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MS 보고서 "Oryon, M3보다 더 느리고 발열 더 많아"

  • Section31
  • 조회 수 1171
  • 2024.05.21. 18:09

마이크로소프트가 의뢰한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운 서피스 랩탑(Surface Laptop)은 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냅드래곤 X Elite의 Oryon 코어를 탑재한 상황에서, 팬이 없는 M3 MacBook에 비해 싱글코어 벤치마크 실행 시 더 뜨겁게 실행됩니다.

 

또한 주요 싱글코어 벤치마크에서도 15%~40% 더 느립니다.

 

따라서 싱글코어 성능에서 M3보다 최소 15% 느릴 뿐만 아니라 분명히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합니다.

 

퀄컴은 오라이온 CPU가 Apple M2 Max의 싱글코어 성능(Geekbench 6에서 2800점)과 일치하도록 클럭을 맞추면 Apple M2 Max보다 30% 적은 전력을 사용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서는 2800점보다 낮은 성능을 제공하며(M3보다 15% 느리기 때문에) M3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합니다.

 

이는 오라이온 CPU의 효율성이 우리가 기대했던 것만큼 인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제조업체가 낮은 클럭 버전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보여줍니다.

 

** 주 : 사진은 시네벤치 2024 멀티스레드 벤치마크 실행 시 측정된 본체의 온도입니다.

- 스냅드래곤 X Elite : 최고 50.3 도

- 인텔 i7-1255U : 최고 47.1 도

- Apple M3 : 최고 45.8 도

- 인텔 코어 Ultra 7 155H : 56.2 도

 

cinebench-2024.jpeg

 

https://twitter.com/lafaiel/status/1792842322226663865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31
RacingMiku
1등 RacingMiku
2024.05.21. 19:04

발열에서 인텔을 따라가면 어떡해요(....)

[RacingMik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RacingMiku 님께
2024.05.21. 19:10

대신 저 온도테스트 기준인 시네벤치로 비교하면 멀티성능이 M2 Pro나 M3보다 위니까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propeller 님께
2024.05.21. 19:12

그냥 무식하게 P코어 12개 때려넣고 멀티는 빨랐죠? 하는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건가요...ㅋㅋㅋㅋ

우리가 ARM 코어에 기대하는건 낮은 발열과 전성비 아니었나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미국인턴 님께
2024.05.21. 19:18

전성비도 더 나으니까요? 애초에 600점대 나오는 M3랑 TDP 낮은 버전도 900점대 나오는 X Elite를 발열로 비교하는거 자체가 웃긴거죠.

그러면 M3 Max는 M3보다 발열 많으니까 별로인가요? ARM 코어에 기대하는건 낮은 발열과 전성비니까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4.05.21. 19:16

12코어 대 8코어는 체급상 거시기하니 (최대한 변인을 통제하여)

12코어(P12) 대 12코어(P6+E6)로 비교하면 어떻게 나올지....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ection31 님께
2024.05.21. 19:1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4.05.21. 19:22

체급이라고 하면 포지션으로 따져야죠. 애초에 아키텍쳐가 다른데 단순히 코어 수로 체급을 따지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고, 또 아키텍쳐가 같더라도 8 Gen 3랑 디멘시티 9300 비교할 때 디멘시티 9300이 체급이 다르다고 보던가요?

 

체급은 IPC가 높거나 코어가 많은 것과 상관없이 결과적으로 나온 제품의 포지션이나 가격을 가지고 비교를 하는거죠.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4.05.21. 19:22

비슷한 멀티스레드 성능(예를 들어 긱벤치6) 기준으로 말한 거였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best 미국인턴 propeller 님께
2024.05.21. 19:22

그게 또 왜 그렇게 되나요ㅋㅋㅋㅋ

M3랑 M3MAX는 타겟 성능 자체도 다른데

이 제품은 이제 맥북에어를 타겟팅하는 제품군 아니었나요? 그럼 당연히 소비자는 맥북 에어에 준하는 발열 성능을 기대하겠죠 

 

그리고 싱글 코어 성능은 확연히 떨어지고 멀티코어에서 P코어 열두개 넣은 덕분에 성능 코어 4개 들어간 ap보다 40프로 성능 잘 나오는게 제대로된 구성인지 저는 모르겠네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best propeller 미국인턴 님께
2024.05.21. 19:52

X Elite는 윈도우 x86 CPU, 그중에서도 특히 i9이나 라이젠 9 라인을 타겟으로 한겁니다. 애초에 OS나 방향성이 다르기에 애플쪽과는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습니다. 

다만 굳이 따지자면 가격으로는 M칩 베이스 모델과 유사하고 방향성은 Max와 유사하죠.

물론 TDP 제한을 걸면 가벼운 노트북에서도 쓸 수는 있지만, 이걸 목표로 한건 아니죠.

