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Polishe

미니 북미/유럽 시장에 대해 착각하는 부분

  • Polishe
  • 조회 수 870
  • 2023.08.02. 16:40

개발도상국이 아닌 북미/유럽에 대해 착각하시는 부분이 종종 보여 적어봅니다.

 

일반적으로 사회인들은 세 분류로 나뉩니다.

1. 돈이 있고 시간이 없는 부류

2. 시간이 있고 돈이 없는 부류

3. 돈이 있고 시간도 있는 부류

 

소비의 주체가 되는 것은 대체로 1번과 3번이죠.

보통 1번의 부류에 속하는 한국사회는 돈을 시간을 보내는데 쓰는 것이 아닌 없는 시간 속에 즐길 수 있는 곳에 소비를 합니다. 사치품이나 전자기기, 먹거리, 모바일 게임 등이죠. 그렇다보니 사람들이 물건을 살때도, 선호하는 방향이 이 돈이면 조금 더 보태서 윗급이라는 쪽으로 가게 되죠. 

 

반면에 같은 선진국이라도 3번에 속하는 부류인 북미/유럽,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시간을 보내는데 소비가 더 집중이 되어있습니다. 시간이 들어가는 취미나 관광이 아닌 긴 시간이 필요한 여행같은데 소비를 합니다. 예를들어 시장이 넓어 비교하기 쉬운 하이킹, 트래킹 같은 취미라도 기능성의류의 경우에도 사치품에 가까운 가격의 브랜드들보다 중간 가격의 튼튼한 브랜드들이 더 각광을 받는 것 처럼이요. 전자기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기회비용이 100이면 한국이라면 80을 없는 시간내에서 즐길 수 있는 쪽으로 쓴다면, 이쪽은 80을 여유 시간을 보내기 위해 소비를 하는 쪽을 택합니다. 물론 둘 다 택할 수 있는 사람들은 둘 다 택하지만, 독일이나 네덜란드 제외하면 대다수의 국민이 저축이라는 개념과 둘 다라는 욕심을 부릴 수 있는 나라가 잘 없습니다. 저축이 없어도 노후가 어느정도 보장이 되니 신경을 안 쓰는 것이긴 하지만요.

또한 삶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도 있습니다. 미국은 주에 따라 굉장이 큰 차이가 있어 예로들기 힘들지만, 유럽의 경우에는 대다수의 나라가 대도시가 아닌 곳은 중세에 살고있나 싶을 정도로 전통을 고수하는 곳이 많습니다. 전기가 들어오더라도 나무를 때서 생활하고, 축사가 천년전에 지어진 그대로 사용하고, 생활수도 지하수를 찾아 펌프로 올려서 쓸 정도로요. 중간크기 도시들도 겨울에 굴뚝에서 연기 올라오는 것을 간간히 보실 수 있습니다. 종종 세계여행방송 보면 중세방식으로 치즈를 만들고, 와인을 아직도 밟아서 만들고 하는 것들이 보기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비단 시골뿐 아니라 대도시도 전통을 고수하기 때문에 구시가와 신시가가 확연하게 나뉘어 있고, 구 시가에 조금이라도 어울리지 않는 건물이 생기려하면 시민들의 반대가 빗발칩니다. 이와같이 물건을 택할때도 늘 쓰던것을 고수하게되지, 새로운 것에 새로운 기술이 들어갔다고 무조건 가져다 쓰지 않습니다. 천천히 검증되고 눈에 익은 후에야 시도해볼까말까 합니다. 특히나 금액이 어느정도 이상인 경우에는요.

 

연령별, 성별, 나라별로 더 자세히 설명하고 적을게 많은데, 생각해보니 너무 길게 적어야 할 것 같아서 귀찮음이 급격히 몰려와 나중에 기회되면 다시 적어보겠습니다. 아직 카페인을 섭취못해 중구난방 설명이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보세요. 유럽 여러나라 옮겨다니며 산지 오래되었지만 님이 맞다고 하시면 님이 맞습니다. 경험과 그로 비롯한 생각은 주관적이거나 주관이 섞일 수 밖에 없으니까요.

