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A17 Pro와 Adreno740 GFX벤치마크 아즈텍루인 비교

Screenshot_20230918_221232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230918_221255_GFXBench.jpg

Screenshot_20230918_221631_GFXBench.jpg

 

A17 Pro(Metal) = 165fps

Adreno740 (ES3.1+AEP)= 154fps

Adreno740(Vulkan) = 182fps

 

for Galaxy버전의

Adreno740의 OpenGL ES은 일단 제꼈네요.

물론 Vulkan에는 여전히 역부족입니다.

 

근데 Adreno750 나오면 다시 격차는

더 벌어질듯합니다.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8
1등 eg00
2023.09.18. 22:18

8gen3 요즘 벤치보면 드라마틱한 향상은 없더라고요 

 

 

사실 그럴수 밖에 없는게 8g1 에서 8g2 갈때는 공정이 삼성에서 TSMC로 바뀌어서 전성비에 극적인 변화가 있었지만 

 

 

8g3는 똑같은 4나노에서 만드는거라.. 아키텍쳐 IPC가 극적으로 오르는게 아니면 힘들죠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클라비스
best 클라비스 eg00 님께
2023.09.18. 22:21

750이 740대비 +50% 향상이라고 본 적 있어요. 최신 루머는 모르겠지만.. Adreno 성능은 매번 확실히 올라갔습니다

[클라비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g00 클라비스 님께
2023.09.18. 22:27

스냅드래곤 8gen3의 경우 지금도 테스트 벤치마크들이 나오고 있죠 50% 성능향상은 불거능합니다. 

 

스냅드래곤 8g2에서 GPU성능이 극적인 향상을 보일수 있던 이유는 아드레노 740이 730대비 ALU를 50% 올리고 클럭을 680으로 내렸기때문에 가능했죠 그 영향으로 스냅 8g2 의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고요 

 

8g2는 전작대비 ALU증가 공정개선이라는 모든 치트키를 끌어다 쓴 셈이에요, ALU가 동일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클럭을 끌어올려봤자 전력소모와 발열을 잡지 못하고 벤치딸만 되는거지 실사에서 큰 의미를 주지 못합니다. 참고로 아드레노 750이 전작과  똑같은 ALU를 가진다는건 이미 확정임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best 흡혈귀왕 eg00 님께
2023.09.18. 22:23

당장 for Galaxy Adreno740의 719MHz 대비

for Galaxy Adreno750이 1GHz 클럭으로

무려 39%나 올랐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eg00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2:30

공정 개선없이 똑같은 ALU라는가정하에 인위적 오버클럭만으로 끌어올린 성능은 발열과 전력소모를 제어하지 못해 실사용에 큰 영향이 없다는것은 더 잘 아실겁니다.

 

이미 퀄컴은 스냅 8g2 이전에 무리한 클럭 조정으로 '화룡' 이라는 오명을 얻었음에도 똑같은 전철을 밟을생각인지 걱정되는 대목이네요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eg00 님께
2023.09.18. 22:33

왜 아키텍쳐 최적화로 전성비 개선은 고려하지 않는거죠?

 

당장 RDNA1 -> RDNA2만해도 같은 공정에

같은 IPC임에도 전성비 엄청 개선되었습니다.

 

그걸 떠나서 어차피 이 수치대로라면

A17 Pro보다 Adreno750 깡성능이 더 높은건 사실이라 의미없지만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g00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2:39

아키텍쳐 최적화로 물론 전성비를 높일수도 있죠 

 

하지만 아드레노의 역대 사례를 봤을때 아키텍쳐 개선으로 인한 전성비나 성능향상은 865이후 점차 둔화되는 추세고 공정의 개선이나 ALU의 증가로 인한 전성비의 개선사례를 보여주었음으로 추정을 그렇게 할수밖에 없습니다. 

