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BarryWhite

미니 MS 자동 초해상도(SR) 기능 정보

자동 초해상도(Auto SR)는 퀄컴 스냅드래곤 X 프로세서가 탑재된 코파일럿+ PC서 게임의 그래픽을 유지하면서 프레임 속도를 높이는 업스케일러 기술입니다.

 

자동 SR은 게임의 렌더링 해상도를 자동으로 낮춰 프레임 속도를 높인 다음 정교한 AI 기술을 사용하여 향상된 고해상도 비주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 결과 더욱 부드럽고 섬세한 게임 환경을 제공합니다.

 

자동 SR은 MS에서 검증한 게임에 기본적으로 적용됩니다. 향상된 게임의 예로는 보더랜드3, 갓 오브 워, 위쳐3 등이 있습니다.(퀄퀌 스냅드래곤 X 엘리트 코파일럿+ PC서 SR 사용시 보더랜드3 1080P 기준 30프레임 작동)

 

자동 SR과 호환되는 게임 목록은 MS가 호환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be5d046-ccd5-4106-a6be-c9e836b06d3c.png

 

자동 SR 기본 설정을 변경하려면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으로 이동하여 기본 설정 아래에서 자동 초고해상도를 토글하면 됩니다.

 

06010559-df7c-4416-b54d-788524cf5b00.png

 

자동 SR을 지원하는 게임을 시작하면 자동 SR이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알림이 표시된다고 합니다.

 

자동 SR 시스템 요구 사항

- 퀄컴 스냅드래곤 X 프로세서(헥사곤 NPU 및 통합 GPU) 기반 코파일럿+ PC.

- 윈도11 24H2 버전 이상.

- 최신 그래픽 및 신경망 프로세서 드라이버

- 1080p 이상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게임 요구 사항

- 실행되는 대부분의 게임 지원

- DirectX 11 또는 DirectX 12 기반

- 에뮬레이트된 x64 또는 Arm64 네이티브 플랫폼

- 10비트 형식 DirectX 11/12 기반이거나 x86 전용 게임 및 DirectX 9, Vulkan, OpenGL 등 기타 그래픽 런타임 게임이 아닌 경우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29
Magyarország
1등 Magyarország
2024.05.29. 04:25

보더랜드 3가 사양이 절대 높은 게임이 아닌데 업스케일링 쓰고도 1080p@30fps 구동은 좀...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04:24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05:56

스팀덱이 FSR 쓰고 720P 중옵으로 40~45fps 나옵니다...

보더랜드3 권장사양은 GTX 1060이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0:28

스팀덱은 인텔 13세대 내장만도 못한 성능인걸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3:55

지금 논점은 그게 중요한 건 아닌 것 같은데요......

 

일단 현 UMPC에 들어가는 모바일 내장 그래픽 중 1060 성능을 넘은 게 없습니다. 고만고만한 체급대에선 아직은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스팀덱은 인텔 13세대 내장 파스 그래픽 점수랑 400점 정도밖에 차이 안나고요. 둘 다 4000점대에요. 그리고 스팀덱은 15W까지만 먹는 것도 생각해야죠.

 

그나마 가장 많이 쓰이는 780M이 8700점으로 1050ti~1650 사이로 평가받고요.

 

내장에서 저 정도 뽑아주면 좋은 축에 속한다는 뜻입니다. 물론 스냅X 엘리트 체급상 780M보다 더 좋게 나와야 하겠지만, 네이티브 아닌 걸 감안하셔야죠.

 

그리고 인텔 내장 그래픽은 점수대로 게임 성능 안나옵니다. MSI클로만 보셔도 답나오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4:08

아이리스 Xe까지는 저성능 저전력이라 전력공급 안정적이어서 게임 성능 점수따라 나오던 편이었어요. 이번에 내장 사이즈 키우면서 전력공급 불안정해서 클로같은 저전력 제품들에서 프레임 들쭉날쭉하는거고요. 호환성 이슈는 있어도 전력공급만 안정적이면 대충 점수만큼은 나옵니다. 찾아보니 5500U에서도 보더랜드 3는 1080P@30fps정도 나오던데 스냅드래곤이 8500MHz LPDDRX 램 덕분에 램 대역폭에서의 이점도 상당히 가져오는거 감안하면 절대로 자랑할 만한 성능은 아니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4:39

5500U 내장이 1050모바일(파스 6000점)과 비슷한데 보더랜드3 1080P 상옵으로 22프레임 나옵니다...

