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잇흥

탈원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잇흥
  • 조회 수 678
  • 2022.05.15. 13:08

규칙 2조를 철저히  준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잇흥
-PC-
5600X . RTX 3080. 1TB Nvme. 27gl850

-Mobile-
Apple MacBook Pro 14
Apple IPhone Pro 15
Apple Watch 8

-Sound-
Bang Olufsen A8
Bang Olufsen H95
Aune X1s Pro

-Car-
Renault Samsung Qm6

-Job-
English director
댓글
17
불심
best 1등 불심
2022.05.15. 13:09

짧게 요약해서, 장기적으로 지향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근시일안엔 불가능할거라 보고요.

핵융합이 정말 될지 안될진 모르겠지만 성공하면 현실화 되는거죠.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태리밤고구마
2등 이태리밤고구마
2022.05.15. 13:09

언젠가는 가야겠지만 지금은 너무 성급하고 이르다는 생각입니다

[이태리밤고구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nt323
3등 Ent323
2022.05.15. 13:11

EU 택소노미같은 무역장벽 생각하면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준비해야죠.

[Ent32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cing
Rcing
2022.05.15. 13:25

핵융합 가즈아ㅏㅡ

[Rc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엑시드래곤
엑시드래곤
2022.05.15. 13:26

추구해야 할 방향은 맞으나 대안이 마땅찮은 지금은 이릅니다

[엑시드래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indows98
Windows98
2022.05.15. 13:27

탈원전보다 고준위 방폐장부터 어케 좀...

[Windows9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2022.05.15. 13:30

한국에서는 핵융합 전에는 힘들 거라고 봅니다. 재생에너지에 불리한 기후, 지형조건이라...

 

아니면 다시 화석연료 발전으로 돌아가던가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rapin
Terrapin
2022.05.15. 13:33

장기적으로 (=핵융합 발전이 상용화된 이후에) 지향해야 하는 과제이나 당장은 아닌..

 

그나저나 이거 또 불타진 않을지 걱정이 크네요.

[Terrapi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그렇군요
2022.05.15. 13:35

코딱지만한 나라에서 원전보다 더 효율적인 에너지원이 있나요...?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경전철(이엿던것)
경전철(이엿던것)
2022.05.15. 13:39

핵융합 나오기 전까지는 원전을 주력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경전철(이엿던것)]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컵누들프로
컵누들프로
2022.05.15. 13:39

한국에선 꿈만같은 소리라고 생각해요..

[컵누들프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긴닉네임25408823
best 긴닉네임25408823
2022.05.15. 13:40

답은 프로토스 입니다

테란이 뭘하든 젤나가 장손 못이기죠

 

반박시 카카루

[긴닉네임2540882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yanpen
Cyanpen 긴닉네임25408823 님께
2022.05.15. 13:58

마컨행

[Cyanp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ngdang
Pongdang
2022.05.15. 13:42

아크원자로를 빨리 개발해야....

[Pongda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best intake
2022.05.16. 11:14

당장은 무리인데 최대한 빨리 진행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봅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글로벌 대기업들이 RE100을 요구한다

-> 기업들간의 캠페인인데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만 사용할 것을 요구합니다

몇년 전 BMW가 LG화학에 이걸 요구해서 LG화학의 납품이 무산된 사례가 있습니다

 

발전단가가 계속해서 비싸진다

-> 원전은 날이 갈수록 안전기준이 강화돼서 건설비가 비싸지고 핵폐기물도 보관해야 합니다

고준위 방폐장은 경주의 중저준위 방폐장 지원사업을 보면 사실상 가져가려 하는 지자체가 없을 겁니다

반면 재생에너지는 규모의 경제가 적용돼서 발전단가가 빠르게 내려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늦어도 10년 뒤면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전보다 저렴해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건설기간이 너무 길다

-> 1GW 원전 하나 짓는데 5~6년 걸립니다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대형 원전을 늘리는 건 기회비용이 너무 큽니다

 

분산전원으로의 전환

-> 대용량 발전기 하나가 고장났을 때 전력망에 끼치는 악영향이 매우 큽니다

그래서 수요지 부근에 자잘한 발전기를 여러대 세우는 분산전원 시스템이 나왔습니다

문제는 원전은 발전용량이 작아질수록 발전단가도 비싸집니다

웨스팅하우스의 3세대 원전인 AP1000은 최초엔 600MW였지만 1000MW로 설계를 변경했고 뉴스케일의 SMR도 최초엔 35MW였다가 77MW까지 용량이 커졌습니다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미국의 경우는 원전에 보조금을 주지 않으면 시장에서 정상적으로 경쟁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발전기 출력 조절이 매우 느리다

-> 전력망 상황에 맞춰 출력을 변동하는 기술인데 원전은 출력 변동이 매우 느립니다

기존 전력망은 기저-중간-첨두 로 발전기를 분류해서 운영했지만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면 새로운 운영방식이 필요한데 그 때 중요한 요소가 유연성입니다

