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디씨펌) 디멘시티 9300 다이샷 공개

  • Section31
  • 조회 수 1135
  • 2024.03.13. 16:01

다이사이즈는 약 140.3 mm^2 입니다.

 

1710312559.jpg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20
Daylight
1등 Daylight
2024.03.13. 16:21

에???

 

D9300은 다이 크기만 잔뜩 키워서 단가는 포기하고 만드는 지속 불가능한 전략을 택한 AP라는 비판들이 많았었는데...

 

본문의 140mm2가 D9300의 실제 다이크기가 맞다면 135mm2 정도 수준인 8Gen3나 E2400이랑 별반 다를바도 없네요??

 

일각의 예상과는 많이 다른 결과네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Daylight 님께
2024.03.13. 16:09

굳이 추측해보자면, 최대한 고밀도셀(HD) 라이브러리를 동원하여 코어 사이즈를 줄였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Section31 님께
2024.03.13. 16:12

저도 지금까지 생각하기에... 다른 분들 말씀처럼 진짜 프라임코어 4개 박아넣은 D9300의 다이가 다른 AP들에 비해서 넘사벽으로 크다면 단가 문제 때문에 다른 업체들은 절대 고려할 수 없는 전략이었을 텐데... 업계 1위인 퀄컴도 미디어텍처럼 후속작에서는 프라임 코어 개수를 늘린다는 이야기를 듣고 의아했었거든요.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엔 저렇게 설계해도 생각만큼 다이크기가 많이 늘어나지 않고, 단가 상승도 용인 가능한 수준이라 퀄컴도 그 방법을 택한 게 아닐까 싶었는데... D9300 다이사이즈가 경쟁작들과 큰 차이 없는 거 보니까 이게 맞았던 것 같네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Daylight 님께
2024.03.13. 16:14

반대로 퀄컴 스냅드래곤 8 Gen 3의 Cortex-X4 코어 사이즈는 D9300의 그것과 비교해보면 꽤나 큰데, 이는 고성능셀(HP) 라이브러리를 채택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Daylight 님께
2024.03.13. 16:41

퀄컴의 경우는 늘려봤자 P코어 2개 정도고, 애초에 ARM X코어가 아닌 누비아 기반이기에 다이사이즈 비교용으로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미디어텍의 차기작도 오히려 P코어를 한개 줄여서 3개로 간다는게 유력하죠.

또한 단순히 다이사이즈가 비슷하다고 다가 아니죠. 고밀도 라이브러리에 타사보다 나은 TSMC 3세대 4nm 공정을 썼는데도 경쟁작보다 다이사이즈가 크다는건 딱히 좋은 얘기가 아니고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Daylight 님께
2024.03.13. 16:14

저 효율성으로 A7나 A5 코어를 박았으면 다이 면적이 더 엄청나게 줄었겠죠.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Eomjunsik 님께
2024.03.13. 16:1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Eomjunsik 님께
2024.03.13. 16:16

플래그십 AP에서 굳이 다이 크기를 그렇게나 줄일 필요가 없죠. 플래그십인 만큼 판매단가 제약이 큰 것도 아니고, 경쟁작들보다 다이가 너무 크다거나 한 것도 아니면 최대한 성능 챙기는 방향으로 설계하는 게 맞는거죠.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Daylight 님께
2024.03.13. 16:26

지금 당장이야 미디어텍이 저가 전략을 펼치고 N4P니까 판매 가능한 단가가 나오겠죠.

지금도 8gen3가 200달러니 300달러니 이런 미친 소리가 들리는데

퀄컴이 저 짓을 시작하고 N3, N2 패밀리를 사용할 때 기대됩니다.

