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실바누스

미니 카카오는 진짜 기술이 없는 기업이긴 하네요...

개인적으로 카카오의 내수원툴 없어도 되는 기업이라는 말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카카오가 골목상권을 침해한다고 하는데 그 골목상권을 파고드는게 더 좋은 서비스이니깐요

 

전 우리나라가 수출에 너무 목메는 것도 잘못됐다고 봅니다

 

부를 증가시키는 것은 단지 수출만이 아니니깐요 더 좋은 서비스를 받는 것도 부를 증가시키는 것이고 내수기업도 중요한 이유겠죠

 

카카오택시나 대리기사든 카카오가 들어옴으로 인해 훨씬 편하게 소비자가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됐고 택시기사분들도 수입이 더 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비효율적인 부분을 카카오가 더 효율화시켰다고 전 봅니다 그 자체로 긍정적이구요

 

근데 네이버랑 비교할 때 진짜 기술이 없기는 한거 같습니다

 

네이버는 ai나 쇼핑이든 여러가지 기술들을 개발할려고 시도하고 그러는데 카카오는 진짜 뭐 없네요...

 

국내의 비효율적인 중소기업들 손모가지만 비틀줄 아는 기업이고 좀 크게 할려는 맘은 전혀 안보여요 ㅎㅎ

 

카카오의 미래가 있을까 싶습니다 유지야 되겠지만 말이죠...

댓글
17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
best 1등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
2023.11.09. 10:45

골목상권 파고들어서 다죽이고 실질 가격 올라가는 시점에서 내국인들한테 좋은말 듣기힘들죠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실바누스
글쓴이
best 실바누스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 님께
2023.11.09. 10:52

골목상권얘기는 잘 모르겠습니다 택시로 보자면 그럼 아직도 직접 택시를 잡거나 콜택시로 택시를 잡아야했을까요? 비효율적인 중소기업이 문제인거지 더 좋은 회사가 그 자리를 장악하는게 나쁜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결국 비효율적인 중소기업들이 초과이익을 가져가는 것 뿐이고 소비자들은 비슷한 돈으로 불편한 서비스를 받는 것이라고 봐서요

[실바누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실바누스 님께
2023.11.09. 11:44

골목상권 얘기는 결국

중소기업에서도 가능한 일을 카카오는 자본과 인력으로 쉽게 쓸어담았다는 의미이고

네이버는 같은 능력을 대기업에서나 가능한 분야로 투자한 결과

현재의 네카간의 수준차이가 생겨났다... 얼추 이런 뜻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등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023.11.09. 10:46

카카오는 라이언 원툴 아닙니까? 애초에 회사의 근본이 네이버랑은 비교가 안됩니드아...

[아재건달_보노뭘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Dcard
SDcard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님께
2023.11.09. 10:52

라이사 탄핵중입니다. 춘식이 원툴입니다!! 춘식춘식!

[SDcar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실바누스
글쓴이
실바누스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님께
2023.11.09. 10:52

근본차이가 어마하긴 해요 물적분할 양아치짓만 해도...어마어마하죠...ㅎㅎ

[실바누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3등 propeller
2023.11.09. 10:50

그리고 정작 카카오보고 문어발이라고 욕하면서 내수원툴이라고 욕하는게 코미디더라고요 ㅋㅋㅋㅋ

그 계열사 줄줄이 나온 기사 사진으로 "문어발"로 욕먹는 부분중에 상당수가 국내외 엔터테인먼트 관련 회사를 인수하거나 지분을 투자한거죠. 그렇게 사람들이 외치는 해외 진출도 문화 컨텐츠 분야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건데 말이죠.

