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히트맨

미니 갤럭시 라이트모드 꽤 체감되지 않나요?

  • 히트맨
  • 조회 수 1589
  • 2023.11.25. 13:51

https://twitter.com/Golden_Reviewer/status/1623606721087438848?t=LvuePPStloDH5D_xKDFOPw&s=19

골든리뷰어의 라이트모드 관련 측정치입니다.

 

사용 패턴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더 먹는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은 어떤 근거가 있을까요? 

댓글
15
CaffeineJuice
best 1등 CaffeineJuice
2023.11.25. 14:00

실사하는 경우에 S23U 기준 이미 배터리가 너무 오래가서 라이트 모드에서 더 오래 간다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다만 라이트 모드에서 유튜브 PIP 돌리면서 브라우저 켜면 60hz로 프레임이 떨어지는 등 분명한 단점이 있어서그냥 일반모드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본문 트윗 보면 벤치점수 높다고 다 좋은거 아니다~ 하면서 정작 자신은 라이트모드 벤치 효율 들고오는건 어불성설 아닌가요? 아무리 일상적인 생활 패턴이라고 해도 매번 전력효율 스윗스팟만 쓰는건 아닐테고요.

[CaffeineJui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히트맨
글쓴이
best 히트맨 CaffeineJuice 님께
2023.11.25. 14:14

결국 당장 눈에 보이는건 측정치이니. 리뷰어가 벤치마크 측정치로 비교하는걸 머라고 할 수는 없는 일이죠. 

 

다만 라이트모드가 원리상 최대클럭을 깎아서 스윗스팟을 넘기지 않거나 과도하게 넘는걸 방지하는건데, 오히려 더 먹는다는 주장은 이해가 안되서 말입니다.

[히트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적당히하자
2등 적당히하자
2023.11.25. 14:01

저도 다른분들 후기 보고 라이트모드 끄고 살았는데 다시 켜봐야겠어요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따끔따끔
3등 따끔따끔
2023.11.25. 14:22

클럭외에도 전류를 더 소비하게하는 요소는 많이 있죠. 라이트모드를 켜서 최상단 클럭들을 막아서 전류가 더먹는건 인과관계가 안맞긴하죠.

[따끔따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산흑우
LG산흑우
2023.11.25. 14:38

사실 제가 아까 글올린것도 '체감이 안된다'가 요지지, 결국 절대적으로는 라이트모드 전력소모가 적은건 당연하지 않을까 싶네요

[LG산흑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Ultra′
′Ultra′
2023.11.25. 14:58

유튜브에서 누가 테스트 해줬으면 좋겠군요

클럭을 낮춘만큼 다른 코어에서 일을 더 하는데 그 전성비가 별로 안나온다거나 할수는 없으려나요.

[′Ult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2023.11.25. 15:27

배터리 소모량과 관련하여, 작동 클럭을 낮게 제한함으로써 얻어지는 전력 소모 감소만 고려하면 안 됩니다. 여기엔 처리 시간과 관련한 요소는 배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클럭을 낮게 제한하면 전력 소모는 줄어들겠지만, 성능 또한 줄어들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처리 가능한 작업량도 감소합니다. 이 말은, 동일한 작업을 처리함에 있어 라이트 모드가 일반 모드 대비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의미죠.

 

AP가 사용한 배터리 소모량은 '특정 작업의 처리 소요 시간' X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AP가 소모한 전력량' 으로 계산될 것입니다. 라이트 모드에선 후자인 전력량은 일반 모드 대비 감소하겠지만, 전자인 처리 소요 시간이 증가하여, 최종적인 계산 결과는 두 모드에서 별 차이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이죠.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일반 모드에서 단위 시간당 1W를 소모하며 2초만에 특정 작업을 처리했다면 1X2=2 만큼의 전력을 소모한 것이고, 라이트 모드에서 동일한 작업을 단위 시간당 0.7W를 소모하며 3초만에 처리했다면 0.7X3= 2.1만큼의 전력을 소모한 것이겠죠. 이와 같이 경우에 따라 라이트 모드의 전력소모량이 일반 모드보다도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라이트 모드가 단위 시간 당 전력소모는 적을지라도 작업 처리 시간 자체가 길어지기 때문에, 소요 시간을 고려한 총 전력소모량은 라이트 모드와 일반 모드가 거의 비슷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라이트 모드 쪽에서 오히려 늘어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제 사용패턴에서는 모든 변인을 통제하고 웹서핑을 했을 때 라이트 모드의 1% 당 화면켜짐 시간이 5~10초 정도 오히려 적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저부하 작업 대신 피크 수준의 부하가 계속해서 걸리는 작업을 주로 하신다면 라이트 모드가 메리트 있을 수는 있겠네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나다라마법사
가나다라마법사 Daylight 님께
2023.11.25. 23:10

삼성이 그런것도 고려 안하고 모드를 만들어 놨을것 같지는 않네요.