그래서 원전이 제 역할을 못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향상을 방해한다

-> 이것도 출력 조절에서 나온 문제인데 새벽시간대에 전기를 원가에 퍼주는 이유가 원전 때문입니다

근데 원가에 퍼주면 기업들이 에너지 효율을 안 올리려고 해요

에너지 효율 향상시켜 전기료 절감되는 것보다 향상시키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더 크거든요

그래서 장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의 탈탄소화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냉각수 문제

-> 진짜 더울 때 냉각수 온도 문제로 인해 원전의 출력을 낮추거나 정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원전은 해수를 냉각수로 쓰는데 현재 바다의 온도도 많이 올랐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856399.html

실제로 몇년 전 유럽 원전들이 출력을 낮추거나 정지시킨 사례가 있습니다

 

 

당장 생각나는 건 이 정도네요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best Hahn
2022.05.15. 14:46

우리나라 전력 소모량의 2/3 정도가 상공업용이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다른 선진국 대비 현저히 낮은 14% 정도라도 합니다.

 

  출처: https://m.yna.co.kr/view/AKR20210720149300502

 

우리나라는 아직 제조업 중심국가라는 거죠. 거기에 현재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과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기후를 고려하면 가까운 미래에는 불가능할거라고 저는 봅니다.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고, 지금 상태에서 탈원전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거는건 매우 위험하고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무역국가로서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을순 없으니 힘들지만 눈치보고 시간 끌면서 대안을 마련해 가야만 합니다.

- 신재생에너지의 의의에 맞게 최대한 자연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는, 국내 여건에 맞는 전력 생산방식 밎 조합에 대한 연구

- Passive 에너지 절감 방안의 적극적 법제화 (건축물 단열성 향상 같은, 지금도 기술적으로 더 잘할수 있는데 싸게 지으려고 안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 제조업 생산시설 글로벌화 (탈제조업&금융중심으로 전환 같은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제조업을 계속 끌고 가더라도 애플처럼 설계만 국내에 두고, 생산기지들을 현지 혹은 제3국 위주로 점진적 전환해가는게 필요할것 같습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1225
핫글 르노 메갈사태에 제가 홀가분한 이유 [6] file 갤럭시S2 00:43 14 665
핫글 정지가 풀렸군요 [1] Qkooqq 11:50 6 125
핫글 장마 시작전 마지막 토요일햇살 3선 📷 [4] updatefile 개구리 01:12 6 100
116793 (ㅇㅎ)이 일러레는 초심 확실하군요. [5] file Aimer 21.03.25 2 680
116792 중국에 진출못한 넷플릭스 근황 [5] file 팝카드있으세요 21.03.21 14 680
116791 근데 초아도 지민만 언팔인거보면 [6] 난거북넌토끼 20.07.03 0 680
116790 맥북은 유난히 미개봉이 많네요 [6] 팝카드있으세요 19.11.03 0 680
116789 끝없는 추락, 2022년 출산율 0.7대 예상 [14] file PatGelsinger 22.08.12 6 679
116788 저 꿈이 생겼어요. [11] file 컵누들프로 22.06.01 4 679
116787 🐕 10아싸특) [7] file 이태리밤고구마 22.06.01 5 679
116786 하루 물 권장량이. [8]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2.05.30 2 679
116785 날씨 죽이네요 [1] file Angry 22.05.29 6 679
116784 esim 복불복 통과했네요.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2.05.12 1 679
116783 귀가 또 안들리는군요 [10] 아이폰13프로 22.05.09 4 679
116782 끔찍한 아프간 근황... (잔혹혐주의) [23] file LG산흑우 21.08.16 2 679
116781 스벅 싱잉 랜턴, 절대 사지마세요 [22] file 오토카모 21.05.11 11 679
116780 심심해서 아자르 하는데 [4] 스테인 19.04.07 0 679
116779 화제의 마운틴듀 제로 후기... [7] file Aimer 24.05.07 2 678
116778 미코에서 가장 인기있는 음료를 마셨습니다 [13] file 쿼드쿼드 24.04.16 16 678
116777 (부고) 故 삼성 라이온즈 본인상 [12] file Aimer 24.03.28 16 678
116776 애플 칩 성능이 저리 좋은 걸 보면 [25] 익명 23.03.14 3 678
116775 두바이 빌딩이라는데 원리를 아시는 분 있나요? [4] file 고기마스터 22.12.21 2 678
116774 우효~~ 무방비 자게 겟-또다제♡ [48] file 오토카모 22.10.27 24 678
116773 무한도전 짤의 무서운 점 [3] file 민초홀릭 22.08.30 13 678
116772 오랜만에 제 차 인증갑니다 [17] file sweat 22.08.26 11 678
116771 뽑으면 안되지만 성취감이 장난아닌. [1]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2.05.27 1 678
116770 병이 나았습니다. [2] file 윤이 22.05.20 3 678
116769 테슬라 = 싯가 [3] 잇흥 22.05.16 0 67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