 

애초에 내수 서비스로 시작한 기업이 다른 분야로 확장을 하면 당연히 문어발이 되는건데 문어발이라고 욕할꺼면 내수원툴이라고 욕하면 안되는거 아닌가 싶네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NNURI propeller 님께
2023.11.09. 10:51

테크기업을 자처하는데 해외 나가겠다고 엔터테인먼트 인수합병해서 세 늘리는 것이 무슨 의미일지 잘 머르겠습니다. 뭐 회사야 돈 벌려고 있는 데니깐 뭐라 하지는 못하겠습니다만

[ONNUR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best propeller ONNURI 님께
2023.11.09. 11:04

예시로 일본 소니도 전자업체였는데도 사업 확장으로 소니 픽처스를 만들고 여러 스튜디오를 인수하기도 했었죠.

말씀하신 것처럼 테크 기업과는 방향성이 좀 달라지긴 했지만, 안된다거나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네요.

 

네이버는 포털로 시작했으니 구글과 유사한 방향으로 진출하는 것이고 카카오는 다음을 인수하긴 했어도 원래 출발은 플랫폼 기업이었으니 그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영화나 게임 같은 문화 산업 방향으로 진출하는 것 아닌가 싶네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NNURI propeller 님께
2023.11.09. 11:07

흠... 맞는 말이군요. 추천합니다 

[ONNUR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Antares
2023.11.09. 10:57

네이버는 각춘천 이여 각세종도 열었는데 카카오는 이제 안산에 하나 지은거만 봐도..
데이터 센터 규모 차이도 어마어마한테 개인적으로 테크기업으로 같은선으로 봐주는게 네이버의 수치아닌가 싶습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3.11.09. 10:59

뭐.. 저도 여기저기 발뻗어서 내수 먹는건 별 문제 없다고 보는데

문제는 본업인 테크 분야에서 어느정도 리더의 자리에 있는 만큼의 기술력을 뽐내지 못하고 있는거라고 봅니다.

국내 일류급 테크 개발자들 모은지도 이제 10년이 다되어가는데 말이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Dcard
best SDcard
2023.11.09. 10:59

전체적으로 읽히는 맥락은 기술력 부족한 플랫폼 기업이네요.

개인적으로 플랫폼 기업은 창출하는 부가가치에 비해 많은 돈을 가져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플랫폼 기업은 절대 독과점이 형성되지 못하게 - 물론 모든 기업이 마찬가지입니다.-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 체제에서만 동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그래도 자본주의의 한 면 - 돈으로 돈 버는것, 봉이 김선달도 능력이다- 와 같은 부분만 지지하고 인정하게 만드는 (공정이 사라진) 경쟁 만능주의 때문에 사실 플랫폼 기업은 정보의 비대칭으로 돈을 쓸어담고 있죠. 

그리고 회사 내부는 부도덕의 산실이고 족벌경영체제를 구축하고 있어서 저는더 성장할 회사는 아니라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내수 원툴과 문어발은 별개의 이야기 같습니다. 내수가 중심인 기업이 맞지만 교묘하게 대기업 제제가 안되는 항목들만 상호간에 관련도 없는 사업을 확장하는것은 문어발이 맞죠. 관련있는 사업들을 플랫폼 안에서 윈윈할 수 있고, 더욱 경쟁력 있는 서비스 제공의 판을 깔으면 문어발이 아니지만요. 

[SDcar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여우같은하비
여우같은하비
2023.11.09. 11:12

한 기업이 내수를 엄청나게 먹어버리는게 좋다 보기도 어렵고 그 과정에서 기술 빼돌리는 방식이나 여러 좋지 않은 모습이 뉴스에도 나오기도 했지요. 지나치게 문어발을 뻗고 제대로 관리도 안 하는 모습이 좋게 볼 수가 없습니다.

[여우같은하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3.11.09. 11:13

이번 화물 플랫폼도 기존의 중기 기술 유출 의혹도 있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ngdang
Pongdang
2023.11.09. 23:22

플랫폼기업은 딱히 좋게보이진 않습니다.

조금의 편의성을 댓가로 시장을 점령해 거대한 수수료를 뜯어가고, 그 와중 스마트폰 사용이 힘든 어르신들은 그 서비스를 아예 이용 못하게 막아버리고 있기 때문이죠.