 

지금도 삼성 말고는 안드 플래그십이 죽쑤는데, 도망칠 곳이 없는 중화권 제조사들이 300달러 이상을 AP에 할당하고 100만원 이하 플래그십을 만들어야 한다... ㅋㅋㅋㅋ 재밌네요 아주

 

당연히 최신 퀄컴 스냅드래곤으로 도배되던 중화권 플래그십들이 슬슬 이전작이나 디멘을 건드는거 자체가 좋은 시그널이 아니거든요.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Eomjunsik 님께
2024.03.13. 16:30

그러니 역설적으로 미디어텍의 존재가 더 중요해지는 거죠. 미디어텍은 강력한 업계 1위 퀄컴의 존재 때문에 저가 전략을 한동안은 쉽사리 포기하지 못할 거고, 퀄컴은 미디어텍의 존재 때문에 그래도 무지성적인 가격인상은 억제될 수밖에 없을 거고요.

 

물론 저도 최근 반도체 업계의 가격인상 기조를 곱게 보진 않습니다만... 미세공정 개선을 통한 후속작의 성능 개선이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현 시점에선 다이크기 확대를 통한 성능 개선이 어느 정돈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다이크기 확대를 통한 성능 개선이라는 디멘시티의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고 보시는 거라면, 달리 말해 디멘시티는 절대 퀄컴 이상의 다이크기를 가져서는 안되는 거라고 보시는 거라면 설계능력이 한참 앞서는 퀄컴을 미디어텍은 영원히 따라갈 수 없을 겁니다. 같은 다이크기에서는 퀄컴이 우세할 수밖에 없으니까요.

 

그러면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AP 시장은 영원한 퀄컴 독주체제가 된다는 건데, 저는 이런 상황에서 벌어질 퀄컴의 무차별적인 가격인상이 더 두렵네요. 9300이라는 나름 괜찮은 경쟁자가 있어도 8Gen3 가격이 이모양인데, 성능으로 퀄컴에 대적할 만한 경쟁사가 아예 없으면 스냅 가격은 대체 어떻게 될까요? ㅎㅎ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Daylight 님께
2024.03.13. 16:31

시장에 안드만 있었으면 공정 하나 우리면서 수율 개선을 통한 공정 비용 절감을 이유로 다이 사이즈 키우면서.. 이런 시나리오가 가능하죠.

 

근데 애플이라는 미친 경쟁자가 2나노를 향해 달리고 있는 한 말이 안되는 시나리오입니다.

 

가뜩이나 GPU 차력쇼가 유행인데 최신 공정의 저열한 수율에 프라임코어 유행까지.. 디멘이 저가 전략을 펼칠수는 있는데요. 적자 전략은 못펼치지 않을까요?

 

당장 X4 코어가 면적 20%인가 더 커진다고 봤는데요. X5 코어에서 면적 줄어듭니까?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Eomjunsik 님께
2024.03.13. 16:36

애플이 퀄컴 스냅드래곤의 가격인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경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괜찮을 수도 있는데, 전 생각이 다릅니다.

 

현 시점에서 이미 안드와 IOS 진영은 독자노선이 구축되었고, 각 수요층은 별도로 구분되어 고착화된 상황에 가깝죠. 그리고 애플은 저가전략과는 거리가 먼 기업이고요. 스냅보다 애플이 더 비싸게 받았으면 받았지, 더 싸진 않을 겁니다.

 

그 말은 애플의 A칩이 퀄컴 스냅드래곤의 가격 독주를 직접적으로 막아내는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거고, 오히려 가격 인상을 촉진하는 역할일 듯 하네요.

 

그래서 디멘시티가 됐던, 엑시노스가 됐던 퀄컴 스냅드래곤과 직접적으로 경쟁할 안드 플래그십 AP는 반드시 필요하고, 저는 그 점에서 D9300의 선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네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Daylight 님께
2024.03.13. 16:41

제 의도가 조금 잘못 전달된 것 같은데요.

 

제 댓글의 요지는 애플의 AP를 의식하고 있는 안드 AP 제조사들이 차력쇼를 어차피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라는겁니다.

 

이 상황에서 다이 사이즈마저 키워버리게 되면 단가가 감당이 되느냐 이거에요.

