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Imfinzi

미니 코딱지만한 센서에 고화소 정책을 쓰는것에 거부감이 있는 이유는

  • Imfinzi
  • 조회 수 706
  • 2022.08.22. 12:02

FF바디 신제품도 대체로 4000 - 6000만 화소로 나오고 있고 

 

프레스용이나 고감도용 바디는 2000만 화소대로 용도에 따라 저화소 고감도 바디를 만들어 내고 있는데

 

1인치도 안되는 센서에 10800만 화소를 달아서 좋은게 좋은거다라는 마인드로 장사를 하면

 

그게 진짜 좋은거면 FF는 한 20만화소로 만들어도 널널할거 같고 이미 50만화소를 넘어서 경쟁을 하고 있어야 하는데... 

 

안하는 이유는 

 

카메라에 익숙한 아마추어나 프로 사진가들이 등가 교환의 법칙..(?)을 어느정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픽셀피치가 작아지는 만큼 손해를 보는 부분이 있고 

 

또 리사이즈 위주의 웹 게시용 사진이라면 니콘 D700의 1200만 화소와 D850 4575만 화소의 사진을 구분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입니다. 

 

디지털카메라라는 기기에 익숙한 DSLR / 미러리스 애호가들에게 화소 뻥튀기를 하지 않으면서 

 

폰카에만 뻥튀기를 해대는 이유는 

 

마케팅의 요소가 매우 크다고 생각하는데 

 

나쁘게 말하면 그냥 일반인 상대로 화소가 10배니까 10배 좋겠지? 라는 느낌을 줘서 등쳐먹는 느낌입니다. 

 

그리고 고화소 센서의 결과물의 차이가 크지 않은데 가격상승과 마진확대의 빌미로 이용하기 때문이죠.

 

고화소 센서를 개발하는데 투입된 기술을 통해 폰카가 매우 빠르게 발전한다면 기술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좋게 보겠는데..

 

고화소로 화소가 뻥튀기 되는만큼 이미지 품질이 좋아지냐하면 화소에 비례해서 좋아지지가 않고 화소 늘어나는 속도에 비해 고감도는 말할 필요도 없고

 

저감도 주광화질이 1200만 화소 쓸떄랑 6400만이 기본장착인 지금이랑 현격하게 좋아졌냐고 하면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음식으로 따지면 이제 사발면을 개발하는데 건강에 좋게 덜 튀기거나 단백질 함량을 높이거나 염분을 줄이거나 이런데 R&D가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매운맛 경쟁에 들어가서 얼마나 혀가 아프고 얼얼한가에 목숨걸고 개발하는 모양새 같습니다.

 

카메라 경쟁을 아예 하지말라는게 아니고

 

연구개발과 투자가 좀 실사용이나 지구환경에 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쪽으로 밸런스있게 투자되었으면 좋겠고

 

화소 경쟁도 적당히 했으면 좋겠네요

댓글
16
하늘목장
2등 하늘목장
2022.08.22. 12:12

저감도 주광화질이 1200만 화소 쓸떄랑 6400만이 기본장착인 지금이랑 현격하게 좋아졌냐고 하면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일단 ISP + AI 의 발전이 매우 드라마틱해졌죠 

Computational Photography.... 내가 찍은 후처리 된 사진이.. 실제인지는 일단 차지하고서라도  

 

물리적 판형이 깡패는 맞습니다.

 

근데 또 주광화질 1200시절을 저 멀리 2015년 갤럭시 S5 시절로 잡는다면

그때랑 지금은 현격한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센서크기의 증대도 있지만 ISP의 급격한 발전이 있었죠.