택시나 배달음식이 그렇습니다.

이젠 사람이 몰리는 곳에선 카카오택시 아니면 택시타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음식도 전화배달은 받지않고 어플로만 배달해시켜야하는 등 특정이용자들은 아예 배제해 버리는 모습에 오히려 전 반감이 생기더라구요

[Pongda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18 13
핫글 미니 재부팅 하기 좋은날 Seaz 07:52 596 17
핫글 미니 다른 거 부실해도 램은 빵빵했던 그 녀석 [25] updatefile RacingMiku 14:39 368 10
핫글 미니 갤럭시 S26 쯤에 페이스ID 적용? [10] updatefile BarryWhite 10:07 943 8
203930 미니 One UI 홈 업데이트도 "줘" [2] file 감비아도나츠 23.11.27 833 3
203929 미니 아이폰 128GB도 쓸만할까요? [18] IXAC 23.11.27 721 2
203928 미니 제조사에서 부품 제조할 때 일련번호를 [4]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588 2
203927 미니 밑에 아이폰 수리거부는 근거가 없지 않은 듯요 [21] file 미하엘무야허 23.11.27 1354 10
203926 미니 다이소에서 LED스트립도 파네요 ㅎㅎ [4] file 미붕붕드링크 23.11.27 2509 2
203925 미니 겨울철 워치는 역시 불편하군요 [10] 댕밤 23.11.27 578 1
203924 미니 앤커 보조배터리 도착했네요 [5] file 인절미빙수 23.11.27 595 3
203923 미니 광군, 블프 득템한거 왔슈 [4] file 김애용 23.11.27 586 6
203922 미니 탭 S9 시리즈 One UI 6 업데이트 배포 시작했습니다. [10] file 바닐라라떼 23.11.27 755 8
203921 미니 다른 좋은 광고들 참 많지만 전 이 폰 광고가 제일 좋네용 [1] 릅갈통 23.11.27 313 0
203920 미니 s22+ 배터리 교체로부터 일주일 후기입니다. [4] file 미붕붕드링크 23.11.27 722 2
203919 미니 폴더블5 원유아이6.0 기원 1일차 [6]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3.11.27 349 0
203918 미니 소식: TSMC 회장, "대중 제재로 혁신 둔화 직면 가능성" Section31 23.11.27 398 0
203917 미니 잡담: 아사히 리눅스 팀,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에 관하여 공지 [7] Section31 23.11.27 478 1
203916 미니 밑에 애플 수리 거부 건은 애플이 증명해야 하지 않나 싶네요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604 10
203915 미니 애플 수리거부 또나왔네요 [30] file 여가어딥미코 23.11.27 2087 30
203914 미니 어제 스크림6를 보는데 배우들 폰에 눈이가더라구요 [4] file 카더 23.11.27 698 5
203913 미니 25년에 기대하는거....... [5] 흡혈귀왕 23.11.27 642 0
203912 미니 애플 최초의 비서울 경기도 하남 매장 12.9 오픈 [21] 요트맨 23.11.27 1196 7
203911 미니 긱벤치 돌릴수록 점수가 올라가네요 [2] file 체시르 23.11.27 684 0
203910 미니 아이폰 15PM 긱벤치6 3K 넘긴 하네요. [1] file ZAMIBOYAK 23.11.27 768 4
203909 미니 픽셀 스타일 워치페이스 추천 [7] file fin 23.11.27 1041 15
203908 미니 아이폰 케이스 브랜드 질문좀 드립니다... [4] Ginza 23.11.26 576 2
203907 미니 갤럭시 스마트폰은 점유율이 점점 떨어지는데 [25] file MiKor82 23.11.26 2430 12
203906 미니 궁금하기. 청량함이 있는 케이스 리뷰기 [12] file 잇흥 23.11.26 1728 2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