이거는 당연 자랑할만한 성능은 아니죠. 그래도 네이티브가 아닌데 웬만큼 플레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셔야죠.

 

그리고 메테오레이크 모바일은 전력 공급 땜에 꼬라박은 거 아닙니다. 아크때처럼 그래픽 드라이버로 성능 개선 열심히 하고 있는데도 게임 성능이 안나오는 거예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4:39

그 프레임이면 웬만큼 플레이 가능하다가 아니라 답답해 죽습니다. 말이 30프레임이지 프레임이 30프레임 제대로 유지되는거도 아닐테고요. 

그리고 메테오도 36W 이상 유지 가능한 제품에서는 프레임 괜찮게 나옵니다. 보통 주변에 흔한게 36W는커녕 28W도 유지하기 버거워하는 체급의 갤북프같은거니 그런거구요. 라데온도 벤치 점수만큼 성능 안나오는건 비슷해서 큰 차이 안나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5:01

외신 보시면 나오지만 MS는 계속해서 30프레임 이상 나온다고 합니다(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한 수준으로).

 

라데온이 벤치 점수만큼 성능이 안 나오는 줄은 모르겠지만, 인텔 쪽은 그 격차가 크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36W를 먹였을 때 괜찮게 나오는 건 사실 의미가 없죠.

 

https://meeco.kr/mini/38657291

 

일단 비슷한 체급의 780M 대비 절대 성능이 확연하게 떨어집니다. 전력을 더 먹는 건 덤이고요.

 

7840들어간 UMPC 제품들 30W까지 부스트 가능한데, 이것도 충전 중에나 되는 수준입니다. 36W는 그냥 체급만 키우고 전성비 망한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5:15

세상에는 UMPC나 저전력 울트라북들만 존재하는게 아닙니다. 전력부족으로 135H보다 155H가 프레임이 떨어지는 클로같은 실패작을 들고오시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더 지저분하게 저전력으로 파고들면 680M이랑 780M도 15W급에선 성능차이가 없거나 680M이 더 우세합니다. 현세대 RDNA3나 XeGG 아키텍처로는 체급을 키우면서 저전력에서 전성비도 잡고 성능도 잡는 선택을 할 수가 없어요. 모든 제품에는 스윗스팟에 해당하는 전력이 있는 법입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5:31

그 얘기는 680M까지 갈 필요도 없이 스팀덱에서 정리 가능하죠.

 

스윗스팟이 존재하는 것도 맞고 각각 적절한 성능을 내는 구간이 있는 걸 부정한 적 없습니다.

 

문제는 780M 잡았다고 공언한 제품인데 잡기는 커녕 미끄러진 거죠. 36W에서는 잡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렇다해도 체급상 안맞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스팀덱이야 밸브가 잘 머리 굴려서 전성비를 챙긴거죠. 최대 성능이 낮은 거지 전성비가 나쁜 제품이 아닙니다.

 

780M은 그냥 선천적으로 전세대보다 전성비가 안좋아요. RDNA3가 RDNA2보다 전성비가 안좋은 건 모바일 뿐만 아니라 PC용도 마찬가집니다. 이 전성비는 본래 향상되는 게 맞습니다. 680M보다는 좋아야 정상이죠.

 

그게 안 된 건 마찬가지로 AMD가 예상보다 좋은 결과물을 못냈다는 뜻인데. 인텔은 그것보다 더 심하단 겁니다.