 

ARM도 마찬가지고 아드레노도 비슷한 실정인데, 점점 아키텍쳐 자체만으로 전성비를 개선하는데 한계점에 부딛힌게 보이더라고요 사실 퀄컴입장에서 엄청난 단가상승이라는 페널티를 가지고도 ALU를 늘린 이유도 아주 간단합니다, 아키텍쳐 개선만으로 전성비를 높이는데에는 더이상 한계점에 다다르니 그런 선택을 한거겠죠, 그게 아니면 생산단가를 높이는 짓을 할 이유가 없죠 

 

만약 퀄컴이 공정, ALU의 개선없이 아드레노 750이 1ghz 클럭으로 나온다면 상당한 수준의 발열과 전력소모가 생길것 이라는것은 불보듯 뻔함 상황입니나. 퀄컴은 전과가 너무 많죠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eg00 님께
2023.09.18. 22:43

퀄콤 전과라고 해봤자 무리하게 클럭 올린건

스냅드래곤845 사례 밖에 없는데요??

 

전성비가 박살난건 삼성파운드리

5LPE, 4LPX 쓴 시절밖에 없는데 전과가 화려하다는게

대체 무슨 전과를 말씀하시는거죠??

 

당장 아드레노750 조차

리테일은 아드레노830이 될거다란 루머도 있는 마당에

그럼 아키텍쳐 개선이 있다고 보는게 타당하겠지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eg00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2:45

스냅 810시절 발열제어 못해서 코어 2개씩 줄여서 나가고 (이건 근본적으로 A57의 문제도 컷지만 엑시는 훨씬처리잘했음)

 

스냅 820도 적지않은 발열에 메인보드 사망 사고가 심심치 않게 일어났죠

 

이후 845 855 865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삼파로 간 888, 8g1 때 다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근데 이것도 공정문제도 분명 있지만, 퀄컴이 스윗스팟을 잘못조정한것도 커요 

 

당시 GOS 논란당시 S21,22 유저들이 루팅해서 다운클러과 언더볼팅을 진행했을때 보면

약간의 스팟 조정만으로도 꽤 준수한 전성비 개선을 불러왔죠 그정도 세팅으로 10~15% 정도 클럭 낮추고 전압내려서 나갔다면 화룡소리 들을일은 없었을겁니다.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best 흡혈귀왕 eg00 님께
2023.09.18. 22:54

현실은 3DMark, GFX벤치마크 전성비 비교에서 조차

유의미하게 A16보다 높게 나온게 Adreno 740입니다.

 

A17 Pro는 나쁘게 말하면

깡성능 기준 이제서야 Adreno 740이랑 비슷한

수준으로 온거구요.

 

뻔히 경쟁사 더 좋게 나올게 보이는 마당에

전성비가 어떻고 말하는건 똥파리에게 살해당할

드래곤 걱정하는격이고 아쉬운 사람이나 그런 이야기할겁니다.

 

 

피크 성능이 높으면 어차피 그만큼

스테이블 성능도 높기 때문에 상쇄됩니다.

 

스냅드래곤888이 그욕먹더라도 제가

아드레노650 대비 아드레노660이 더 좋다고 이야기한것이

스테이블 성능이 아드레노650 피크 성능급이거나 더 높습니다.

피크 성능이 오르면 그만큼 이점이 있습니다.

 

애초에 퀄콤이 아키텍쳐 개선없이

클럭 올렸을 가능성 자체가 말도안되고 소도안되지요

 

그러면 애초에 GPU이름을 아드레노740 재탕하거나

아드레노745로 지었을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g00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2:52

사실 근본적으로 퀄컴은 발열 조절을 잘한사례보다 잘 못한 사례가 좀더 많습니다. ㅋㅋㅋ

 

이게 어떻게 보면 스윗스팟 설정을 잘못했다고 볼수도 있고, 어떻게 보면 설계역량이 좀 부족하다 라고 볼수도 있는데 

 

