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존버합니다

미니 수정)찌라시)삼성 엑시노스 mRDNA GPU관련

 대만발입니다. 

 삼성측과 AMD 측 협업으로 상당히 전력소모를 많이 잡았지만 여전히 모바일에서 사용하기엔 높은 전력소모.

하지만 향간의 소문대로 10w가 넘어가거나 하진 않는다고 합니다. 평균적으로 8w정도로 M1코어 수준이라는 소문입니다.

 

 AMD측이 면적부분에서 손해보더라도 CU갯수를 늘리고 클럭을 낮추는 형태로 제시하여 어느정도 해결이 된상태.

출시 전까지 누수전력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합니다.

삼성의 경우 CU갯수를 줄이고 클럭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려고 했다는 후문.

쓰로틀링이 걸리더라도 타켓 성능이 높아서 만회하는 형태.(실제 테스트에서 최악의 쓰로틀링이 걸린상태에서 차세대 말리보다 성능이 높았다고 함)

RDNA아케텍쳐 절대 성능치는 이미 나온상태라 성능상 문제는 없으며, 지금까지 개발방향이 최대한 전력 최적화를 하는 과정이었다고 합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6338024?od=T31&po=0&category=0&groupCd=

 

 

 

 

(실제 테스트에서 최악의 쓰로틀링이 걸린상태에서 차세대 말리보다 성능이 높았다고 함)

 

말리 너는 도대체..

 

 

 

존버합니다
15promax
에어팟프로2
워치7 45mm
탭s7+
댓글
31
1등 바보중
2021.07.21. 14:49

옆동네 출처는 적어주시는게;;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바보중 님께
2021.07.21. 14:49

복붙했는데 짤렸었네유 바로 수정했습니당 ㅠㅠ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3등 흡혈귀왕
2021.07.21. 14:57

CU 개수는 애초에 기획 단계부터 6CU였을겁니다.

 

한 3나노쯤가면 8CU정도로 늘릴지도 모르겠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4:56

역시 편의점은 CU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LSI 님께
2021.07.21. 14:56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S.LSI 님께
2021.07.21. 14:57

참 구리(CU)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2021.07.21. 14:57

근데 M1이랑 비교되는 정도면 모바일에 쓰기 괜찮을런지 모르겠네요 A시리즈랑 비교가 아니라 M이라니..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7.21. 14:57

일단 제가 인지하는 성능이 맞다면 M1 GPU에 탈탈 털리는 성능입니다.

M1은 급이 달라요....

 

A14 GPU에 두배이상 성능이라....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4:57
회원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2

전력소모가 M1이랑 동급이라는 말이 써있어서... 화룡되는건 아니겠쥬...

+ 찾아보니 이미 2100 888 도 8W급이라는 말이 있나보군여

 

 

3. 공정의 전성비가 차이가 없는데 이전세대(865)에 비해 GPU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피크 GPU 소모전력량을 크게 늘림. (4W 내외에서 8W 정도로 2배 늘림)

그 결과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GPU 사용시 애플 A시리즈처럼 쓰로틀링이 극심해짐.

왜 이런걸 애플 따라하는지 모르겠다고 한탄중.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7.21. 15:03

피크 성능을 올려야해서 그렇겠죠.

이번 스냅888이랑 엑시2100부터 5G 모뎀까지 원칩화된 상태에서

 

성능을 올리려면 칩면적을 키워야하는데

그러면 생산단가가 올라가고 수율도 저하됩니다.(가뜩이나 지금 수율로도 말많으니)

 

결국 최대한 트랜지스터를 배제하고 클럭을 땡기는 방향으로 갔겟죠

5LPE의 부족한 성능에 결국 불타오르고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2021.07.21. 14:59

삼성 특유의 클럭땜빵하기 또 하려는건가...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7.21. 15:00

RDNA2 IP 자체가 고클럭 특화 아키텍쳐라서

클럭이 낮지는 아닐겁니다 절대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4

여태까지 망한 원인중하나가 코어 적게 때려박고 고클럭으로 땜빵했기 때문이 아닌가요..엑시노스2100도 그렇고 왜 같은일을 되풀이 하는건지..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7.21. 15:06

아뇨 Mali는 코어 겁내 때려박았는데

밀도당 성능이 부족했던탓이 크죠....