 

엑시는 어차피 갤럭시 인하우스이니 무시하고, 말씀하신대로 퀄컴보다 가성비 있는 선택지임을 어필해야 하는 디멘시티가 이런 출혈 전략을 택하는게 지속 가능하느냐 이 부분이 의문이라는거죠.

 

차력쇼적인 면에서 더 극단적인 전략을, 더 저렴한 2등 회사가 차용한다? LG폰이 부품 조달 단가도 높은데 갤럭시보다 좋은 폰을 싸게 판다?

 

한두번은 가능하겠죠. 그 이상은요? 상식적으로 2등 회사의 정석은 샤오미처럼 약간 저열한 물건을 많이 저렴하게 공급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Eomjunsik 님께
2024.03.13. 17:05

저도 제 의도를 조금 잘못 전달드린 것 같습니다.

 

제 의도는, 미디어텍이 앞으로도 다이 크기 무지성으로 키워서 퀄컴이랑 경쟁해라! 이 말이 아닙니다. 저도 원가 상승으로 직결되는 무지성 다이크기 키우기에는 공감하지 않습니다.

 

근데 제 첫 댓글의 의도는, 기존까지 일각에서 나오던, 'D9300이 다이 크기만 잔뜩 키워서 성능 살짝 좋게 내 봤자, 생산 단가만 겁나 올라가서 이건 절대 지속 가능한 판매 전략이 못 된다'라는 의견들에 약간의 어폐가 있다는 말씀을 드린 겁니다.

 

경쟁사 제품들(8Gen3, E2400)의 다이크기가 135mm2 언저리인데, D9300이 지금 140mm2로 나왔죠. 세간에서 추정하던 것과는 달리 다이크기 차이가 약 3% 차이에 불과했다는 겁니다. 저는 이 정도 차이라면 충분히 용인 가능하다고 보는 거고요.

 

다시 한번 설명드리면, 저 또한 다이크기를 늘려 성능을 키우고, 가격도 올리는 판매 기조에 대해서는 마냥 긍정적으로 보진 않습니다. 하지만 후발 주자인 디멘시티 입장에서는 업계 1위 퀄컴과 경쟁하기 위해 경쟁사보다 큰 다이크기를 가져가는 건 약간은 불가피한 부분이 있죠.

 

그리고 아무리 다이크기 큰게 불가피하다 할지라도 다이크기 차이가 심각한 수준으로 많이 난다면, 막 20% 30%씩 차이나 버린다면 그건 지속 불가능한, 무의미한 전략이 되겠죠.

 

그런데 실상은 135 vs 140으로 3% 차이에 불과합니다. 이 정도로 미묘한 다이사이즈 차이에, 성능/전성비에서는 최소 동급을 점한 거라면 단가와 성능경쟁에서 디멘시티가 모두 전략적으로 잘 접근한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린 겁니다.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Eomjunsik 님께
2024.03.13. 16:50

방향은 다양합니다. 저열한 물건을 많이 쏟아내는 방식은 그냥 흔한 박리다매의 일종인거지, 시장경쟁에선 그냥 기본적으로 상대보다 소비자에게 많이 선택될 수 있는 메리트를 뭐든지 줄 수있으면 그걸로 된겁니다. 오히려 시장을 주도하는 측에서 물량전 박리다매를 규모의 경제로 유도하고, 후발주자가 소량의 퀄리티로 승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시장지배기업이 고가의 폭리를 취한다면, 다른 주자들은 그 폭리의 갭만큼 훨씬 적은 마진을 내고 유사하거나 더 우월한 성능의 물건을 던지는걸로 응수하는게 특이한것은 아닙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Daylight 님께
2024.03.13. 16:26

저게 HP셀 라이브러리를 썼다면 정말 극한의 우겨넣기를 했을 수도...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2등 gamma
2024.03.13. 16:13

크기는 엄청 크네요.