댓글
15
Aimer
1등 Aimer
2023.08.02. 16:44

카페인 부족은 중대사항이죠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imer 님께
2023.08.02. 16:44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Aimer 님께
2023.08.02. 16:53

카페인 수혈없이 쓰다보니 글이 산으로 갔습니다ㅎㅎ 돌아오기 너무 먼 것 같아서 질문받고 답글 적는게 나을 것 같아서 급 마무리했습니다 😅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H-1
2등 PH-1
2023.08.02. 16:47

연차를 내고 커피를 마셨습니다.

[PH-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PH-1 님께
2023.08.02. 16:4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PH-1 님께
2023.08.02. 16:51

이건.. 신품 애기신발 중고판매의 허밍웨이 시랑 견줄 수 있는 한줄이군요. 😢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카메라징징
best 3등 카메라징징
2023.08.02. 17:21

작년 독일에서 5개월을 교환학생으로 살았는데 얘네는 좋은 폰을 사는게 우리나라만큼 가치 있는 소비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애초에 글에서 말씀주신대로 이곳에 가치를 두지 않고 가격의 합리성을 제일 중시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각종 관세로 전자기기 가격이 비싼 것도 덤이죠.

중견급 규모 도시 기준인데, 조금만 높게 올라가거나, 가게 안쪽으로 깊게 들어가면 인터넷 잘 안터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평소 인터넷 속도도 플래그십을 사는 의미가 없을 정도로 느려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담이지만, 지하를 지나는 열차를 타면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없는게 당연하고 휴대폰을 만지지도 않았는데 혼자 전파 찾느라 갑자기 배터리가 1시간만에 10퍼 빠지는 경험도 몇 번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격 민감도 높고, 하이엔드 전자기기 소비에 가치를 두지 않는 이 시장에서 폴더블이 비집고 들어가기 꽤나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카메라징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카메라징징 님께
2023.08.02. 17:47

정확합니다. 적으려다가만 연령대 부분에서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은 젊은 층이 스마트폰을 들여다 볼 시간보다 다른 취미들을 위한 여유시간이 제공되다보니, 같은 기회비용이 제공되면 폰이야 상향평준화 되어있기 때문에 그 비용이면 하이엔드의 전자기기보다 다른 경험이 될 만한 것을 선택하는게 일반적입니다.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sgh97
alsgh97
2023.08.02. 17:25

아직은 니치마켓 수준인거 같습니다

[alsgh9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alsgh97 님께
2023.08.02. 17:58

폴더블 시장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그렇죠. 언젠가 바형에 비해 획기적인 차이가 있다면 급격히 사람들이 넘어오기 시작하겠죠. 그런데 아직도 스마트폰이 아닌 옛날 플립폰 탱크폰 쓰는 사람들이 종종 보이는 것 보면, 스마트폰의 등장 정도의 임팩트가 있어야 넘어갈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1/4로 지금의 바형 두께 정도로 접어서 다닐 수 있다던가 할 정도로요.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메
헤메
2023.08.02. 17:30

일단 유럽은 비싼 폰 들고다니면 누가 훔쳐서

[헤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헤메 님께
2023.08.02. 17:48

ㅎㅎ 맞습니다. 새폰사는 친구들도 케이스는 투박한거 끼우고 다니고 그럽니다. 대도시 한가운데서도 강도당하는 일도 보다보니, 결혼반지도 잘 안 끼고 다니게 되더군요.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ltanateofRum
SultanateofRum
2023.08.02. 18:09

저는 독일 기차역에 화웨이 P30 pro 광고판 붙어있던것을 봤을때 쇼크가 상당했어요. ㅎㅎ

 

보다폰에서 개통기다리면서 직원과 이야기 나눌때도 요즘 화웨이, 샤오미 제품이 주로 팔린다고 하고…그때부터 중국폰에 대한 이미지가 바뀌더라고요. 

 

중국이 공격적으로 나오고 화웨이가 밴당한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SultanateofRu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SultanateofRum 님께
2023.08.02. 18:38