 

적어도 현세대 플래그십은 2014-5년의 미러리스는 충분히 비빈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28mm 화각 정도에서)

 

이제 고화질...뻥튀기가 좀 핫하긴한데

저는 그래도 고화질이 나은거 같아요... 아직은 칩셋성능이 충분하지 않지만

그래도 요즘 기가픽셀 AI 같이 업스케일링이 발전하는 시대에서는

 

고화소+고ISP 성능으로 (물론 아직은 말씀하신거 처럼 부족하긴 합니다)

 또 미러리스를 따라잡지 않을가 싶고

 

또 비디오 촬영에서도 보면 아무리 뻥화소 라지만 그래도 64MP센서의 8K가 12MP 4K보단 선명한건 사실이라서요

 

8K 를 위해서라도 슬슬 메인광각은 다들 50mp로 갈 것 같습니다.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하늘목장 님께
2022.08.22. 13:07

미러리스를 비빈다는게 확대하지 않고 폰 화면에서 볼때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그 정도면 아주 조금 이해가 가는데 크롭 조금만 해보거나 라이트룸 조절바 조금만 당겨도

차이가 너무 심하던데요 구형 FF랑 비교해도요.

픽셀피핑을 하지 않아도 이미지 퀄리티 차이, 물리적 원근감 표현자유도, 물리적 심도표현 등 너무 큰 차이가 납니다

렌즈 스펙, 센서사이즈 등 광학계에서 오는 차이가 특히나 크고 피사체가 복잡한 형태일수록 더 심해요

그리고 광량이 부족해지면 비빈다는 소리가 우스울정도로 차이가 심하고요

(사실 광량 충분해도 차이 심한건 같습니다)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목장
하늘목장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12:32

광량 부족하면... 거기서부터는 렌즈+센서크기의 영역인데 

 

어디까지나 주광에서의 영역이고

 

제가 말한 미러리스는 APSC 보급형 소니 알파 5000 정도 말한건데

 

하이엔드~미러리스보급기 정도 를 의미했는데 의미전달이 잘 못 된 듯 합니다

 

미러리스 풀프레임같은건 당연히 못비비죠....

 

렌즈의 한계가 후처리로 극복될지는 궁금하네요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하늘목장 님께
2022.08.22. 12:40

풀프레임까지 안가고 좋은 똑딱이나 크롭바디만 갖고와도 사실 차이는 심해요.. 폰카가 편의성이 좋고 그냥 적당히 어디 올리거나 공유할만한 성능이 됐으니까 똑딱이시장 초토화시킨것은 완전히 동의하지만 갈길은 아직 많이 남았다고봐요.

 

기성 카메라랑 비교하면 여전히 천지차이입니다

구형 카메라 가져와도 비교불가에요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목장
하늘목장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12:55

선생님 말슴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제가 비빈다는게... 으음 이게 막 미러리스랑 똑같이 나온다는 급은 아니였고

요즘 48Cx로 이전에 찍었던 사진 들 보는데

 

이전에 찍었던 Rx100 mk1 이랑 요즘 찍고 다니는 S22U나 큰 차이 없는거 같더라구요

근데 이 큰차이 없다가 사람마다 포인트가 다르니까.....다들 말이 많아지는 기분입니다

 

선생님 말씀하신거 처럼 광학계 자체에서 가져 오는 심도표현이나 빛망울등은 넘사벽으로 못따라갑니다

+ 세부 디테일도 아무래도 센서 크기차이가 있으니까요

 

근데 뭐랄까...아쉬운부분도 있지만 더 뛰어난 부분(ISP빨 HDR 후처리겠지만...) 도 있으니까

 

제 기준에 이정도면 대충 비비네 정도 느낌이 들어서 그정도 코멘트를 남겼습니다.

Rx100이라 쓸 걸 대충 그냥 (보급형) 미러리스라고 썼다가 좀 의미전달에 차이가 생긴 것 같습니다

 

근데 엊그제 A7 II 로 패닝샷 찍어봤는데...ㅎㅎ.... 

역시 사진은 미러리스가 좋긴해여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하늘목장 님께
2022.08.22. 13:09

폰카 오토모드 HDR이 사기긴 합니다 ㅋㅋ 노출차 심할때 하늘 살리는거 수동으로 할려면 

여간 귀찮은게 아니니까요 암튼 선생님 의견 감사합니다 :)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mfinzi
글쓴이
Imfinzi 하늘목장 님께
2022.08.22. 12:25

ISP 성능 발달은 저도 인정하는데

 

2014-2015 플래그쉽 바디들은 니콘 D810이나 캐논 5DsR인데요 

 

제 생각에는 RAW를 통한 리터치를 염두에 둔다면 그 보정폭의 차이는 엄청날거 같습니다. 