모바일 시장이라는게 아무래도 풀로드 성능보다는 전력대비 성능이 좀 더 중요한 시장이다 보니 이런 미스가 나왔을때 

 

소비자들이 느끼는 디메리트가 꽤 크죠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best 흡혈귀왕 eg00 님께
2023.09.18. 22:55

Adreno740이 A16보다 하위 N4 공정 쓰고도

모든 전성비가 더 높게 나온 시점에서 전혀 공감할수없는 말이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eg00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3:04

결과는 실사가 나오지 않는 이상 모르는 일이죠! 전부다 추측으로 밖에 이야기 할수 없으니까요 

 

다만 저는 배터리가 사용되는 모바일디바이스에선 특히 풀로드 성능이 크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중~저부하 에서 어느정도 발열과 전력소모를 가지고 좋은 유지력을 뽑아내느냐를 핵심으로 생각합니다.

 

가장 최근의 예시로 보면 7gen2 가 있겠죠? 8+gen1 보다 GPU클럭은 반토막 났지만, 덕분에 유지력, 발열, 소비전력에서 압도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준것처럼 말이죠 저는 이런 측면에서 7g2 가 8+g1 보다 다은그레이드라고 버지 않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퀄컴이 그동안 보여준 '전성비' 와 '유지력' 측면에서 상당히 아쉬운 모습을 보인건 사실이고 이번 8g2에서 GPU ALU를 1.5배 늘리고 클럭을 줄이는 엄청난 결단을하고 나서 대폭 개선된건 사실이나, 최근 ARM 과 모바일 아키텍쳐 프로세서들의 개선동향을 살펴볼땐 공정개선 없이, 1536ALU에 1ghz 클럭은 아키텍쳐 개선만으로는 감당할수 없을만한 발열이 나올확룰이 더 높아보이는게 사실이네요 어차피 두세달뒤면 시제품 나오니 여기서 입씨름할이유도 없겠죠? 

 

[eg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등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023.09.18. 22:32

8G2 GPU가 잘나오긴 했나보네요

그래도 얼추 비비는게 대단해 보입미더

[고민은배송을늦출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best 흡혈귀왕 고민은배송을늦출뿐 님께
2023.09.18. 22:34

다들 인지못하는데

Adrbeo740이 A16 GPU 꽤 유의미한 차이로

3DMark랑 GFX벤치마크, 베이스드마크 모두 제쳤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3등 Antares
2023.09.18. 22:33

3나노에 아키텍처 대공사 홍보한거 치곤 수치가 시원찮다 했는데
최근 나오는 수치는 훨씬 좋네요 전성비 벤치 나오면 좋겠습니다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Antares 님께
2023.09.18. 22:37

내년에 Adreno750이 뙇 하니 준비중인지라

격차가 얼마나 더 벌어질지 기대중입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요그
2023.09.18. 22:36

불칸만 많이 보급되어도 지금보다 훨씬 좋을텐데... 어떻게 누가 총대 메고 나서주면 좋겠어요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요그 님께
2023.09.18. 22:38

사실 OpenGL ES3.1+AEP 기준에서도 그리 큰 차이 없는것만해도 Adreno740의 깡성능이 어마어마한거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요그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2:43

ios가 개선될 가능성보단 스냅드래곤이 잘되는걸 바라는게 더 가능성이 있겠네요. 아예 스냅으로 대동단결해서 게임사들이 최적화도  아드레노로 통일한다면...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요그 님께
2023.09.18. 23:07

불칸.. 도입된지 1~2년도 아니고

신기루 쫒자는 것도 아니고, 이쯤되면 그냥 좀 버렸으면 싶......

성능만 좋으면 뭐하는지; 여전히 제대로 써먹는 곳이 미미한걸..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르자 님께
2023.09.18. 23:11

구글이 사실 작정하고 Vulkan1.0 세대 버리고

레거시 쳐내면 가능합니다.

64비트 강제하듯이요.