갤럭시 A시리즈가 전보다 많이 보입니다. 화훼이도 여전히 많이 보이고, 샤오미도 많이 보여요 오포도 마찬가지구요. 다른 것보다 독일은 난민, 이민자들이 많아서 중저가 시장이 큽니다. 중산층도 여가를 좋은데 다녀왔다고 떠들거나 취미를 어떤걸 한다고 떠드는 걸 더 가치있다고 여기지 좋은 폰을 쥐고 있다고 크게 생각하지 않아요. 소모품이고, 본문과 같이 금액 높은 소모품보다 가격 적당히 괜찮은 기능 괜찮은 소모품을 찾죠. 그래서 종종 아이폰 명품 혹은 이미지 이야기가 게시판에 올라오면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어서 재미있습니다. 이쪽은 폰은 사치품보다 생활용품인 소모품이라는 인식이다 보니까요. 삼성과 애플이미지는, 치약같이 콜게이트냐 오랄비냐 그 정도 차이입니다. 콜게이트 쓰던사람은 콜게이트 쓸꺼고, 오랄비 쓰던 사람은 오랄비 쓸꺼고 그 정도요. 종종 바다소금 첨가 이런 치약이 다른 회사에서 나오면 써보는 정도?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3.08.02. 18:12

미국은 진짜 다양한 소비층이 있어서 좀 논외고

유럽은, 높은세금 + 기본적으로 검소하게 살 수 밖에 없는 인식구조 때문에

고착된 소비구조에서 벗어나긴 힘들긴 합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나르자 님께
2023.08.02. 18:1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28 13
핫글 미니 지금의 S펜은 폴드에겐 오히려 독인 듯 합니다. [22] file Daylight 24.06.10 1060 14
핫글 미니 갤럭시 버즈3 프로 렌더링 유출 [29] file 노다 24.06.10 1716 12
핫글 미니 오늘 애플 발표는 실망이 더 크네요. [6] new Stellist 09:42 230 9
196132 미니 워치6 카톡 알림도 오질 않네요 -_-;; [28] file 슈갤럼 23.08.14 1532 2
196131 미니 갤럭시 워치나 폰으로 음성녹음 바로 시작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1] 갤럭시S23 23.08.14 727 0
196130 미니 삼성이 악을 쓰면서까지 엑시를 쓰려는 이유가... [12] 만년휴학중 23.08.14 1670 6
196129 미니 팔트라에 들어간 GEN1이 나쁘진 않은듯... [5] 츄츄바 23.08.14 760 0
196128 미니 ONEUI6.0은 묘하게 게임성능이 오른거 같네요 trigun 23.08.14 513 2
196127 미니 업무용 노트북으로 인스피론 16 5630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4] file 그렇군요 23.08.14 457 2
196126 미니 워치6 수면 측정을 어떻게 하길래.. [27] file 슈갤럼 23.08.14 1127 3
196125 미니 테크충이면 한달에 한대씩 폰 바꾸지 않나요? [21] 코러스 23.08.14 1502 13
196124 미니 썬더볼트와 USB4 관련 질문드립니다 [3] 경전철(이엿던것) 23.08.14 395 0
196123 미니 주말의 IT 소식 230813 [10] file BarryWhite 23.08.14 1112 21
196122 미니 갤럭시워치6 44mm 밀레니즈 스트랩 결함? jinjin 23.08.14 787 0
196121 미니 루머: M3 Max GPU는 M2 Max와 큰 차이 없을 것 [4] Section31 23.08.13 925 2
196120 미니 충전환경 바꿨습니다 [6] file Angry 23.08.13 716 5
196119 미니 정가 7.7만 비건 레자 퀄리티 수듄www [16] file Aimer 23.08.13 1688 19
196118 미니 S23시리즈는 여태까지 업데이트가 3번이 끝이네요? [8] dlwlrma 23.08.13 1190 0
196117 미니 도어락 카드키 복사해보신 분 계시나요? [5] 숨겨진오징어 23.08.13 710 0
196116 미니 해상도 질문 있습니다 ???? 23.08.13 196 0
196115 미니 알리에서 재밌는 3in1 무선충전기를 파네요 [9] file 땃쥐나리 23.08.13 1058 0
196114 미니 선생님들 이런 제품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Excelsior 23.08.13 587 0
196113 미니 이 버그는 귀하군요 [1] file 오리제 23.08.13 610 2
196112 미니 노트북 사드렸슈 [10] file zenocide 23.08.13 722 11
196111 미니 워치 카톡 이 설정 다들 어떻게 되어 있나요? [9] file 만두는호빵이다. 23.08.13 1677 0
196110 미니 TSMC 미세화 공정 고전중 [4] 갠냑시 23.08.13 1841 9
196109 미니 폴드 크림색으로 살걸 후회중입니다 [11] sourire 23.08.13 1014 4
196108 미니 잡담: 만약 맥북 프로에 새로운 색상이 추가된다면...? [6] Section31 23.08.13 417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