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BarryWhite

이산화탄소 먹는? 콘크리트 국내 개발

2024-04-29 07 16 21.png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안에 저장하는 이른바 ‘나노버블을 활용한 CO₂ 먹는 콘크리트’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건설연 구조연구본부 연구팀은(팀장: 박정준 박사)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건물이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고, 동시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버블을 활용한 CO₂ 먹는 콘크리트‘CEC(Carbon Eating Concrete)’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가루와 물, 골재를 반죽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나노버블을 사용하여 일반 대기압 조건에서도 CO₂를 고농도로 저장할 수 있는 CO₂ 나노버블수를 개발하였다. ‘CO₂ 나노버블수’란 다량의 나노버블이 존재하는 물에 CO₂가 고농도로 용해된 물을 말한다.

 

2024-04-29 07 16 43.png

 

개발된 기술은 물(배합수) 대신에 CO₂ 나노버블수를 산업부산물과 함께 콘크리트 생산에 활용하는 제조 기술이다. 첨단 분석 기술(라만 분광법)을 통해 CO₂ 나노버블수 안에 존재하는 CO₂가 콘크리트와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기술은 1m3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면, 1.0~1.8kg CO₂를 콘크리트 내부에 직접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CO₂ 직접 주입 기술 분야의 세계 선도 기업인 캐나다 ‘카본큐어(Carbon Cure)’사의 직접주입법에 의한 CO₂ 저장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추가로 연구팀은 CO₂ 반응성이 높은 산업 부산물을 사용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최적의 온습도 조건 및 배합기술을 적용한 ‘CEC’도 개발하였다. 개발된 CO₂ 양생 기술은 적은 양의 시멘트로도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능을 최대로 발현할 수 있다.

 

즉, 기존 증기 양생 기술에 비해 콘크리트 생산에 더 적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CO₂ 양생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대비 동등 이상의 압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높은 CO₂ 저장 효율을 갖는 것이 큰 장점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온도와 압력 조건의 CO₂ 양생 환경을 모사하기 위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콘크리트용 CO₂ 고온 가압 양생 시스템을 구축했다.

 

콘크리트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공재료로서 연간 300억 톤 정도 생산되며, 사회기반시설과 도시화 수요로 인해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단일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온실가스의 5%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콘크리트 생산(시멘트 포함)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대기 중의 CO₂와 접촉하여 내부의 pH(수소 이온 지수)가 낮아지면서 알칼리성을 잃고 탄산화반응을 하는 물질이다. 대기 중의 CO₂ 농도는 400ppm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이러한 탄산화반응이 매우 서서히 진행되지만, 내구성이 약한 콘크리트에 둘러싸인 철근은 부식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그러나 CCU 콘크리트 기술은 고농도의 CO₂를 의도적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물질과 반응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화학반응을 통해 CO₂를 강도증진 물질인 탄산염 광물로 전환시켜 콘크리트 내부에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탄산염 광물이 콘크리트 미세조직의 밀도를 높여서 일반 콘크리트보다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CCU 콘크리트는 단순히 CO₂ 저장소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성능 향상 및 시멘트 사용량 감소 등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시장 잠재성이 매우 큰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

 

IT라고 하기에도 애매해서 자게에 올립니다.

암튼 좋은 소식입니다.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19
참깨돌이
1등 참깨돌이
2024.04.29. 08:41

오. 양산 잘 되고 경제적이면 아주 좋은 기술이에요. 

[참깨돌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참깨돌이 님께
2024.04.29. 16:02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햄버거조아
2등 햄버거조아
2024.04.29. 09:28

큰 문제가 없다면 정부에서 밀어줘도 괜찮을거 같네요

안 밀어주면 안 쓸테니깐 말이죠

[햄버거조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햄버거조아 님께
2024.04.29. 16:02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3등 Butzed
2024.04.29. 10:21

포집해서 결합되면 영구 저장?? 오... 상용화되면 경쟁력 좀 있겠네요. 에너지빼면 철강이랑 시멘트가 탄소배출 쌍두마차인데.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Butzed 님께
2024.04.29. 16:02

아주 좋읍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껌무한디스펜서
best 개껌무한디스펜서
2024.04.29. 11:31

하수 : 좋고 환경을 생각한다

고수 : 탄소배출 제한 명목으로 건설경기를 부양할수 있다

[개껌무한디스펜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Aimer 개껌무한디스펜서 님께
2024.04.29. 14:56

고수 : 건설경기 부양

족고수 : K-에코 대운하 건설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개껌무한디스펜서 님께
2024.04.29. 16:03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붕붕드링크
best 미붕붕드링크
2024.04.29. 11:54

나중에 해당 기술로 만들어진 건물을 철거할때 영구 저장된 CO₂가 어떤식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지도 확실하게 연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미붕붕드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미붕붕드링크 님께
2024.04.29. 16:03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이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BarryWhite 님께
2024.04.29. 16:03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o
Lio
2024.04.29. 15:55

과거 바이오스피어의 실패 원인 중 하나가 콘크리트의 CO2 흡수였던 대목이 생각나는 연구군요. 시멘트 생산에는 탄소배출이 많은데, 정작 시멘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탄소 흡수라니 아이러니라면 아이러니랄까요. 여하튼 오랜만의 환경 관련 희소식이라서 참 좋은 것 같습니다!