 

i5/i7이나 메인스트림에서의 경쟁을 염두한거면 X Plus 같은 하위라인이 있겠고, 얘가 굳이 따지자면 M칩 베이스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에드기인
에드기인 propeller 님께
2024.05.21. 20:00

설마 .. X엘리트가 소비전력 많이 먹는거보고 i9 , 라이젠9 이랑 대응을 한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

애플실리콘 점수 따라잡으려고 코어 엄청 박아대다가 자연스레 소비전력이 높아진거고 퀄컴은 분명 ARM 기반으로 저전력이라는 목표를 바라보고 만들어낸 칩셋입니다 ...

 

애플실리콘의 성공신화를 보고 따라 만들어낸 칩셋이 정작 CPU에 대응 ... ? 이게 맞나요 ??

[에드기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best propeller 에드기인 님께
2024.05.21. 20:23

아뇨 애초에 X Elite는 윈도우 운영체제 상에서 굴러가는 제품이고, 저전력은 우선적인 목표가 아니라 부가적인 것이죠.

퀄컴이 누비아를 인수한 이유 자체가 원래 ARM 기반 서버용을 타겟으로 한거였고, 또한 원래 계획을 보면 말씀과 달리 코어 수도 늘어난게 아니라 오히려 줄어든겁니다.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에드기인 님께
2024.05.22. 09:03

퀄컴이 인수하고 Oryon의 토대가 된 Nuvia라는 기업 자체가 고성능 추구 쪽이였던건 맞습니다. 퀄컴의 누비아 인수당시 처음 소문들(지금 Elite의 엔지니어링 샘플들 루머들이 되겠네요)도 데스크탑급 타겟 SoC목표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때 부터 퍼포먼스 코어갯수 엄청 많았구요.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propeller 님께
2024.05.21. 20:12

i9이나 M3Max요?ㅋㅋㅋㅋ

 

23W에서 전력을 세배를 때려넣으면 이제 30% 성능 올라가는데 i9이랑 M3 MAX랑 동급이 맞습니까 이게?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미국인턴 님께
2024.05.21. 20:24

i9과 비교하면 동급이 아니라 우위죠. 절대성능이든 전성비든요. 

그리고 애초에 M칩은 방향성 측면에서 말한거지 명확하게 대응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라이트유저용이 아니라는 의미죠.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4.05.21. 20:29

애초에 애플의 M3 시리즈 소개에서조차, 그 맥락상 M3는 일반사용자층 제품군 타깃(예: 맥북에어), M3 Pro는 전문사용자 제품군 타깃(예: 맥북프로 14/16 저성능 버전), M3 Max는 전문사용자 중에서도 극한의 성능이 필요한 제품군(예: 맥북프로 14/16 고성능 버전) 타깃으로 합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ection31 님께
2024.05.21. 20:2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Section31 님께
2024.05.21. 20:37

네 X Elite 자체가 i9처럼 전문사용자 제품군을 주 타겟으로 한게 맞습니다.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propeller 님께
2024.05.21. 20:42

아니 타겟은 알겠는데 현실적으로 23W가 적절한 전력량인데 이게 정말 전문사용자급의 제품이냐 이거죠. 

 

정말 그정도 급이고 이번에 나온게 단순히 전력량을 제한한 것 뿐이면 적어도 23w와 80w의 멀티코어 차이가 30%보단 더 커야 하는거 아닌가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propeller 님께
2024.05.21. 20:39

????

그럼 대체 X엘리트와 대응하는 M칩은 대체 뭔가요? 동일한 아키텍처를 사용하는데 오히려 i9보다 1대1 비교가 더 정확하게 가능한거 아닌가요?

 

그리고 전력을 세배를 넣었을때 성능이 두배오르는것도 아니고 30%오르는데 과연 이게 80W급 성능의 cpu라고 부를 수 있는 물건이 맞나요? 오히려 스윗스팟이 23w고 그정도 급의 cpu인거 같은데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미국인턴 님께
2024.05.21. 20:39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미국인턴 님께
2024.05.22. 09:18

동일한 아키텍쳐는아니고 동일한 명령어셋을 사용하는겁니다.

그리고 어느 cpu 아키텍쳐나  non-linear한게 뚝 떨어지는 스팟은 존재합니다. 그래서 특히 다른 아키텍쳐 구조의 cpu들은 성능으로 비교해야지 파워소모를 기준으로 구분하는건 같은 아키텍쳐 기반일때나 통하는게 합리적인거 아닐까요?

그리고 정확한 스윗스팟이 어느정도인지, 마소의 M2 Max와의 비교의 저 발표가 맞았는지 보려면... 딱봐도 제한된 자료를 기반으로 애플쪽으로 해석한(해석이 너무 추정식이고 이상해서 트위터계정 들어가보니 애플팬보이가 맞더라구요ㅎ)걸 정설로 믿기보다는 일단 실사용 리뷰들이 나와야겠죠?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2등 흡혈귀왕
2024.05.21. 19:05

그래서 3.42GHz 클럭을 선택했군요...

