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Havokrush

미니 베이퍼챔버에 대한 환상이 랩톱에서 시작된 거 같습니다.

  • Havokrush
  • 조회 수 1065
  • 2022.03.18. 10:20

랩톱에서는 히트 파이프가 (특히 울트라북 제품군에서) 부실한 경우가 많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고성능을 지향하는 제품군에서는 베이퍼챔버 넣어서 열 설계가 나아진 경우도 많았죠.

 

기억나는 사례로는 XPS 17하고 레이저 블레이드 정도네요.

 

그런데 이건 말 그대로 물리적인 크기가 있고 팬까지 있으니까 해피 엔딩인 거지, 스마트폰에서는 그게 성립이 안되죠.

 

당장 물리적인 크기만 넣고 봐도 랩톱이 열이 배출될 공간이 훨씬 여유롭고 그걸 또 팬으로 식혀주기까지 하는데 스마트폰은 안 그래도 공간도 좁아터졌는데 팬 같은 것도 없으니까요.

 

게다가 스마트폰은 손에 쥐고 쓰는 물건인데 대책도 없이 냅다 크게 박아 넣으면 히트 파이프 대비 넓은 면적에서 열 배출이 고르고 빠른 특성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죠.

 

스마트폰에서는 그냥 전성비가 좋아지는 거 외에는 답이 없...

Havokrush
💻DELL XPS 17 9710
📱Samsung Galaxy Z Fold5
⌚️Samsung Galaxy Watch6 Classic 47mm
🎧Samsung Galaxy Buds2 Pro
🖱Logitech MX Master 3 / Logitech MX Master 3S
⌨Logitech MX Keys Mini / Logitech MX Mechanical Mini
댓글
22
서린
1등 서린
2022.03.18. 10:26

AP제조사들이 최대성능도 좋지만 유지율과 전성비를 좀 신경써야 될텐데 말이죠..🤔 전기 많이 먹으면 엄청 뜨겁고 유지율도 고꾸라지고 배터리도 살살 녹고 참 거시기한데 말입니다.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서린 님께
2022.03.18. 10:28

마케팅 포인트가 최대성능인 게 크죠 ㅎㅎ

 

이쪽을 설명하는 게 더 쉽기도 하고 말이죠 ㅋㅋ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Havokrush 님께
2022.03.18. 10:34

이런 거 보면 소비자가 잘 알아야 기업들도 그쪽으로 따라가주는데.. 그렇지가 않다보니 다들 편한길로만 가려고 하네요..😇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서린 님께
2022.03.18. 10:3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quStar
best 2등 AquStar
2022.03.18. 10:30

e87bc8d0bd6a226c1d01106e48cc76e8.jpg

 

당장 스마트폰의 대형 VC 무용론을 대놓고 보여주는게 중국제 스마트폰인데, 실제 테스트 결과를 배제한 채 VC크기만 가지고 선동하는건 악질이죠, 그런데 그게 겉으로 보기에 너무 잘먹히는 프레임이라 ㄴㅁ위키를 비롯한 언론사 등도 이 VC 크기가 문제다 라는 식으로 작성하는게 솔직히 보기 좋진 않습니다.

[AquSt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quStar 님께
2022.03.18. 10:30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quStar
AquStar AquStar 님께
2022.03.18. 10:34

이렇게 말하면 또 벤치마크 등에서 안정성이 중국이 더 좋다 라는 소리가 나오던데

중국 브랜드 스마트폰들과 갤럭시의 기본 설정 자체가 달라요, 커널단에서 온도와 전력소모를 최대한 느슨하게 풀어서 사용자가 뜨겁든 말든 최고 성능을 어떻게든 유지하려 하는게 중국 브랜드들의 특징이라면 갤럭시는 커널단에서 온도를 꽤 제한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벤치마크상 성능이 떨어져보일 수 밖에 없죠

그런데 지금 S22 평가 어떻습니까? 아직 여름도 아닌데 뜨겁다는 말 나오고 있는데 중국제 처럼 커널단에서 아얘 발열제한 풀어버린다? 이건 결코 소비자가 원하는게 아닐텐데요

[AquSt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AquStar 님께
2022.03.18. 12:01

손에 쥐고 쓰는 물건에서 최대성능 뽑겠다고 쓰로틀링 널널하게 잡고 불타든 말든 상관 없다는 식의 정책이 더 문제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루옹
3등 하루옹
2022.03.18. 10:31

환상을 만들어서 관심을 끌고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 있어서 더 확산되는거죠..

[하루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하루옹 님께
2022.03.18. 12:01

그냥 이때다 싶어서 물고 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겁니다 ㅎㅎ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minus
Terminus
2022.03.18. 10:32

결국 액티브 쿨링이 들어가지 않는 한 지금의 상태에선 뭘 해도 불덩어리가 될수밖에 없죠...

[Termin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Terminus 님께
2022.03.18. 12:02

그런데 스마트폰에서는 게이밍 기어 이쪽 아니면 사실상 답이 없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affeineJuice
CaffeineJuice
2022.03.18. 11:10

요즘 드는 생각인데 벤치하고 고성능 게임을 스마트폰에서 돌리는건

경량 내장그래픽 노트북에서 고사양 게임 돌리는 수준 아닌가 싶습니다.

고사양 AP는 가끔 강한 퍼포먼스 뽑을때 필요하다고 해도

그만큼 게임을 원하면 쿨러 딸려 나오는 게이밍 폰 사는게 맞지 않을까요?

[CaffeineJui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CaffeineJuice 님께
2022.03.18. 12:04

이게 랩톱하고는 또 성질이 다른 물건이라 더 그런 거 같습니다.