[L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껌무한디스펜서
개껌무한디스펜서 Lio 님께
2024.04.29. 19:41

뉴턴 잡지에서 본 내용을 오랜만에 보니까 감회가 새롭군요

[개껌무한디스펜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개껌무한디스펜서 님께
2024.04.29. 19:44

뉴-턴 잡지...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껌무한디스펜서
개껌무한디스펜서 BarryWhite 님께
2024.04.29. 20:29

scm1269459493072.jpg

지금은 문돌이지만 어릴때는 이런걸 보며 과학도의 꿈을 키웠답니다

[개껌무한디스펜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개껌무한디스펜서 님께
2024.04.29. 20:29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개껌무한디스펜서 님께
2024.04.29. 20:31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1079
핫글 결혼사진 찍고 왔슈 [15] updatefile 소나기 24.06.15 34 501
핫글 치트키씁니다 [2] file 루시우 24.06.15 11 189
핫글 하늘의 계시인가 봅니다 [4] Angry 24.06.15 5 283
118941 안아줘요 [9] file Alternative 24.05.20 11 338
118940 김호중 팬카페에 올라온 당사자 입장문 [7] file Angry 24.05.19 4 587
118939 [속보]김호중 음주운전 인정 [5] file Angry 24.05.19 12 638
118938 드라마 촬영에도 ai가 [4] file 펄럭펄럭 24.05.19 9 666
118937 개통령 강형욱, 가스라이팅·직장내 괴롭힘 폭로 논란 [20] BarryWhite 24.05.19 3 742
118936 출장갑니다 [8] file CountDooku 24.05.19 4 154
118935 오타쿠 행사 갔다 왔습니다 [12] file 베이어 24.05.19 5 350
118934 예전엔 혼자 하던 것들도 점점 AI에 의존하게 되네요 [6] CountDooku 24.05.19 6 337
118933 그래서 6월부터 알리나 아마존 못씀? 에 대한 답이 나온거같네요 [7] file 영어공학과 24.05.19 4 327
118932 카페에서 농땡이중입니다 [6] file 쿼드쿼드 24.05.19 7 164
118931 뜬금없이 OLED TV를 사버렸네요.. [5] 자린고네 24.05.19 7 268
118930 보니하니 이수민: 열애설 + 욕설 논란 비공개 계정 유출로 지옥의 시간 [9] BarryWhite 24.05.19 3 427
118929 카톡 공개 관련 미니진님 오늘자 입장 [11] BarryWhite 24.05.19 0 308
118928 확실히 금융치료가 좋네요 [2] 루시우 24.05.19 3 300
118927 AI 대부 제프리 힌튼: 보편적 기본소득 도입해야 [7] BarryWhite 24.05.19 1 141
118926 직구 금지 정책 사실상 포기 인듯 하네요 [4] 잇흥 24.05.19 5 218
118925 직구상품과 같은 모델이 국내로 들여오면 가격이 높아지는 이유 [5] 비평가 24.05.19 4 189
118924 뉴진스 멤버 부모들, 연예인 전속계약 분쟁 전문 변호사 선임 [8] BarryWhite 24.05.19 2 247
118923 고질병 탓에 남동생·남자친구의 이것까지 먹은 여성 [4] BarryWhite 24.05.19 3 250
118922 싱가포르, 코로나19 감염자 급증...2만 5,900여명 [1] BarryWhite 24.05.19 1 133
118921 피식대학, 영양 비하 사과 제과점·백반집 직접 사죄…잘못 바로잡을것 [12] BarryWhite 24.05.19 1 274
118920 책삿슈 [2] file 닉포토 24.05.19 1 87
118919 줄여 부르면 안 되는 아이스크림 출시 [2] file BarryWhite 24.05.19 5 272
118918 햇빛이 정말 뜨거웠던 토요일 폰카 6선 📷 [2] file 개구리 24.05.19 9 219
118917 치과에서 충격먹었다는 ai 발전속도.mp4 [4] file PaulBasset 24.05.19 6 52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