N4P에서 스윗스팟은 3.42GHz가 한계인건가...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흡혈귀왕 님께
2024.05.21. 19:15

게다가 퀄컴 측에서 제시한 데이터에 따르면 리눅스 환경에서 싱글코어 긱벤치6 기준,

M2 Max와 비교 시 피크성능에서 30% 전력 더 적게 쓴다고 홍보했는데,

 

문제는 M2 Max는 비록 다른 벤치마크 - 시네벤치 R23 - 이긴 하지만, 시네벤치 R23기준으로

싱글 22.6W를 먹는다는 점이고, 결국 저번에 퀄컴이 제시한 그래프대로에 따르면

X Elite은 싱글코어 기준 피크 성능에서 (긱벤치6) 15W까지 먹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ection31 님께
2024.05.21. 19:13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잉여인간
잉여인간 Section31 님께
2024.05.21. 20:19

M2 max 싱글코어가 22.6와트까지도 들어가나요?생각보다 높네요.

[잉여인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잉여인간
잉여인간 Section31 님께
2024.05.21. 20:20

애플 보면 한 4,5와트만 줘도 싱글 성능이 워낙 잘나오니 굳이 그리 많이 줄 필요가 없을줄 알았네요

[잉여인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잉여인간 님께
2024.05.21. 20:28

시네벤치는 긱벤치보다도 높은 정말 극한의 워크로드를 가하기 때문에...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3등 영어공학과
2024.05.22. 08:21

자료해석하는게 좀 편향적인데 싶어서 트위터 계정글들 보니.....애플팬 맞군요ㅎ 저걸 벌써 테스트했다고? 싶기도 했었지만 일단 저 트윗은 그대로 믿지는 말고 지켜봐야할듯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2 13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1] update 잇흥 10:45 805 13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13] updatefile Fluent 15:34 506 12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7] file iceuniverse 13:02 813 11
213909 미니 M4 vs 스냅X 앨리스 긱벤치6 [10] file 흡혈귀왕 24.05.22 1387 6
213908 미니 5월자 Google 시스템 업데이트 [1] file MOSRay 24.05.22 727 4
213907 미니 두컷으로 비교되는 기본,구글 hp2 [4] file pietoro 24.05.21 856 5
213906 미니 LPDDR6 스펙 나왔네요. [8] file 흡혈귀왕 24.05.21 1288 12
213905 미니 기커완이 A9 삼성14나노 TSMC16나노 비교도 했었네요 [7] file 범퀴 24.05.21 996 3
213904 미니 서피스 프로 플렉스 키보드는 유선연결도 되는가봅니다... [3] Stellist 24.05.21 630 4
213903 미니 아이폰 16 프맥이랑 프로랑 메인 센서 차이 나나보네요. [2] 요트맨 24.05.21 751 5
213902 미니 다들 과거의 기기를 올려주시는데 [4] file 오레오가좋아 24.05.21 1154 12
213901 미니 이번 서피스는 엄청나게 싸게 나온 축에 속합니다 [8] file 212212 24.05.21 1457 12
213900 미니 바이오에는 기대하지 마세요 [3] file Magyarország 24.05.21 929 5
213899 미니 쿠팡에서 S23 울트라 재고가 아직도 남아있군요 ㄷㄷ [3] file RacingMiku 24.05.21 1203 1
213898 미니 스냅X 엘리트로 이 제품이 부활해야 합니다. [8] file Stellist 24.05.21 1040 7
213897 미니 삼성은 서피스형 폼팩터를 정녕 낼 생각이 없을까요?? [5] 비둘기야먹자 24.05.21 649 1
213896 미니 애플이 배워야 할 마이크로소프트 정책 [6] Stellist 24.05.21 1294 13
213895 미니 서피스 플렉스 키보드 가격이 어마무시한데요 [4] file Magyarország 24.05.21 730 2
213894 미니 이번 서피스 가격 ㅎㄷㄷ합니다... [10] file 닉포토 24.05.21 1292 6
213893 미니 OxygenOS 14 4월자 뉴 애니메이션 엔진 굿 ㄷㄷㄷ [18] file Androguy 24.05.21 1033 8
미니 잡담: MS 보고서 "Oryon, M3보다 더 느리고 발열 더 많아" [31] file Section31 24.05.21 1171 1
213891 미니 MS판 로제타? 프리즘 에뮬레이터 기대됩니다. [4] OHWO 24.05.21 532 4
213890 미니 이번 서피스는 Arm버전만 나오는건가요? [4] 닉포토 24.05.21 464 0
213889 미니 플립 6 카메라 [6] file 늅늅 24.05.21 631 1
213888 미니 잡담: 초창기 4LPE가 얼마나 구렸는지를 보여주는 사진 [11] file Section31 24.05.21 889 1
213887 미니 스냅X엘리트 성능이 M3~M3 Pro 사이 정도는 되나보네요? [10] file Stellist 24.05.21 971 9
213886 미니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폴드6에 '엑시노스2400' 탑재한다 [16]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4.05.21 1360 2
213885 미니 WoA의 문제는 믿음 입니다. [5] Alternative 24.05.21 662 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