 

인텔 내장 그래픽이 현재 라데온보다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애초에 인텔이 780M 잡겠다고 내놓은게 메테오레이크모바일 입니다. 그게 실패한 것 뿐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5:49

스팀덱은 게이밍 콘솔 특성상 그래픽이 더 중요하다는 걸 보고 CPU 코어를 줄이고 그래픽은 8CU 박은 커스텀 제품입니다. 전성비가 좋은 이유기도 하고요. 8~12W에서 3D게임 구동하는 게 노트북에서 시도해보시면 쉽지않을 겁니다. 기본적으로 CPU가 7~8W 이상 먹어야 원활하게 뭐라도 돌아가거든요.

 

그냥 절대 성능만 놓고 똥칩이라는 폄하 표현하시는 건, 상당히 잘못돼 보입니다.

 

그런 식이면 M4도 4090 앞에선 똑같죠.

지금 인텔 내장은 1퍼센트 하위만 떨어지는 게 아닙니다. 위에 보내드린 링크를 보시면 충분히 이해되실 겁니다.

 

7840U에 안좋은 경험이 있으신 건 알겠으나, 대중적으로는 인텔 메테오레이크 평가가 더 부정적이죠. 언급하신 버그들이 치명적으로 나타나는 거라면, 많은 UMPC 이용자들이 부정적 의견을 표하셨을 것 같습니다.

 

스냅드래곤이 별반 다를 것 없을 거라는 생각에 대해서는, 제가 뭐라 말씀 드릴 필요가 없겠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00

계속 UMPC 가져오시는데 세상에는 UMPC만 있는게 아닙니다. L3캐시 반토막내가며 절약해서 iGPU 우겨넣은 기형적인 칩을 일반소비자 랩탑용으로 사용하라고 내놨으니 시장에서 참패하고 외면당한 건 당연한 일이죠. 

7840U에 대한 나쁜 경험은 저만 겪은 게 아니고 다양한 유저들이 공유하는 경험이고, 메테오레이크는 단순히 저전력에서의 성능이슈만 있다면 7840U는 다양한 상황에서 대단히 짜증나는 버그를 뱉어냅니다. 7840U에 대한 악평이 적은거는 단순히 사용층이 협소해서이지 칩 자체가 훌륭해서는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아크 그래픽도 극히 협소한 영역에서의 게임 벤치마크만 하는 게 아니라 다양한 게임 돌려보면 전체적인 프레임은 780M이랑 아크 8코어가 별 차이가 없거나 엎치락뒤치락하는데 하위 프레임이 박살나있다는 걸 알 수 있으실거고요. 

그리고 스팀덱은 CPU건 GPU건 성능이 아주 저열한 축에 속하는 제품이 맞습니다. 멘도시노 7520U랑 비비는 한심한 수준의 성능이고 GPU도 RDNA2 8CU 넣었다고 주장은 하는데 다운클럭+전력부족+CPU 성능부족으로 610M이랑 별로 차이가 나지 않고요. 절대적 성능을 떠나서 신형 올레드 스팀덱은 거의 100만원 가까이 하는 가격인데 이런 칩을 넣었다는 것 자체가 어찌 보면 소비자들에 대한 우롱이죠. 

+맥에서 로제타로 게임 돌려보면 알지만 다른 아키텍처간 호환레이어 거쳐서 돌아가는 게임들은 퍼포먼스에 한계가 있습니다. 스터터링도 엄청 짜증나는 수준이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6:12

자꾸 UMPC 가져온다고 하시는데

지금 그 체급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까 그렇지요.

모바일 타깃 제품 얘기하는데 워크스테이션을 가져올 수는 없지 않습니까?

이상한 꼬투리를 잡으시는 것 같습니다.

 

죄송한데 7840U 사용자 층이 협소하다는 건 본인 생각이신지, 아니면 통계가 있는 건가요?

 

그리고 전체적인 프레임이 엎치락 뒤치락 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프레임 간의 간극이 크기 때문에 지금처럼 평균적으로 부족한 거 아닌가요?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스팀덱이 나온 시기가 2022년 2월입니다.

(커스텀 칩 제조 시기는 더 앞이겠죠?)

6800U가 2022년 7월에 나왔어요.

7520U는 2022년 9월이고요.