 

그리고 ISO 400 정도만 되도 더이상 논쟁이 무의미한 차이가 날거 같습니다. 

[Imfinz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목장
하늘목장 Imfinzi 님께
2022.08.22. 12:35

그... 제가 용어 선택을 잘못햇습니다 저는 알파5000 같은거 생각하고 쓴건데

하이엔드~미러리스 보급기로 썼어야했는데 말이에요 ㅠㅠ

 

5DSr은 반칙아닌가요 ㅠㅠ 플래그십 미러리스를 의미한게 절대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그냥 미러리스로 쓴건데... 의미전달이 잘못됐네요)

 

안드 12부터인가요 공식적으로 Raw 지원해서 그나마 이만큼 나아지긴했는데

리터치 하기엔 아직 아쉬운 성능이 맞죠

 

맞아요 ISO400 쯤만 되도 그런논쟁 줄 것 같습니다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하늘목장 님께
2022.08.22. 12:35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Ultra′
3등 ′Ultra′
2022.08.22. 12:45

S20 S21의 64MP는 그래도 우수한 해상력 좋은 색감(?) 크롭줌 활용(잘만 활용하면 가변망원 나오기 전까지 망원대체용으로 훌륭) 등으로 쓸만했다고 생각하는데

메인 비닝 고화소는 정말 별로입니다

1. 고화소 화질이 좋은가? : 한정적으로 좋기는 하됴. 하지만 S22U는 좀 나아졌지만 초창기 울트라는 영 아니었고 S22는 다들 알다시피 망이죠

2. 크롭줌 활용이 가능한가 : 불가. 그나마 크롭줌 활용이 폰카에서 고화소의 존재의의라고 생각하는데 비닝 자동전환도 문제이고 애초에 비닝센서 해상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여튼 불가하죠

3. 12MP에서 순수12MP보다 화질이 좋은가? : 이론상 순수12MP 센서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죠

 

저도 그냥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어거지로 만들어서 팔아먹는거라 생각합니다...-_- 고화소를 달아서 기존 12MP 구성 대비해서 장점보다 단점이 많이 생기는 듯 합니다. 

[′Ult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mfinzi
글쓴이
Imfinzi ′Ultra′ 님께
2022.08.22. 12:27

제가 그래서 네이티브 1200만 화소랑 엎치락 뒤치락하는걸 만들어내는데 공돌이와 돈이 몇년째 갈려나간다는 사실이 답답한겁니다. 

[Imfinz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Imfinzi 님께
2022.08.22. 12:2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Ultra′
′Ultra′ Imfinzi 님께
2022.08.22. 12:36

저는 하다못해 크롭줌이라도 활용 가능하면 환영할것 같습니다

이론적으로는 (광량이 충분해야 허겠지만) 화질손실 거의 없이 화각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꽤 메리트라고 보거든요

근데 지금 고화소는 정말 긱 한테야 흥미롭지 가볍게 찍기 좋아하는 대다수의 경우에는 정말 의미 없어요..

[′Ult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올라온다진짜
올라온다진짜
2022.08.22. 12:36

이게 핸폰은 나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핀치 투 줌으로 여기저기 확대해 보기도 하니까 고화소 체감이 어느 정도는 올 수 있다고 보긴 하는데 2억화소 뇌절 이런거 보면 한숨이 좀 나오는게 사실이긴 하죠 ㅎㅎ 8k도 한동안은 극소수 빼고는 아무도 쓰지도 않는 기능이고.. 4k 라이브 스트리밍도 별로 기약이 없는걸요

2억화소보다는 야간이나 어두운 실내 스냅 성능, 8k보다는 액션캠급 손떨방 성능이 훨씬 일상에 유용하지 않을까 싶은..

