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M-G965U

미니 현재 스맛폰 시장과 미래 전기차 시장이 오버랩 됩니다

  • SM-G965U
  • 조회 수 666
  • 2020.11.03. 11:09

뜬금 없지만 오토기어 보고 잡설이 생각나서 끄적여봅니다.

 

스마트폰으로 시장이 개편되던 초기에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우왕좌왕 했던거 기억하실겁니다. 아이폰 쇼크로 온갖 제조사들이 윈도우 모바일 같은 삽질을 하는등 엉망징창이였고 샘숭도 예외는 아니었죠. 하지만 샘숭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까지 스마트폰에 필요한 거의 모든것을 다 쥐고 공급하는 문어발 회사였기에 옴니아 같은 삽질을 거하게 했어도 올라올만한 저력이 충분했습죠. 타 제조사랑 스타팅 포인트가 달랐습니다.

 

또 애플 아이폰 극초기 AP로 허밍버드 및 엑시노스를 고대로 가져다가 썼어요. 2007년 발표된 첫 아이폰도 삼성제 AP를 썼고 A5까지는 샘숭이 관여한것으로 여겨지니 사실상 샘숭은 아이폰과 비슷한 수준의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 충분히 가능했던 겁니다.

 

즉 삼엽충과 앱등이로 지금보다 더 가열차게 싸웠던 그 시절에 삼성은 항상 승자였습니다(...)

 

물론 12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세계시장 1위는 삼성의 노력이 없었다고 할수는 없지만 자체 조달이 다 되는 기업과 아닌 기업의 차이는 극명할수 밖에요.... 그런 의미에서 삼엘 운명의 분기점이라고 판단되는 지점이 있는데, 바로 하이닉스 입니다.

 

엘지는 삼성처럼 디플과 배터리가 있었으나 빼앗긴 하이닉스를 되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우린 그동안 반도체 없이 사는법을 배웠다는 헛소리를 하며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G5보다 여기가 제일 큰 엘지의 패착이었다고 봅니다. 이로인해 타 안드 제조사들 처럼 AP도 퀄컴, 모뎀도 퀄컴을 써야만 하는 처지에 놓였으니 말이죠. 삼성도 퀄컴꺼를 사용은 했지만 삼성은 업계 1위라는 타이틀과 함께 자사의 엑시노스라는 보험도 들어놓았으니 부담은 훨씬 덜 하죠. 실제로 어느시점까지는 엑시가 퀄컴보다 우세하기도 했었구요.

 

타 제조사들은 사정이 엘지보다 나쁘면 나빴지 좋다고 하기도 힘들기에(AP, 디플, 배터리 전부 판매량 안나오면서 외부 조달은 뭐다??) 결국 하나둘씩 고꾸라지고(Help This Company, 하늘, Blueberry, Hi Moto 등등) 보조금과 내수시장으로 굴러가는 -짱- 회사들과 맛폰에서 난 적자를 타 계열사에서 메꿔줄수 있는 소니랑 엘지만이 남았죠.

 

여기서 전기차의 미래가 조금은 보이는게,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전자제품의 그것에 가깝습니다. 거대한 배터리 팩과 차량 전반 제어 및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컴퓨터 그리고 전기모터까지....... 기존 자동차 업체들이 전자제품 제조사들한테 기반기술에서 밀려요. 결국 2008년 부터 이 우물을 계속 파온 차세대 애플 테슬라가 살아남는건 확실한데 그러면 누가 삼성이 될것이냐 그건데........ 솔직히 많이 절망적 입니다. 기존 내연차 업체 가운데 저 기술들을 몽땅 가지고 있거나 한두개이상 가진 업체가 없어요. 다 갖고 있는 업체는 솔직히 말해서 휸다이가 아니라 삼성입니다;;;;; 게다가 테슬라는 자체적인 배터리 기술 확보 및 공장 설립이라는 발표를 해서 기존 밴더들도 엿먹은 상황이구여. 설상가상으로 중국에서 엄청나게 전기차를 밀어주는 중이고 배터리 기술을 CATL이 갖고 있습니다. 나머지 기술들도 카피했고, 어마어마한 내수를 바탕으로 지금 차근차근 전기차 시장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이제까지 내연기관이야 중국차들이 뚫을수 없는 영역이었다고 쳐도, 전기차는 새로운 폼팩터라서 시장에 진입하기 쉽기 때문이죠. 기존 내연기관차 기업들이 테슬라나 중국제 전기차에 우위를 갖는것은 많은 생산 노하우로 다져진 단차 밎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레이싱 데이터 값, 그리고 벤츠같은 브랜드만이 지니는 상징성 정도입니다. 테슬라 이외에 -짱- 브랜드밖에 남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뇌피셜이 많으니 댓글로 반박해주세요.