출시 시기가 다릅니다.

 

애초에 그 성능을 타깃으로 효율성을 뽑아내기 위해 나온 제품인데, 그렇게 성능을 낸다고 욕하는 건 앞뒤가 맞아보이지 않습니다.

 

100만원인 건, 공정 개선하고 OLED 및 SSD 용량이 커진 모델이죠.

본래 스팀덱 출시가는 58만원이었습니다.

 

그런 식의 평가는 "닌텐도 스위치같은 저열한 제품을 왜 40만원주고 사냐"는 말하고 다를 바가 없어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12

UMPC는 30W도 버거워하는 저성능 제품군인데 왜 자꾸 들고오시나요... 그냥 더이상 말 않겠습니다. 

스팀덱에 대해서도 올레드 달고 100만원까지 가격 올려놓고 칩셋 업그레이드 없이 여전히 구형 똥칩셋 탑재하고 나온건 변명의 여지가 없죠. 2024년에 현역 기기라고 말하기 정말 민망한 수준의 저성능이고요. 

노트북 얘기로 돌아가자면, 대부분의 노트북들은 기본적으로 32W정도는 유지합니다. 올해 서피스 랩탑도 정신나간 두께를 보면 36W~40W 정도는 유지전력으로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UMPC는 노트북들이랑 비교하면 저전력 제품군일 뿐이고 사용층으로 따져도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6:32

UMPC가 30W를 버거워하는 게 문제인가요?

그 폼팩터 타깃으로 나온 제품인데, 적절한 성능을 내지 못해 체급을 더 키우고도 이긴다고 확언 못하는 인텔 내장 그래픽이 문제아닌가요?

 

무슨 말씀을 하시고 싶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그냥 AMD와 스냅드래곤을 싫어하시고 거기에 맞춰서 말씀을 하시는 느낌입니다.

스팀덱 OLED 만큼의 만족도를 주는 다른 제품이 있으면, 경쟁이 안 되니 어련히 가격을 낮추겠지요.

실제로 ROG ALLY도 더 성능 좋고 저렴하고요.

그런데 그게 아니니까 구매하는 사람이 있겠죠?

 

구형 칩, 낮은 성능에만 집중해서 보시는 게 이상합니다.

 

https://meeco.kr/mini/38480966

 

예전에 노트북 말씀하실 때는 분명 여러가지 만듦새까지 가격에 포함해서 보시지 않으셨나요?

스팀덱 만듦새나 사용성 같은 건 전혀 계산하지 않는 말씀이네요.

 

저기 노트북들 전력 소모는 여러 부품들까지 다 합친 거죠.

어떻게 CPU만 32W를 계속 유지합니까?

그건 12900H 쓸 때도 안그랬습니다.

 

그러니까 통계 있으세요? 확언할 정도의?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24

노트부깅 게이밍할때 32W를 유지 못한다니요? 황당하네요. 

지금 이 댓글 쓰는 P14s도 게임 돌릴때 유지전력으로 36W 나옵니다. 14인치 원팬제품인데도 70도정도 온도에서 이정도 전력 유지해주는데 12900H가 어떻게 32W를 유지 못한다는거죠? 집에 있는 에일리언웨어 X16은 CPU 45W GPU 175W 유지 가능하고 XPS16은 CPU 25W GPU 60W 유지 가능합니다. 만약 내장만 사용한다 치면 CPU 65W 유지하고요. 노트북을 오래 안써보신 거 아닌가요? 

저 스냅드래곤이랑 AMD 싫어하는거 맞습니다. 스냅드래곤엔 SQ1 SQ3 으로 두번 데였고(대충 4년동안 드라이버 유기쳐하고 화려하게 광고하면서 X 엘리트는 다를거라 주장하는데 웃기지도 않아요) AMD는 라이젠 젠1때랑 지금 7840U로 똥밟았고요. 7945HX도 잠시 써봤는데 뜨거운건 더럽게 뜨겁고 fTPM 문제때문에 스터터링 생기는데 윈11에선 fTPM 강제라 어떻게 하지도 못하는거 황당하기 짝이 없더라고요. 