 

그리고 위에 적었다시피 화웨이 기린처럼 코어 더 때려박을수있습니다.

다만 생산단가가 올라가고 수율이 개판되는 문제가있습니다.

 

가뜩이나 엑시2100 캐시 그리된게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카더라까지 돌고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9

결국 원가절감인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나랏미 님께
2021.07.21. 15:32

필요 이상으로 면적 줄이는 것도 아니고 수율-성능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서 스윗스팟 잡는건 당연한 선택입니다.

반도체는 공산품이지 예술품이 아니니까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amma 님께
2021.07.21. 15:3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gamma 님께
2021.07.21. 16:04

아 잠깐 글을 다시읽어봤는데 암드가 제시한대로 cu를 늘리고 클럭을 낮췄다는건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나랏미 님께
2021.07.21. 16:0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2021.07.21. 15:00

다이면적 줄이려고 했나보네요... 그냥 암드 말좀 들어!!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GNXY901TW 님께
2021.07.21. 15:02

근데 어쩔수없는게 다이가 커지면 결국 생산단가랑 수율로 이어지기때문에

줄이는 방향이 맞습니다.

 

가뜩이나 엑시노스 시리즈는 스냅드래곤이나 기린, 화웨이 대비 늘 면적이 컸거든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4

그렇군요... 하긴 드랍된 몽구스 M6도 다이면적이 엄청났던 걸로 기억합니다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GNXY901TW 님께
2021.07.21. 17:10

5khOVtwp9idq0NXc.jpg

이게 암드 4700 르누아르 다이 샷인데

보시다시피 순수 cpu 다이 사이즈와 (붉은 테두리 + 흰색 그라데이션) 순수 gpu 다이 사이즈 (검정 테두리 + 흰색 그라데이션) 사이에 그리 큰 차이가 보이지 않습니다. 1 : 0.75정도 되려나요?

 

엑시노스 2200의 다이 샷이 안나와서 추측에 불과할 따름이지만, 이와 같은 추세가 변하지 않는 건 당연하리라고 봅니다. 암드측 권유대로 CU를 6개에서 8개로 증설하고 클럭을 낮춰 전성비를 잡아보자는 건... 일견 합당해 보이는 선택지임은 분명하나, 생산성에 있어선 결코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gpu 부분이 늘어나는 건 곧 칩 전체의 면적이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과 동일한 결론이기 때문이죠.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1q2w3e4r! 님께
2021.07.21. 17:15

그렇군요...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NXY901TW 님께
2021.07.21. 17:15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2021.07.21. 15:02

전성비는 많이 때려 박고 클럭으로 낮추는게 확실히 좋죠.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2021.07.21. 15:09

암드도 그래픽카드 죽쓰던 시절에 자주 하던 짓거리였죠 ㅋㅋㅋ

스윗스팟 한참 넘긴 채로 클럭을 당겨서 출시하는... 당시엔 엔비디아보다 전성비가 1세대 이상 뒤쳐졌는데 지금은 rdna2 아키텍쳐 빨인지 tsmc 7nm 공정빨인지 어쨌든 엔비디아를 전성비로 압살하는(+클럭도 넣는 대로 들어가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형국이 되어버렸습니다.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1q2w3e4r! 님께
2021.07.21. 16:37

Fury X 28nm 시절엔 참... 암울했죠 ㅠ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회로 님께
2021.07.21. 17:23

퓨리X의 저전력 버전인 R9 나노는 당대 어떤 그래픽카드보다도 전성비가 좋았습니다. 퓨리X의 오버클럭 마진이 0에 가까웠던걸 생각해보면 퓨리 X는 클럭을 당길 수 있는 한 최대로 당겼다는 소리가 되는 셈이죠 ㅡㅡㅋ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1q2w3e4r! 님께
2021.07.21. 17:53

나노는 정말 매력적인 제품이었죠

그 성능에 단돈 $499 ㅎ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맛치킨
딸기맛치킨
2021.07.21. 15:25

그동안 똥말리 때문에 어쩔수 없이 많은 MP를 탑재할수 밖에 없었던 삼성 입장에선 CU를 하나라도 줄이고 고클럭으로 가고싶었겠지만

 

애초에 데탑용으로 설계된 아키텍쳐를 노트북도 아니고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기엔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긴 하죠.