모뎀 내장 유무 차이 생각해도 M2급이라니.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gamma 님께
2024.03.13. 16:17

M2는 141.7 mm^2 (N5P) 정도... (D9300 : 140.3 mm^2 @ N4P+ 또는 N4X)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3등 RuBisCO
2024.03.13. 16:30

이정도라면 사실 미디어텍이 무리하지 않고서도 꽤 괜찮게 뽑아낸거 같습니다. 이걸로 WoA 기기들이 나왔었으면 정말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그런건 기대하기 힘들겠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4.03.13. 16:41

NPU가 다들 점점 커지는군요 ㄷㄷㄷ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08 13
핫글 미니 23얼츄라와 먹방데이트 [9] file 애상 12:39 400 9
핫글 미니 샤오미 폴더블 신제품 유출 정보 (vs 폴드 5/6) [7] Daylight 13:35 702 6
핫글 미니 알리에서 삼성 45W 신형 충전기 세트 싸게 파네요 [13] file RacingMiku 08:11 994 6
212417 미니 아이폰XR 투명 케이스 국내 정식 출시! [3] file 기기덕후 18.12.06 137 0
212416 미니 Vivo NEX 듀얼스크린폰 실기 영상 [2] file 기기덕후 18.12.06 155 0
212415 미니 통신사에서도 신형 패드프로 판매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file 기기덕후 18.12.06 110 0
212414 미니 밑글의 듀얼스크린폰 제스처영상 [3] file 기기덕후 18.12.06 146 0
212413 미니 삼성전자 갤럭시 A9(2018) 전파인증 통과 [1] file BarryWhite 18.12.06 133 0
212412 미니 SK하이닉스, 신임 대표이사 이석희 사장 선임 file BarryWhite 18.12.06 94 0
212411 미니 샤오미, 4,800만 화소의 스마트폰 준비중? file BarryWhite 18.12.06 234 0
212410 미니 스냅드래곤855 상세 정보 BarryWhite 18.12.06 186 0
212409 미니 몽) 갤럭시S10 후면 디자인 유출 [5] file 기기덕후 18.12.06 261 0
212408 미니 스냅드래곤855에 대한 퀄퀌 임원 질의응답 [1] BarryWhite 18.12.06 153 0
212407 미니 스냅855+5G 세계최초 스마트폰 file 기기덕후 18.12.06 153 0
212406 미니 5G폰은 LTE폰 대비 200~300달러 오를거라고 하네요 [2] file 기기덕후 18.12.06 125 0
212405 미니 S10 5G 시연기기 선명한 사진들 모음 [2] file 기기덕후 18.12.06 238 0
212404 미니 엑페XZ4에 OIS가 들어간다 안들어간다 말이 다르네요 기기덕후 18.12.06 93 0
212403 미니 구글, 행아웃 살리고 알로 죽인다...메시지로 통합 BarryWhite 18.12.07 157 0
212402 미니 애플·하이실리콘·퀄퀌, TSMC 7nm 공정제조 물량 축소? BarryWhite 18.12.07 145 0
212401 미니 신형 아이패드 프로, 통신사 출고가 117만 7,000원 부터 BarryWhite 18.12.07 145 0
212400 미니 퀄컴,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 공개...갤럭시S10 탑재? file BarryWhite 18.12.07 165 0
212399 미니 갤럭시 A50 긱벤치4 결과 유출 file 기기덕후 18.12.07 315 0
212398 미니 엑스페리아 XZ4 Compact 렌더링 유출 file 기기덕후 18.12.07 292 0
212397 미니 갤럭시A8s 티징 이미지 모음 [2] file 기기덕후 18.12.07 125 0
212396 미니 패드 프로 3세대 배터리가 짧다더니?? [1] file 기기덕후 18.12.07 146 0
212395 미니 샤오미, 3개월간 포코폰 F1 70만대 판매 file BarryWhite 18.12.07 117 0
212394 미니 애플, 뉴 아이패드 프로 시연단말 강매 BarryWhite 18.12.07 84 0
212393 미니 퀄컴, PC용 7nm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cx 발표 [3] file BarryWhite 18.12.07 144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