댓글
23
잔고부족
1등 잔고부족
2020.11.03. 11:13

삼성이 현대차 흡수하고 삼성전기차를 출범시키면 되겠군요

[잔고부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잔고부족
잔고부족 잔고부족 님께
2020.11.03. 11:14

스마트폰으로 가전을 넘어 전기차까지 통합관리

 

[잔고부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잔고부족 님께
2020.11.03. 11:30

삼성 갤럭시 카

네비게이션에 광고탑재 엌ㅋㅋㅋㅋ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잔고부족 님께
2020.11.03. 11:44

이건희 회장의 꿈이 이렇게????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전자개복치
best 2등 전자개복치
2020.11.03. 11:25

그런데 자동차는 브랜드빨이 엄청나게 먹히는 산업이라서... 그리고 테슬라가 성장세가 엄청나다곤 하지만 기존 내연기관차들 생산량이 얼만지 생각해보면 새발의 피죠(...) 공장을 계속 지어나가야 하는 테슬라와 달리 기존 자동차 업체들은 그럴 필요가 없으니 원가면에서도 유리하고요.

[전자개복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전자개복치 님께
2020.11.03. 11:37

그 비용 부분을 공장설립에 투입되는 무지막지한 정부보조금을 받고, 라이다 조차 안달린 FSD를 구매자들에게 수천달러에 덤터기를 씌우고, 자사에서 부담해야 할 유지정비망에대한 투자를 안하는걸로 해결하고 있는 상태이긴 합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전자개복치 님께
2020.11.03. 11:46

당연히 아직은 전기차 인프라가 덜 깔려있으니 내연기관차가 바로 망하지는 않을겁니다. 그런데 실제로 미래가치를 창출할만큼의 전기 자동차를 테슬라 말고는 보여준 회사가 없습니다. 생산량 얘기를 하시는데, 그 생산량 때문에 기존에 엮인 벤더들을 정리할수가 없어서 기존 내연차 회사들이 지금 골머리를 썩는 중 입니다. 앞으로 전기차에 필요하지 않은데, 기존에 엮여있는 쪽이 엔진, 트랜스미션, 흡배기 등 관련 업체들인데 이걸 다 한꺼번에 자르고 갈수가 없어요. 백수 양성이고 워낙에 밥줄이 많이 달려있는 분야라 정부 압박도 들어오기 때문에 얘네들을 최대한 끌어안고 가면서 전기차 기술에 돈을 꼬라박아야 하니 힘이 두배로 드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브랜드빨은 저도 언급했듯이 벤츠는 삼각별만 빌려주고 실제 제품은 테슬라나 리막 이럴 가능성도 있습니다.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leon
3등 Kleon
2020.11.03. 11:28

전기차는 자율주행 빼면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뭐가 다른가 싶어요. 사용패턴은 기존과 다를바가 없을테니까요. 가는곳, 주차하는곳, 충전하는곳, 이 사이클 안에서 벗어날수가 없겠죠. 제조 관점에선 전기모터 제조기술이 메인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스맛폰에서의 AP의 위치에 있는 부품이니까요. 

[Kle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Kleon 님께
2020.11.03. 11:43

거기서 테슬라가 앞서있는 겁니다. 현댜차나 폭스바겐이 리막 오토모빌리에 돈을 꼬라박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모터 제어 기술이 너무 모자르기 떄문이죠. 또 자율주행을 위해서 사용될 센서나 연산장치등을 생각하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는 아예 결이 다릅니다.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선라이즈
2020.11.03. 11:53

엘지는 하닉 가져도 돈 없어서 못 키워요. 동귀어진 하는 것보다 낫죠.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선라이즈 님께
2020.11.03. 11:54

그정도로 상태가 안좋았나요?? 빅딜로 뺏긴거 되찾아온다고 회장일가한테 빌어봤으면 되지 않았을까 싶긴 한데.....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irFry
StirFry
2020.11.03. 12:19

저는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대체할 수 없다고 보는 의견이라

삼성이 자동차 시장에 다시 뛰어들 일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StirFr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StirFry 님께
2020.11.03. 12:26