 

[딸기맛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2021.07.21. 15:26

'대만발'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amma 님께
2021.07.21. 15:26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2021.07.21. 16:36

8895 G71 MP20같은 흉악한 GPU를 다시 볼지도...?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으헝잇힝으헝
2021.07.21. 16:37

게임 안하니 피크성능 최대 가즈아

[으헝잇힝으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25 13
핫글 미니 다른 거 부실해도 램은 빵빵했던 그 녀석 [45] file RacingMiku 24.06.10 1330 19
핫글 미니 지금의 S펜은 폴드에겐 오히려 독인 듯 합니다. [21] file Daylight 24.06.10 823 14
핫글 미니 갤럭시 버즈3 프로 렌더링 유출 [28] file 노다 24.06.10 1479 11
125332 미니 구글 메이저업뎃 os업뎃 5회로결정난거같은데 제조사들이 따를의무는없죠? [14] S22울트라존버 21.07.28 707 0
125331 미니 홈 뒤엎기전 인증 file 룬룬 21.07.28 246 0
125330 미니 근데 언케는 갤탭 개봉기 왜 올리나 싶던데 말이죠... [27] Aimer 21.07.28 1441 14
125329 미니 (7MB)호민증+자작 배경화면 공유 [1] file 한겹 21.07.28 448 5
125328 미니 흔한 대학생의 홈인증 [8] file 띵똥 21.07.28 568 0
125327 미니 Galaxy S21 시리즈 One UI 4 베타 [4] file Railgun 21.07.28 895 3
125326 미니 디자인과 홈인증 file H_ 21.07.28 306 2
125325 미니 직장인의 호민증 [6] file 엔당이희망입니다 21.07.28 327 1
125324 미니 아싸씹덕의 호민증 [6] file Elsanna 21.07.28 406 2
125323 미니 너 아직 살아있었구나!! [8] file 오토카모 21.07.28 496 6
125322 미니 OPPO Reno 6 Pro Plus 코난 리미티드 에디션 [3] file Railgun 21.07.28 411 3
125321 미니 백수의 호민증 [6] file 슬기로운미코생활 21.07.28 559 3
125320 미니 바보같은 질문한가지. [2] 만두궁물 21.07.28 178 0
125319 미니 잉여의 홈인증 [6] file 애기미붕이 21.07.28 329 0
125318 미니 거지의 호민증 [5] file 워런티비오루 21.07.28 281 0
125317 미니 아싸 보칵생의 호민증 [11] file Kanata 21.07.28 460 3
125316 미니 갤탭 호민증 [2] file 감비아도나츠 21.07.28 386 3
125315 미니 Cpuid hwmonitor 온도 믿을만한가요? [9] 찰랑찰랑 21.07.28 277 0
125314 미니 2021년 2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통계 [6] file AlieNaTiZ 21.07.28 361 1
125313 미니 탭 S7 FE는 원래는 S7 + Lite였나 보군요 [19] 룬룬 21.07.28 767 2
125312 미니 버즈 시리즈 센터에서 배터리만 교체되는거 미궁Butterfly 21.07.28 191 0
125311 미니 갤워치3 팽은 아쉽더라구요. [10] 달무리 21.07.28 536 0
125310 미니 또다시 호민증 [3]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1.07.28 240 0
125309 미니 요즘 노바런처 어떤거요? [5] 룬룬 21.07.28 282 0
125308 미니 아이패드도 제대로 쓰려면 돈이 많이드는군요.. [19] 헤르 21.07.28 608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