[가나다라마법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히트맨
글쓴이
히트맨 Daylight 님께
2023.11.25. 23:52

첨부한 골든리뷰어의 벤치를 보면 애초에 그런 극단적인 차이가 나지도 않을뿐더러, 스코어 점수는 소폭 하락하면서 소비전력은 대폭 줄어든 결과값을 보이죠.

일반모드일때 점수 60, 라이트모드일때 55정도네요. 이정도가 그런 극단적 차이를 벌인다고 주장하시는 건가요?

 

예로드신 비교대로라도 애초에 라이트모드 이하의 클럭에서는 일반모드와 동일하니 비교할 필요가 없고, 속도차이가 발생하는 구간이라고 해봐야 라이트모드 클럭 이상의 피크 구간일때를 의미하는데, 이구간은 골든리뷰어의 벤치결과 값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죠.

 

지나친 비약에 의한.. 심지어 사실도 아닌 극단적 수치 제시로 그럴수 있다라고 주장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긍하기 힘드네요.

[히트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히트맨 님께
2023.11.26. 05:58

아니죠, 기본 모드의 클럭 스케줄링부터 이미 스윗스팟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지점에서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트 모드와 전력 소모 차이가 골든 리뷰어의 벤치값 만큼 크지 않습니다.

 

클럭 모니터링 앱으로 실사용 하시면서 클럭을 모니터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웹서핑이나 메신저 앱 등등 일반적인 실사용 환경에서는 일반 모드에서도 특정 코어가 피크 클럭까지 거의 올라갈 일이 없습니다. 특정 코어의 클럭을 높여 작업을 처리하기보단, 다중 코어를 적극 활용하는 식으로 스케줄링이 되어 있기 때문이죠.

 

올려주신 골든 리뷰어의 비교 자료의 경우, 일반 모드는 최대 클럭으로 작동된 결과이고, 라이트 모드는 최대 클럭이 스윗스팟 구간 내로 제한된 결과입니다. 8Gen2의 최대 클럭은 스윗스팟을 한참 넘어간 지점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당연히 이런 식으로 비교하면 두 모드 간 성능 차는 크지 않은데 전력 소모 차이는 큰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실사용 환경에서는 일반 모드도 벤치 환경에서와는 달리 애초에 전성비가 구린 최대 클럭으로 작동될 일이 별로 없기 때문에, 골든 리뷰어의 벤치 데이터와 달리 라이트 모드와의 전성비가 그리 차이나기 어렵습니다. 앞선 댓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벤치 급으로 피크 성능을 지속적으로 쓰는 헤비로드 작업에서는 라이트 모드가 유리할 수는 있어도, 실사용 시에는 두 모드 간 배터리 소모량 차이가 굉장히 미미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죠.

 

골든 리뷰어의 전성비 테스트 결과가 실사용에서도 적용 가능한 데이터라고 보시는 것 같은데, 만약 실사용에서도 골든 리뷰어의 데이터에서 라이트 모드가 보여준 압도적인 전성비 우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왜 라이트 모드의 배터리 타임은 유의미하게 늘어나지 않았을까요? 전성비 차이가 엄청 큰데 말이죠. 이 지점에서부터 저 전성비 테스트 결과는 피크 클럭을 쓸 일이 거의 없는 실사용 환경과는 완전히 거리가 있는 결과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다면 벤치 상황에서만 이점을 가지는 라이트 모드가 의미가 있는 옵션인지에 대해서도 개인적으론 의문이 남네요.

 

그리고 라이트 모드가 피크 클럭 구간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라는 가정에도 개인적으로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제 생각에는 클럭 스케줄링이나 가버너 쪽의 변경도 개입될 것이라 봅니다. 최대 클럭을 제한하는 단순한 방식이 아니라, 동일한 작업에서 상승시키는 클럭폭을 줄이는 등의 가버너쪽 변경점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60, 55 정도의 차이로 보기에는 두 모드 간의 반응성이나 속도의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라이트 모드에서는 버벅임도 상당히 늘어나고요. 이는 단순히 최대 클럭을 10% 가량 제한만 했다고 보기에는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유저의 요구에 따라 클럭을 상승/하강시킬 때 그 정도를 결정하는 가버너 쪽에도 차이가 있거나, (ondemand -> conservative 정도의 변화로 추정) 작업을 코어에 할당할 때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빅코어 대신 리틀/미들 코어 위주로 배분하여 처리하는 코어 스케줄링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제 결론은 이렇습니다. 

 

1. 애초에 스케줄링 상, 일반 모드에서도 피크 클럭을 찍을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골든 리뷰어의 벤치 상황만큼 라이트 모드와 일반 모드 사이에 큰 전성비 차이가 날 일이 거의 없으며, 헤비 로드가 지속적으로 걸리는 작업이 아니라면 두 모드 간 배터리 소모 차이가 나기 어렵다.