원래 자동차라는 물건 자체가 10년을 보고 사는 물건이기에 당연하지만 지금 당장 전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기차로 대체하는 움직임이 있진 않을겁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이 년단위로 격변했던 것 만큼 빠르게 바뀌지는 않더라도 충전 인프라가 깔리면서 mmWave도 깔리고 그러면 저쪽으로 갈수밖에 없어요. 그리고 삼성이 하만카돈을 인수했을때 자동차 전장 파트가 거기에 있었고 다른 기술도 충분하기 때문에 아예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닙니다. 다만 이때 문제점은 삼성이 B2B만 하는게 아니라 B2C도 하는거라서 TSMC에 물량 몰리는것 마냥 삼성 부품을 사지 않으려는 움직임이 있겠죠.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기건달_보노보노
아기건달_보노보노
2020.11.03. 14:15

LG가 국내에서는 좀 커보이지만 하이닉스를 키울정도는 아니에요. 거의 대부분 분사 해버려서 각 계열사별로 규모도 그닥이라 하이닉스를 가져왔다고 상황이 더 나아졌을거 같진 않네요. 전기차 관련해서는 잘은 모르지만, 내연기관이 그동안 깔아온 시장이 휴대폰 시장과 비교가 안될만큼 짧지도 작지도 않아서 단기간에 테슬라 하나로 시장의 판도가 뒤집을수 있을거 같아보이진 않네요.

[아기건달_보노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아기건달_보노보노 님께
2020.11.03. 22:29

지금 엘지가 사정이 안좋다는건 알아도 그때 당시 하이닉스를 못살만큼 상태가 안좋았었나요? 그리고 당연히 내연기관이 백수십년 버텨왔던 저력이 있지요. 그런데 우리가 생각하는 자율주행이 되면서 엔터테인먼트도 즐기고 하는 식의 전기차에 가까운것은 테슬라 뿐이에요. 아직 내연기관 제조사들 대부분이 기존의 내연차를 바탕으로 가지치기를 한 전기차밖에 없고,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라 하더라도 테슬라 같은 OTA 업데이트 같은것이 되질 않습니다. 스마트폰도 초기에 앱을 깔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스마트폰과 비 스마트폰으로 나뉘었고, 당연히 앱이 깔리지 않는 녀석들의 머릿수는 훨씬 많았지만 지금은 다 도태되어버렸죠.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새는달
지새는달
2020.11.03. 14:36

개인적으로는 전기차는 아직까지 내연기관 대체하기가 힘들거같습니다

무엇보다 배터리 기술자체가 발목을 잡을것같아요

집 회사 이렇게 출퇴근만하는 루트야 전기차로 충분히 대체가능하지만 아직까지 전기차는 충전시간과 주행거리에 묶여있다보니 내연기관에비해 제약이 많죠

당장 물류센터같은곳만가도 제일많이쓰는 지게차종류는 전동배터리지게차와 디젤쓰는 지게차 2종류입니다

택배허브같이 물동량 미어터지는곳은 충방전시간때문에 배터리로 커버가 안됩니다

전 전기차 점유율이 많이 올라가겠지만 내연기관을 대체할수는 없다고 봅니다

[지새는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지새는달 님께
2020.11.03. 21:39

당연히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아직 덜 깔려서 그렇죠. 4G 초기때나 지금 5G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거지같아서 차라리 3G, 4G 쓰지(내연기관차 타지)라는 소리가 안나올수가 없죠. 그런데 이게 점점 깔리다 보면 당연히 더 편안한 쪽으로 가게 되있는겁니다. 수리 용이성만 해도 내연기관이랑 비교도 안됩니다.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새는달
지새는달 SM-G965U 님께
2020.11.03. 22:46

충전인프라문제보다는 충전시간이라는 시간제약이 큰 걸림돌이라고 봅니다 ㅎ

인프라야 지속적으로 늘어나겠지만 시간은 어떻게 줄일 방법이 없어보입니다

날고긴다는 세계 석박사들이 수십년째 연구중이지만 배터리 수병이 니켈전지에서 더이상 크게 발전이 없는거보면 진짜 노벨상급 신소재가 아닌이상 한계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그리고 수리문제는 규모의 경제라 전기차 부품이 깔리면 싸지기야 할껀데 일단 기본적으로 내연기관 부품은 단순 철덩어리거나 간단한거지만 전기차 수리는 아마 어셈블리교체로 가게될껀데 그게 무조건 싸질거같지도 않고요 

[지새는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지새는달 님께
2020.11.04. 03:08

충전 시간은 그건 참 답이 없죠..... 배터리 신기술이 등장하지 않는 한 힘들 것 같아요. 사실 그거때매 수소차가 산업 현장에서 각광받는 것이기도 하거든요. 수소로 전기를 바로 생산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되니까....... 내연기관은 묘듈이라고 할게 없지만 전기차는 묘듈 형식으로 갈아끼우면 될거라 가격과는 별개로 정비용이성은 비교도 안된다고 봐요 ㅎㅎ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xynos8895
2020.11.03. 19:01

멍청한 소리인지 모르겠지만 삼성이 다시 전기차 분야에 진출할 일은 없겠죠? 

