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3나노 수율은 뭐 TSMC 높은건 FinFET인것도 감안해야겠죠

삼성은 MBCFET이니깐요..

 

일단 삼성은 아직 수율을 크게

기대하기보단 목표 성능 대비 테스트 베드에서

성능 안나오는 문제 잡는게 시급할겁니다.

 

다행히도 SF4(4LPP)부턴

테스트 베드에서 성능이 곤두박질치는

이슈는 잡은듯하네요.

 

수율은 아직이지만

4LPE때처럼 20% 같은 말도안되는 수치는 아닌듯합니다.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2
나르자
1등 나르자
2023.01.02. 22:11

엊그제 부터 도는 SF3 수율에 대한 루머들은, 한귀로 흘려야 할거 같은 느낌이군여 ㅇㅇ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2등 MaxPax
2023.01.02. 22:15

삼성이 3나노에서 GAA를 택한 이유가 비슷한 수준의 PPA를 FINFET으로 달성하려면 삼성의 기술 수준으론 어려워서라는 소리가 있던데 사실이 아닌 걸까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MaxPax 님께
2023.01.02. 22:16

그냥 FinFET보다 성능 올릴려고 한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MaxPax 님께
2023.01.02. 22:22

구조나 물질 변경있을 때가 위기이자 기회인데 어차피 GAA로 가야하는건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니 남보다 조기도입하는걸로 승부수 띄운거겠지요.

잘 넘어가면 몇 년동안 안정적으로 공정 미세화 끌고 갈 수 있고 그 사이 상대가 전환에 삐걱거리면 확실히 격차 벌릴 수 있으니까요.

핀펫 베이스에서 공정 성능이 뒤쳐진 삼성에서는 밑져야 본전이니 선택할 수 밖에 없고, 앞서있는 TSMC는 무리수 둘 필요 없겠고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gamma 님께
2023.01.02. 22:27

그쵸 삼성 입장에선 레알 밑져야 본전이니 밀고가는 수밖에 없는 상황 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gamma 님께
2023.01.02. 22:32

마이크론은 우리가 뒤쳐졌으니 EUV 늦추고 DUV로 베타급까지 가자는 전략이던데 삼성은 반대군요.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시장 차이에서 기인한건지... 여튼 감사합니다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MaxPax 님께
2023.01.02. 22:38

DRAM은 아직도 10nm 중반부터 중후반까지 포진하고 있어서 아직 버틸만 하거든요.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오꾸리 님께
2023.01.02. 23:11

제 생각은 반대인게 파운드리는 분야가 많고 구공정에 대한 시장수요 또한 강합니다. 매출기준 점유율을 보면 10nm 16nm는 물론이고 십수년도 더 된 28nm 이런게 한 따까리 하고 있습니다. 60nm 90nm도 여전히 활발합니다.

반면에 메모리 시장은 선단, 차선단 공정의 매출 점유율만 기형적으로 높습니다. 표준화가 잘 되어있고 생산성이 중요한 까닭입니다. 그리고 마이크론은 현재 1알파, 1베타 등 그야말로 컷팅엣지 분야에 DUV를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중입니다. 3사별 1알파 노드의 비트기준 점유율도 마이크론이 제일 높고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MaxPax 님께
2023.01.02. 23:20

DRAM에 EUV 도입은 장단점이 얽혀있어서 로직하고 비교하기 좀 힘듭니다.

 

일단 메모리는 공정 개선에 따른 효과가 생각보다 엄청 크지 않습니다.

제조사 입장에서 쉬링크 효과로 원가절감되는게 필요하니까 하는거지, 공정 미세화로 얻어지는 소비전력 감소, 스피드 향상이 고객 입장에서 그렇게 크리티컬한 선택 요인이 아닙니다.

호환성때문에라도 jedec 표준 스피드만 보증되면 충분하다는 느낌.

 

시장 측면으로보면 파운드리는 공정성능, 수율로 어필해서 주문 못 받으면 공장 가동률 망하지만 메모리는 제품별 수요 예측해서 미리 찍어놓으면 언젠간 팔 수 있거든요.

사실상 기본 가동률이 파운드리랑 비교가 안 되고 그 엄청난 캐파를 상시 돌리고 있다는겁니다.

이걸 전제로 깔면 이해가 되는 부분이, 어설프게 공정 미세화했다가 불량 터지면 해당 물량이 엄청나서 수습하기 힘듭니다.

귀책 문제 제대로 처리 못 하면 물량 교환이든 향후 계약 패널티든 고객사한테 내줘야되는게 크고요.

그래서 공정 미세화해서 양산성공했다고 이전 공정 제품 다 빼는게 아니라 이후 몇 년동안 여러 세대 제품이 같이 생산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메모리에서 공정 미세화는 개발은 계속되고 빠르지만 양산 적용과 세대 교체는 엄청 보수적으로 진행된다는거.

 

여기에 EUV 공정이 끼어들면 장비 수급문제, 상대적으로 삼성보다 부족할 EUV 공정 노하우, EUV 장비가 있어봐야 충분하지 않으면 제품 한 종류 캐파도 감당 못 하게 되는 점 등등 발목잡을 이유가 늘어나고요.

다만 EUV 공정 도입 지연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시점은 분명히 올겁니다.

메모리 시장 전망이 안 좋아서 삼성 빼고는 투자 감축에 감산까지 계획하는 상황이라 당장은 두드러지지 않겠지만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gamma 님께
2023.01.02. 23:26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시장 차이라는 거군요.

마이크론이 1감마부터 EUV 5개 레이어가 적용된 D램을 생산할거라는데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낸드에서 FG->CTF의 전환은 마이크론이 경쟁사대비 늦었어도 결과론적으로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평가받던데 D램은 어떨 지...