인텔은 성능이슈는 있어도 전반적인 사용성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었고 제가 주로 사용하는 폼팩터에서는 성능 문제도 10, 11세대 시절 말곤 없었습니다. 애플 실리콘은 어차피 맥OS에서 가능한 영역에서만 활용하는 걸 전제로 하니 불만 없었고요. 제가 스냅이랑 암드 싫어하고 인텔이랑 애플 선호하는 건 이런 이유입니다. 다양하게 써본 결과 이 둘이 제일 탈이 없었어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6:38

말을 잘못 이해하신 것 같은데요, CPU가 32W를 못먹는다는 게 아닙니다.

누가 그 상태를 사용 중에 '계속' 유지하냐는 말입니다.

보통은 CPU 외의 것들까지 합쳐서 20~30W를 쓰지

일반적으로 CPU만 32W 상태를 계속 유지하지 않죠. 노트북 사용시에요.

 

12900H 당연히 게임할 때는 최대 100W도 먹는 애들입니다.

애초에 그정도로 전력 먹여서 쓸 거면, 모바일 사용성은 버린거죠.

저희가 지금 데스크톱이나 데스크노트 얘기하는 게 아닌데

왜 자꾸 그런 식으로 "전력 먹이면 성능 나옵니다!" 라고 하시는 건가요.

결국 그건 지금 인텔 차력쇼 두둔밖에 안 됩니다.

 

회원님이 스냅드래곤하고 AMD 싫어하시는 건 잘 알겠는데, 그게 논리적으로 설득력있는 근거는 안 됩니다. 너무 감정적으로 말씀하시는 것 같아서 드리는 말입니다.

 

애플 실리콘은 맥OS 가능한 영역에서만 활용하시니 불만이 없으시겠죠. 그게 부족하니까 인텔 쓰고 AMD 쓰는 겁니다. 다른 사람들은요.

 

그리고 인텔이 문제없다고 생각하시면, 그냥 인텔 쓰시면 되는 문제죠.

굳이 정확하지도 않은 것들로 깎아내리거나 옹호하려 하실 필요가 있을까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35

게임할때 유지하는데요...?
P14s도 온도때문에 스로틀링걸리는게 아니라 PL2 유지 자체가 오래 안가게 되어있어서 그런거라 따로 설정해주면 36W로 하루종일도 씁니다. 히트파이프도 두껍고 히트싱크도 넓기 때문에 14인치 이상의 노트북들은 32W정돈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정상입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6:39

그러니까 충전기를 꽂고 쓰시는 거잖아요?

14인치든 16인치든, 12900H든 6900HX든

노트북 CPU를 늘 32W 이상으로 쓴다고요? 그건 아니잖아요.

 

그리고 32W로 당연히 쓸 수야 있겠죠.

방열 처리가 잘 돼 있는 제품들은 더 올릴 수도 있겠고.

그런데 지금 얘기하는 논점은 "얼마까지 전력을 먹여서 최대 성능을 뽑아내느냐"가 아닙니다.

체급에 맞는 성능을 잘 내느냐를 보고 있죠.

왜 자꾸 논점을 바꾸려고 하시는지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46

늘 32W로 쓴다는건 당연히 아니죠... 그런데 주제가 게이밍이잖아요. 게이밍 환경에서는 32W 정도 유지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자꾸 체급 이야기하시는데 지금 스냅은 엄피씨가 아니라 노트북에만 탑재되고 있고 현재 발표된 제품들은 대부분 13~14인치 이상의 일반적인 노트북 폼팩터입니다. XPS13이 그나마 제일 작은 축에 속하는 제품인데 해당 제품은 내부 구조상 28W 이상 전력을 버틸 수 있는 체급이고요. 14인치급에서 제일 대표적인 서피스 랩탑 13,8"는 두께부터 19미리에 달해서 마이크로소프트가 SQ3까지 가졌던 저성능 저발열 저전력 팬리스라는 기조를 버리고 고성능 고전력이라는 방향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WoA 랩탑의 레퍼런스를 제공하는 MS부터가 이런 방향성을 추종하는데 왜 자꾸 UMPC같은 저성능 저전력 제품군을 들고오시나요? 지금까지 공개된 부분들이나 실기만 봐도 서피스 랩탑같은 경우엔 번들로 껴주는 39W 어댑터로는 성능을 제대로 뽑아내지 못한다는 사실이 명명백백합니다. 제가 추측하기로는 65W 어댑터를 사용해야 정상적인 범주의 전력을 집어넣어서 최대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물론 나중에 WoA UMPC가 나올 수도 있겠죠. 하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제품군들을 바탕으로 비교했을 때 이렇게 비교하는 게 적절한 비교라는 이야깁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6:54