 

랩톱은 성능 별로 급나누기뿐만 아니라 용도도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스마트폰은 그냥 좋은 놈이 좋다는 식이다 보니...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나가던호갱
지나가던호갱
2022.03.18. 11:15

베이퍼 챔버가 아무리 좋아도 결국 패시브라서 용량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결국 온도가 오르는데 말이쥬 

[지나가던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지나가던호갱 님께
2022.03.18. 12:06

어느 순간부터 베이퍼챔버가 만능통치약처럼 여겨지더라고요 ㅋㅋ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2.03.18. 11:46

안드AP는  그냥 이제 애플칩하고는 차원이 다르다.. 거리가 멀다 정도는 이제 인정하고 넘어가야 하지 아느까 시프요

다음 AP는 최대성능 포기하고, 에버러지로 싱글 900대, 멀티 3000대 중반만 꾸준히 나오게 만들어주면 될것같아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나르자 님께
2022.03.18. 12:07

그건 아예 경쟁을 포기하겠다는 말이니까 말이 안 될 거 같고, 쓰로틀링이든 열 설계든 적당히 잘 짜서 나오는 방법 외에는 없겠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Havokrush 님께
2022.03.18. 12:07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2022.03.18. 12:14

이게 게이밍폰들 같은거 보면 스냅드래곤865 까지는 확실히 효과가 있었던거 같은데....

888을 지나 8 gen1이 되면서 방열판으로도 불가능한 수준이 온거 아닌가싶습니다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WORKS_2018
SWORKS_2018
2022.03.18. 13:16

순간 성능을 필요로 하는 케이스가 상당부분일테니 발열이 있더라도 최신 ap를 안쓸수는 없었을거에요. 

S22U 쓴지 3주는 된거 같은데 실제로 발열로 문제 있다 느껴본적도 없고요. (원신 제외) 

 

GOS 안타협으로 삼성에 어이없긴 했지만 지금 상황은 다들 발열 전문가들인척 하고 있어 좀 황당합니다.

 

[SWORKS_201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후추
후추
2022.03.18. 13:33

그냥 시장에선 시속 120km/h 찍는 치타가 짱인것입니다

[후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58 13
핫글 미니 I'm not looking forward to the Fold6 [21] iceuniverse 24.06.07 1334 24
핫글 미니 삼성 폴더블 AS는 명불허전이네요 [11] 새벽하늘 24.06.07 1124 21
핫글 미니 24년 1분기, 유럽 갤럭시 S 시리즈 전년 대비 58% 상승 [1] file AquStar 24.06.07 424 10
56441 미니 맥스튜디오 언박싱 영상 [3] PaulBasset 22.03.18 407 0
56440 미니 탭S7 처분 완료 [4] 이라세오날 22.03.18 703 2
56439 미니 S시리즈 OneUI 4.1 배포 순서 [16] file Chrop 22.03.18 1987 5
56438 미니 오랜 시간 고민 끝에 S22U 방출 결정 [21] file ′Ultra′ 22.03.18 3103 8
56437 미니 첫 mp3 이자 현역 mp3 [7] file 북극곰플 22.03.18 505 1
56436 미니 갤럭시 A53/33 성능향상 (vs A52) [5] 좌지우건 22.03.18 1084 0
56435 미니 목빠지게 기다리던 삼닷 22+ 스블 도착했네요 [13] file wooing 22.03.18 1072 20
56434 미니 M1 Ultra 성능은 구라핑이었군요... [23] file Stellist 22.03.18 3689 24
56433 미니 갤핏3는 나와도 큰 개선 없겠죠? [5] ktky12 22.03.18 781 1
56432 미니 양쪽 에코시스템 거의 구축 완료했습니다 [20] file 후루꾸루 22.03.18 698 8
56431 미니 평택 삼성에서는 sk못쓰겠네요 [3] cr 22.03.18 943 1
56430 미니 애플 아이폰 폴드 UTG 부품 공급망 구성 확인 [6] Railgun 22.03.18 876 9
56429 미니 파일탐색기 미묘한 버벅임 원인이 뭘까요? [13] 흡혈귀왕 22.03.18 498 0
56428 미니 AMD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있다고 해서 [5] 숨겨진오징어 22.03.18 568 2
56427 미니 사파리 다크모드 리얼블랙은 불가한가요?? [4] 카밀리아 22.03.18 449 0
56426 미니 애플 m1을 비롯한 칩셋이 대단한건 사실이죠 [20] 외로운외뿔고래 22.03.18 1148 7
56425 미니 Studio Display는 iOS 15.4를 구동 중 [8] file 지나가던호갱 22.03.18 707 3
56424 미니 유니콘 https 도 앱 네트워크 차단 업데이트 됐네요 [8] file 펄럭펄럭 22.03.18 1032 5
56423 미니 남자라면 이거 하나쯤은 있어야죠 [10] file 경전철(이엿던것) 22.03.18 1050 9
56422 미니 갤북 프로 예판 사온품 한국 vs 미국 [15] file 룬룬 22.03.18 840 4
56421 미니 혐스토리몰 물량빵빵하네요. [6] file 대출받아서기변함 22.03.18 606 1
56420 미니 아이폰 파일관리 수준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35] 개구리페페 22.03.18 1278 0
56419 미니 와 성지 s22u 가격 좋네요... [17] 크나앙 22.03.18 1356 4
56418 미니 아이폰 일반 모델에 [5] 룬룬 22.03.18 557 1
56417 미니 혐스토리몰 뭔가 인간적이네요 ㅋㅋㅋㅋㅋ [3] file prodigy 22.03.18 966 3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