[올라온다진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씨샾
씨샾 올라온다진짜 님께
2022.08.22. 12:52

2억화소 픽셀비닝을 해야 픽셀피치가 늘어나 수광량이 확보되어 1억화소보다 밝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씨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mfinzi
글쓴이
Imfinzi 씨샾 님께
2022.08.22. 12:57

그러면 쓰신글에 따르면 어쩄든 센서가 대충 2억화소 될정도로 커진다는거죠? 픽셀피치 한계는 아직 삼성 소니 둘다 못뚫고 있으니.. 

[Imfinz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씨샾
씨샾 Imfinzi 님께
2022.08.22. 13:15

이론상 그렇게 되야 하는게 맞는데 이번에 나온 hp3는 hm3보다 센서크기 자체가 줄어버렸네요

같은 크기센서로 나오면 hm3보다 수광량이 더 늘어나는게 맞습니다.

[씨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7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18] update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482 12
핫글 미니 토요일 미친날씨의 폰카 7선 📷 [6] file 개구리 01:55 438 11
핫글 미니 노트7으로 회귀 [5] updatefile 빅코 07:55 775 10
미니 코딱지만한 센서에 고화소 정책을 쓰는것에 거부감이 있는 이유는 [16] Imfinzi 22.08.22 706 9
169586 미니 폴드4 그냥 블랙이 제일... [6] 어리아리 22.08.22 537 2
169585 미니 삼성 요즘에도 푸쉬 광고를 하는군요? [5] file 이라세오날 22.08.22 546 0
169584 미니 안드13베타(VH4) ☞ 안드12최신(VH2) 다운그레이드 후기 [3] aleji 22.08.22 465 1
169583 미니 쿠팡 뭐해!!!!!!!!! [10] file 후루꾸루 22.08.22 676 5
169582 미니 수령했슈 [2] file sourire 22.08.22 328 11
169581 미니 앙 2/3 수령 [9] file 오토카모 22.08.22 421 11
169580 미니 일렉 폴드 수령해왔습니다 [9] file 펀치 22.08.22 478 8
169579 미니 근본컬러 샀읍니다. [7] file Terminus 22.08.22 573 13
169578 미니 인스타 감성이 잘 느껴지는 유튜버 [5] HSC 22.08.22 764 0
169577 미니 왔슈...갤캠스 폴드 [15] file 하늘목장 22.08.22 697 13
169576 미니 버즈2 후로 배송 시작입니다 [1] file Aimer 22.08.22 223 3
169575 미니 폴드4 삼성닷컴에서 주문하신분 계신가요? [4] 요들총각 22.08.22 253 1
169574 미니 폴드 후면 필름은 어떤게 좋을까요 [9] 거꾸로보일러 22.08.22 241 1
169573 미니 워치5프로 지금까지 [4] Minny 22.08.22 398 2
169572 미니 삼성이 asus에 독을 풀었다 [3] file 인헤리턴스 22.08.22 807 2
169571 미니 왔슈! 왔슈!! [2] file 애상 22.08.22 249 9
169570 미니 폴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올 티타늄으로 바꿔버린다면 [6] 완벽한무선충전 22.08.22 673 3
169569 미니 폴드4 양갱 [7] file 목탁8비트 22.08.22 635 13
169568 미니 선생님들 폴드4 팬 고민중입니다 [5] HmmmmE 22.08.22 134 0
169567 미니 어차피 14프맥 살건데 가격 과욘 😈 [15] 오토카모 22.08.22 596 8
169566 미니 매직 트랙패드 2 따로 쓰는 선생님덜 계심미카 [13] Lime 22.08.22 406 0
169565 미니 며칠동안 안드로이드써보니 정말 편했군요 [6] 돋을볕 22.08.22 845 4
169564 미니 아이폰 적용환율 1400원이 농담이 아닐지도? [12] file AquStar 22.08.22 1041 4
169563 미니 주말의 저를 반성합니다..... [5] file GLaD 22.08.22 474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