매번 좋은 뉴스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MaxPax 님께
2023.01.03. 00:08

DRAM의 경우 선폭이 좁아지면 케페시터를 형성하는게 힘들기때문에 아직도 10nm대 공정을 유지하고 있는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DUV와 EUV의 경우는 생산 단가의 문제가 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대략적인 정보를 얻을수 있을듯합니다.

 

https://tristanchoi.tistory.com/54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3등 패주초
2023.01.02. 22:32

삼성은 뭔가 공정에 신기술을 이르게 많이 적용하는데

어째 시간이 지나도 그 신기술에 적응을 못하는 느낌이네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패주초 님께
2023.01.02. 22:38

EUV때 첫단추 잘못끼운탓이죠.

논EUV땐 TSMC랑 경쟁 가능하고 더 나은 부분도 있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케이비어
케이비어
2023.01.02. 22:39

삼모바일에선 수율 60퍼라던데요

그리고 저 80퍼 출처도 대만 황색언론으로 악명높아서 신뢰가 영...

[케이비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케이비어 님께
2023.01.02. 23:14

절대 60% 아닐겁니다.

SF4(4LPP)가 그보다 낮거든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흡혈귀왕 님께
2023.01.02. 23:33

샘모바일에서 나온 수율이 현재 생산하는 채굴 칩 기준이라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칩 스팩이 떨어진다는데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MaxPax 님께
2023.01.02. 23:51

아 그놈 기준이면 맞을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yon
Aimyon
2023.01.02. 23:11

DRAM도 EUV 땜시 수율문제로 고생 좀 하는 것 같더라고요... 여기도 어차피 맞을 매 미리 맞자 전략 같던데 ㅋㅋ

[Aimy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Aimyon 님께
2023.01.02. 23:14

EUV에서 참 고생하네요 ㅋ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60 13
핫글 미니 삼성 폴더블 AS는 명불허전이네요 [11] 새벽하늘 24.06.07 1246 22
핫글 미니 근데 폴드 슬림 존재 자체는 확인했는데 [53] 흡혈귀왕 24.06.07 927 10
핫글 미니 24년 1분기, 유럽 갤럭시 S 시리즈 전년 대비 58% 상승 [1] file AquStar 24.06.07 523 10
5792 미니 와씨...Exagear가 GPU가속으로 윈도우 게임 구동되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6] 흡혈귀왕 22.03.02 8252 6
5791 미니 S20U 내 파일 네트워크 저장공간 후기... [7] file 흡혈귀왕 20.02.26 7573 1
5790 미니 구성 류우머 루우머 쇼오문 소오문 [25] 흡혈귀왕 22.05.21 4495 14
5789 미니 덱스 모드 외부 디스플레이에 강제로 4K 출력 하는방법 [15] file 흡혈귀왕 22.05.14 4483 9
5788 미니 노트20 울트라 국내판 긱벤치5 점수 [6] file 흡혈귀왕 20.08.03 4406 1
5787 미니 류우머 루우머 쇼오문 소오문 갱신 [23] 흡혈귀왕 22.06.04 4291 16
5786 미니 S22U vs 폴드4 vs 플립4 12MP 광각 비교 [22] file 흡혈귀왕 22.08.11 4228 11
5785 미니 공정 관련 이모저모 소문... [13] 흡혈귀왕 22.09.19 4171 17
5784 미니 찌라시) 삼성 갤럭시S11 시리즈 후면 카메라 정보 [22] 흡혈귀왕 19.12.14 4149 7
5783 미니 아이피타임 A3004NS-M 공유기 괘아늘려나요? [13] 흡혈귀왕 20.01.25 4135 0
5782 미니 국내판 AP는 걍 지켜보면됩니다.......... [38] file 흡혈귀왕 19.12.07 4072 0
5781 미니 삼성 파운드리 신규 로드맵관련 주저리 주저리... [20] file 흡혈귀왕 22.10.04 3822 18
5780 미니 엑시노스990 CPU 성능은 이게 한계인듯하군요... [44] file 흡혈귀왕 20.02.12 3705 0
5779 미니 S24 시리즈는 국내판 엑시노스 탑재 가능성이 높습니다. [17] 흡혈귀왕 22.12.25 3635 6
5778 미니 센서 사이즈별 카메라 분포도...글고 모바일 대표 센서들 판형 비교 [23] file 흡혈귀왕 19.12.14 3588 12
5777 미니 차기 엑시노스2200과 스냅드래곤895 공정 관련 주절주절 [37] file 흡혈귀왕 21.06.06 3577 17
5776 미니 삼성 17nm로 CIS 제조시 장점... [12] 흡혈귀왕 22.09.16 3533 18
5775 미니 PS3 에뮬 성능이 엄청 좋아졌네요.... [4] 흡혈귀왕 20.10.03 3489 2
5774 미니 반도체 노드별 스탠다드셀 구조에 대한 이해는 대충.... [6] file 흡혈귀왕 19.12.03 3433 11
5773 미니 다들 댁에서 공유기 몇대 설치해놓고 쓰시나요? [29] file 흡혈귀왕 20.01.26 3429 0
5772 미니 엑시빠 관점에서 보는 이번 스냅드래곤865 소감 [27] file 흡혈귀왕 19.12.05 3386 6
5771 미니 생각해보니 128 이슈는 이미 S23때도 나왔던 말 아닌가요? [7] 흡혈귀왕 23.12.26 3303 5
5770 미니 LG V50에 Win11 ARM 설치되는군요. [16] 흡혈귀왕 21.10.16 3278 3
5769 미니 GN3 vs GW2 비교.....그리고 GN3 vs IMX582 [31] file 흡혈귀왕 22.12.06 3267 17
5768 미니 소문 소문 소문 [19] 흡혈귀왕 20.12.28 3263 1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