아, 그런 관점이군요.

 

제가 UMPC 제품군을 가지고 온 건, 그런 관점과 하등 상관없습니다.

그냥 게이밍 제품(당연히 쿨링 설계가 일반적인 노트북보다 잘 돼있는) 군에서 성능 비교를 하다보니 언급한 것 뿐이죠.

그러니까 자꾸 UMPC를 짚으시면서 다른 쪽으로 이야기를 확장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 걸 떠나서 그냥 인텔 내장이 AMD 대비 성능 열위라는 겁니다.

그래서 전력을 더 먹일 수 있든 없든 아무 상관없다고 이미 위에서 말씀드렸고요.

 

+

 

더 말씀드리면 지금 말하시는 논조는 "일단 전력을 더 먹여서라도 성능이 나오게 하면 거 아닌가?"라는 느낌인데요.

 

우리가 IPC를 따지고 전성비를 따지는 이유를 무색하게 하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산업용이나 고사양 게이밍용 제품이라면, 틀린 관점은 아닌데요.

(그런데도 전성비가 더 좋은게 당연히 좋습니다)

 

모빌리티를 중시해야 되는 제품이라면 당연히 배터리 타임이나 발열 같은 것도 신경 써야겠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6:57

저는 전력 더 먹여서 성능이 더 나오면 되는게 아닌가 라는 주장을 하는게 아니라 일반적인 랩탑 제품군들이 게임을 할 때 사용하는 전력인 32~36W 정도에서는 인텔 내장 사용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겁니다. UMPC에서 7840U나 그 변형인 Z1E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명확하죠. OS와의 궁합이나 안정성보다는 저전력에서의 게이밍 성능이 더 중요하니까요. 

그리고 UMPC들이 아무리 쿨링에 신경쓴다 해도 내부 용적의 차이, 히트파이프의 면적과 길이, 히트싱크의 사이즈 면에서 노트북을 따라갈 수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노트북들보다도 하찮은 수준에 불과합니다. 뭐 갤럭시북4프로나 그램프로같은 초슬림 제품군이랑은 비슷할 수도 있겠지만 내부 용적은 쿨링에 있어서 매우매우매우 중요합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7:07

제품 크기가 쿨링에 이점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일반적인 노트북들은 그렇게 설계가 잘 돼 있지도 않고

울트라북들이 대세다보니 오히려 별로이기도 합니다.

그 얘기를 한 겁니다.

 

라이젠은, 죄송한데 인텔보다 훨씬 이점이 많습니다.

PS5, XSX|S가 모두 AMD 기반이고 여기에 맞춰서 개발되고 최적화가 나옵니다.

 

그리고 동일하게 32~36W에서 155H와 7840H 게이밍 성능이 똑같다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봤을 땐 그럼 벤치보다 성능 안나오는 게 맞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BarryWhite 님께
2024.05.29. 17:03

그런데 어차피 이번에도 바보같은 저는 똥인지 된장인지 찍어먹어볼테니 오면 알겠죠.