 

2. 라이트 모드는 단순히 최대 클럭만 제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지 않았을 수 있다. (제한된 클럭 수치는 미미한데 체감 성능 저하는 상당하기 때문)

 

그리고 이러한 저의 주장은, 라이트 모드의 배터리 차이는 미미한데 성능 저하는 꽤 느껴진다는 다양한 실사용 후기들로 증명됩니다. 만약 실사용 시에도 두 모드 간 전성비 차이가 컸다면 배터리 소모 차이가 유의미하게 드러났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라이트 모드가 피크 클럭만 제한하는 방식이 사실이라 최대 성능만 60에서 55로 내려간 수준이 맞다면, 버벅거림이 늘어나거나 체감 성능 저하가 명확히 느껴지지는 않아야 하는 것 아닐까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언제나소년
2023.11.25. 15:18

게임하면 효과 확실합니다. 발열도 적고 배터리도 오래 갑니다. 게임외에는 효과 체감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언제나소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인절미과자 언제나소년 님께
2023.11.25. 16:14

게임할땐 라이트모드 작동 안해요

[인절미과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언제나소년 인절미과자 님께
2023.11.25. 16:44

엇 해골물이었군요 ㅜㅡㅜ

[언제나소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코우키
코우키
2023.11.25. 16:12

제 환경에서는 화면켜짐 9시간에서 10시간 정도로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것 같습니다(s23 플러스). 근데 제가 쓰는 상주어플이 몇개 있어서 그런지 부하가 조금이라도 걸리면 일반 모드 대비 많이 버벅거립니다 ㅠㅠ

[코우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코우키 님께
2023.11.25. 16:1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8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23] update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659 16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5] file AquStar 16:04 417 13
핫글 미니 토요일 미친날씨의 폰카 7선 📷 [7] updatefile 개구리 01:55 462 11
211490 미니 ... [28] rbhqli 24.03.30 1141 2
211489 미니 부테린 맥 안쓰네요 ㄷㄷ [7] 라시드 24.03.30 1235 9
211488 음향 에어팟에 이어폰 솜 쓰니까 착용 아예 안 되던 귀에도… MrGom™ 24.03.30 408 2
211487 미니 One UI 6.1 배터리 사용량 표기 원래대로 돌아왔군요 [5] file IQ50 24.03.30 964 3
211486 미니 AI 요약이 되고 안되고 기준이 뭘까요? [12] file 두꺼비감자칩 24.03.30 775 1
211485 미니 AI 통화 요약은 꽤 유용하네요 [2] 딸기가빠졌잖아 24.03.30 895 8
211484 미니 one ui 6.1 정도면 더이상 갤럭시 최적화로 욕먹을 정도는 아닌가요? [33] 실바누스 24.03.30 1707 5
211483 미니 애플은 요즘 바이럴을 뉴스로 하네요 [10] file PaulBasset 24.03.30 1262 5
211482 미니 리벤스드 질문이 있습니다. [12] file 룬룬 24.03.30 3512 0
211481 미니 서투서 AI 요약 옵션 추가하기 file 펄럭펄럭 24.03.30 360 4
211480 미니 시부야사변 딸깍 [8] file SultanateofRum 24.03.30 996 14
211479 미니 일본인데 엑스페리아, 픽셀 많이 보이네요 [1] KIKIRAKA 24.03.30 518 0
211478 미니 서클투 서치 << 물건이네요 [7] file 감비아도나츠 24.03.30 1013 8
211477 미니 스마트폰 카메라 화질이 맘에 안드는데요... [25] file 대왕오징어 24.03.30 1734 1
211476 미니 크롬 정식에 ARM 윈도우 버전이 돌아가네 [3] file 쑥부쟁이 24.03.30 507 1
211475 미니 S23 ONE UI 6.1 네비게이션바 질문입니다 [8] 우리 24.03.30 1023 1
211474 미니 맥북 애플케어플러스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댕밤 24.03.30 400 0
211473 미니 A55 GSM아레나 리뷰 [4] file 사또밥 24.03.30 1091 9
211472 미니 갤럭시 기습공격 [6] file 치즈볼 24.03.30 1627 2
211471 미니 비보 X Fold 3 Pro 분해 리뷰 [6] RASBI 24.03.29 1339 13
211470 미니 스마트폰 카메라는 자동수평촬영 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11] niotree 24.03.29 737 0
211469 미니 S22U 유저 입장에서 좀 그러네요 [32] 기만심문관 24.03.29 2068 22
211468 미니 S23 FE 6.0으로 다운그레이드 하고 싶어 미치겠습니다 [5] 레쓰비 24.03.29 943 0
211467 미니 4년전 처음으로 아이폰 썼는데 참 오래쓰게 되네요 [9] 김근홍 24.03.29 769 3
211466 미니 S23에서 6.1 업뎃하고 쓰는데... [9] Daylight 24.03.29 1008 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