 

근데 Adreno740의 경우 OpenGL ES성능 자체도

워낙 뛰어나서 큰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흡혈귀왕 님께
2023.09.18. 23:16

하지만 강제를 못하니까 말이죠

그러니 걍 저는 불칸은 없는 샘 치렵니다 흐흑..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나르자 님께
2023.09.18. 23:16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Kerubim 님께
2023.09.18. 22:59

G2가 2400랑 G3를 요?ㄷㄷㄷㄷ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Kerubim 님께
2023.09.18. 23:04

아아 ㅋㅋ 제가 오해했네용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8 13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16] file Fluent 24.06.03 1193 17
핫글 미니 블랙베리로 기변했읍니다.. [4] file Pepsi베어 24.06.03 534 7
핫글 미니 (S24+) 아머 알루미늄 2 엄청 강하네요 [12] file U.K.O.P 24.06.03 1178 7
199319 미니 울트라 S펜 관련해서 소신발언 하나 해봅니다 [11] file 클라비스 23.09.30 929 10
199318 미니 저도 OneUI 6.0 베타 올려봤습니다 (S21U) file Hahn 23.09.30 394 3
199317 미니 S23U 스피커 위치 정말 별로네요 [4] 하나림 23.09.30 1102 2
199316 미니 다른 건 몰라도 램 12는 필요합니다. [5] 카메라징징 23.09.30 1072 9
199315 미니 내년 S24 시리즈 하위라인 숨통좀 트이긴할거같네요. [25] 흡혈귀왕 23.09.30 1960 12
199314 미니 갤럭시핏3나오면 삽니다 [4] flair 23.09.29 876 6
199313 미니 아깐 보름달이 참 컸었는데.... [1] file GLaD 23.09.29 513 6
199312 미니 넷플릭스 너무 어두운데 해결 방법이 없나요? [2] 찌그렁오리 23.09.29 560 1
199311 미니 달사진 찍어봤습니다 [1] file 갠냑시 23.09.29 356 3
199310 미니 샤오미국내정발모델V모토로라 국내정발 모델 [4] S24울트라존버 23.09.29 605 0
199309 미니 추석당일 부산 모습 23u [10] file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3.09.29 736 5
199308 미니 라이카를 라이카라 부르지 못하는 일본판 샤오미 [2] file AquStar 23.09.29 997 5
199307 미니 노트북 디스플레이 스펙에 요즘 함정이 꼈군요 file PaulBasset 23.09.29 501 1
199306 미니 s23u 베타5차 선생님들 카메라 줌 전환 어떠신가요? [1] 펄럭펄럭 23.09.29 387 0
199305 미니 신한카드는 연휴에 무슨일이 발생한건지... [6] file 스퀴니 23.09.29 897 3
199304 미니 s23울트라 한가위 달(feat. gcam) [1] file 씨샾 23.09.29 463 4
199303 미니 wildlife extreme stress test 14프로랑 15프로 쓰로틀링 걸리면 최저가 너무 낮네요. file E9 23.09.29 372 0
199302 미니 S21 현재 중고로 사기 괜찮은가요? [14] AVCD 23.09.29 1905 2
199301 미니 Onleaks S24 Ultra 렌더링 [21] file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3.09.29 1619 9
199300 미니 저도 삼디막 동참합니다(선풍기) file 유니콘 23.09.29 233 1
199299 미니 유지율77퍼 22u 인증 [1] file 갠냑시 23.09.29 519 2
199298 미니 s23 울트라 one UI6.0 베타 첫인상 다좋은라면 23.09.29 442 1
199297 미니 13프로 Solar Bay file 워런티비오루 23.09.29 427 1
199296 미니 이악물고 플립4로 찍어본 달 [3] file LG산흑우 23.09.29 482 8
199295 미니 이정도면 IT 유튜버들 아이폰 들고 집합 시켜야 하는거 아닐까요 [2] KIKIRAKA 23.09.29 1243 3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