일단 플렉스 키보드 입고되면 바로 올레드 서프11에 플렉스 키보드 해서 예구할 생각입니다. 저번에 고민좀 했더니 바로 키보드가 품절돼서;;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Magyarország 님께
2024.05.29. 17:06

뭐 사실 이렇게 기존 제품으로 비교해보는 것보다 직접 쓰는 게 가장 적절하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ternative
2등 Alternative
2024.05.29. 07:33

보더랜드3가 Ryzen Z1E에서 900p 해상도/중옵 기준 40-60fps가 나오니 이거저거 감안하면 1세대치곤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스터터링이나 전력 소모, 발열, 스로틀링이 어떨지가 관건이네요

[Alternativ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ternative
Alternative Alternative 님께
2024.05.29. 07:37

ASR vs RSR 영상도 있으면 재밌겠네요

[Alternativ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94 13
핫글 미니 25울트라가 S펜 빠진다는 소리는 처음 듣네요 [12] update 엔당이희망입니다 19:43 689 14
핫글 미니 갤북 4 프로 산거 매우 후회되네요 [36] update Pepsi베어 17:46 1084 14
핫글 미니 현장나왔다가 봤는데, 갤워치 신형 테스트하나보데요? [10] update elcid 11:34 1193 13
214480 미니 갤럭시 탭은 지원 오래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2] 레쓰비 24.06.05 441 2
214479 미니 갤럭시 M12 펌웨어 업데이트 file 운김 24.06.05 80 0
214478 미니 워치4 수명연장 가즈앙 [3] file 북극곰플 24.06.05 711 1
214477 미니 갤럭시 탭 A9+ 5G One UI 6.1 업그레이드 [1] file 운김 24.06.05 200 0
214476 미니 비보쟝 x100 pro 사진 [16] file 멘탈소진 24.06.05 818 12
214475 미니 엘라이의 SD카드 이슈는 발열 때문이 아니었나 봅니다 Alternative 24.06.05 493 1
214474 미니 갤럭시 워치 fe 가 긍정적인 이유 [19] 적당히하자 24.06.05 1084 2
214473 미니 이건 기만이자 사가 아닌가요? [3] file 룬룬 24.06.05 2147 30
214472 미니 와 Btv 드디어 넷플릭스 생겼군요 🤣 [5] MrGom™ 24.06.05 786 2
214471 미니 GPD 듀오 사양 공개 [3] file BarryWhite 24.06.05 565 1
214470 미니 이제 갤럭시 폴더블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 가능하답니다. [2] BarryWhite 24.06.05 816 3
214469 미니 지캠,기본캠 저조도 샷/길냥이~hp2 file pietoro 24.06.05 144 1
214468 미니 살려주세요 제 S20+가 이상함니다 [10] file SM-G986N 24.06.04 804 1
214467 미니 란즈크) 갤럭시Z폴드6 더미 실기 모델 유출 [16] 슈갤럼 24.06.04 2099 7
214466 미니 이렇게나 기변느낌 안나는 기변도 오랜만이네요 file 새벽하늘 24.06.04 710 9
214465 음향 올해 소니 WF-1000XM 신형 없음, 대신 링크버즈 후속? [6] file BarryWhite 24.06.04 787 0
214464 미니 갤럭시 워치 FE 렌더링 [13] file BarryWhite 24.06.04 1179 6
214463 미니 삼성이 오우라에 고소미 시전했군요 [6] file 212212 24.06.04 1941 19
214462 미니 13인치 M4 아이패드 프로 리뷰 [6] BarryWhite 24.06.04 1030 6
214461 미니 아이패드 좋네요 ㅎㅎ [3] file Magyarország 24.06.04 847 12
214460 미니 동영상 자동 FPS 기능 사용하시나요? [2] file 미덕 24.06.04 296 0
214459 미니 Termux용 Shotcut 릴리즈가 임박했네요 ㅋ [2] file 흡혈귀왕 24.06.04 404 3
214458 미니 핏3 3박4일 해외여행 배터리 후기 [4] 긴닉네임24643649 24.06.04 737 8
214457 미니 갤럭시 S24 울트라 170시간 후기 [24] file 샐리 24.06.04 1820 19
214456 미니 인텔은 무슨 생각으로 이런 마케팅을 하는지 모르겠군요. [7] file RuBisCO 24.06.04 1247 9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