[Exynos889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글쓴이
SM-G965U Exynos8895 님께
2020.11.03. 21:34

B2B 형식으로 부품 파는건 충분히 킹능성 있습니다. 하만카돈이 자동차 전장사업도 하던 곳이고 SDI 배터리 판매는 확실히 눈독을 들이지 않을리가 없죠. 다만 전기 모터라는게 가정용 출력과는 또 다른 세계가 자동차용 모터라서 그걸 삼성이 할수 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B2C는 모루겟소요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36 13
핫글 미니 삼성 서비스센터 직원이 고객 휴대폰 갤러리 훔처본 사고가 터졌군요. [47] update 1o92nd 24.06.05 1811 31
핫글 미니 LG g5는 왜 망했을까? [32] updatefile 펄럭펄럭 01:14 1154 22
핫글 미니 버즈3 "Pro"라고 불리고 싶으면 고쳐야 하는 부분 2가지 [10] update TempNick 10:54 897 15
87783 미니 X86대비 CPU 전성비가 4배 좋답니다 [2] 뇌이징 20.11.11 506 0
87782 미니 저거 그냥 초거대A칩 아닌가요 [1] 라테린 20.11.11 530 0
87781 미니 램을 soc에 때려박다니 [3] 팝카드있으세요 20.11.11 468 0
87780 미니 Apple M1 소개 [4] file 헤페바이쎄 20.11.11 661 0
87779 미니 자막이 없어서 아쉽네요 ㅠ 열등생 20.11.11 67 0
87778 미니 자막이없다니... 헤페바이쎄 20.11.11 71 0
87777 미니 폴드 기본 레이아웃으로 돌아왔네요 꼴에 20.11.11 193 0
87776 미니 Oneui 광고 요즘은 많이 사라졌나요? [4] 개구리페페 20.11.11 340 0
87775 미니 올엑세스 vs 컴터조립 [4] Ginza 20.11.11 169 0
87774 미니 UWP로 포팅한 VLC 일단 무난무난하네요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0.11.11 135 0
87773 미니 청과점 닫았군요 file 루딱이 20.11.11 218 0
87772 미니 S20 AOD 키고 쓰시나요? [8] dlwlrma 20.11.11 567 0
87771 미니 팟플레이어 vs VLC [4] [성공]함께크는성장 20.11.11 612 0
87770 미니 삼성 퀵섀어 생각외로 쓸만하네요?; [19] Aimer 20.11.11 641 0
87769 미니 8T 광학식 지문인식 인식률 자가 테스트.gif [8] file choijm0715 20.11.11 512 3
87768 미니 인텔의 무능력을 논하기 사작하면 끝이 안나요. [4] ARMCC 20.11.11 444 0
87767 미니 흔한 업데이트 완료.jpg [1]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0.11.11 545 1
87766 미니 뭐이리 인텔을 걱정하세요;; 암드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8] 뇌이징 20.11.11 530 0
87765 미니 깨톡 v9.1 [3] file aleji 20.11.11 419 0
87764 미니 이제 중국도 본격적으로 OLED 시장에 뛰어들 텐데 [20] 실론 20.11.10 560 0
87763 미니 8T 광학식 지문인식.gif [9] file choijm0715 20.11.10 456 0
87762 미니 Zen3가 Zen2와 같은 N7 HPC를 쓴것과 내년 Warhol에 대해 주저리.... [14] file 흡혈귀왕 20.11.10 446 1
87761 미니 전 S20 온스크린 지문도 이정도면 괜찮은거 같아요 [7] file 길갈 20.11.10 396 1
87760 미니 2022년도발 인텔 12세대를 기다리신다면... [5] ARMCC 20.11.10 352 0
87759 미니 아이폰 예약하기도 전에 2번째 케이스 주문했습니다.. [3] file Stellist 20.11.10 306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