131 0
211559 미니 집에 있는 시리즈 3 뜯어서 써멀그리스 재도포 해주려고 했는데 [2] Havokrush 19.07.15 131 0
211558 미니 팬파티 놋십 사전예약자는 개통확인후 연락주나요? [3] 화이트갤럭시 19.08.19 131 0
211557 미니 동남아쪽에서 탭S3랑 A 파이 업데이트 시작했네요. [2] 기변증 19.08.22 131 0
211556 미니 벨킨 차량용 pps충전기 사용후기 file aleji 19.09.03 131 0
211555 미니 이런 부류의 문제에서는 구글의 역할이 중요한데 [7] Score_고동빈 19.09.07 131 0
211554 미니 홈 미니를 주로 쓰니까 故기어VR 19.09.09 131 0
211553 미니 휴대폰 usb 포트로 파일 이동 하시는분 많으신가요? [1] 냐옹옹 19.09.18 131 0
211552 미니 이제 남은건 맥 뿐입니다 [1] sands 19.09.18 131 0
211551 미니 보안 지키는거 간단하지 않나여 [2] 팝카드있으세요 19.09.18 131 0
211550 미니 서멀 뭐가 좋을까요? [2] Chrop 19.09.26 131 0
211549 미니 알루미늄 바디 나오네요? [1] 서녘마리 19.10.02 131 0
211548 미니 아니 내년에 낼거면 내년에 발표해 %#$&들아 [1] 버드미사일 19.10.03 131 0
211547 미니 이번 베타는 갓락땜에 못해보겠네요 ㅠㅜ [1] 난민 19.10.10 131 0
211546 미니 호민증 [1]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19.10.10 131 0
211545 미니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추천부탁드립니다 갤폴드를쓰는겁니다 19.10.13 131 0
211544 미니 디프서 구입한 폴드 삼성닷컴 조회 말입니다. file 심플리 19.10.14 131 0
211543 미니 픽셀 이 와중에 OTG 젠더는 또 끼워줬군요 비온날흙비린내 19.10.16 131 0
211542 미니 글 링크도 드래그가 되는군요. [1] file 기변증 19.10.24 131 0
211541 미니 저희집 SK 속도 어떤가유 [3] file 말리노스 19.10.28 131 0
211540 미니 첫 맛폰이라... [4] file 헤페바이쎄 19.11.17 131 0
211539 미니 첫 스마트폰이라..... file 포테갈리니언 19.11.17 131 0
211538 미니 갤스11시리즈는 망원렌즈센서나 초광각센서도 업글되겟죠? [2] 갤럭시S20존버 19.11.28 131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