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코크니코알라

미니 2억화소? 1억화소? 4800만화소?

미코 눈팅하며 어쩌다 주워들은 지식으론 2억화소, 1억화소 이런 센서가 진짜 순수 2억, 1억 화소 센서가 아니라 들었어요.

센서크기 자체는 1억이나 2억이나 4800만이나 심지어 1200만이나 다 같을수도 있다더군요

대신 개별 픽셀의 크기를 쪼개 화소수를 늘린거라고요.

개별 픽셀의 크기를 줄이다보니 한 픽셀당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같이 줄어 4개, 9개, 16개의 픽셀을 하나의 픽셀처럼 묶어 동작시키는 픽셀비닝이 나왔고요.

 

여기서 하나 의문이 들었습니다. 센서 크기가 깡패다란 말이나, 굳이 픽셀비닝을 하는 이유, 이미지센서 신제품만 나오면 쏟아지는 각종 신기술들 모두 한 방향을 가리키는 것 같더라고요.

->센서에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고 최대한 손실없이 신호로 변환한다.

 

그렇다면 굳이 1억, 2억씩 되는 엄청나게 높은 화소를 가져감으로 얻는 이익이 뭔가요? 1200만 화소짜리에 그 각종 신기술들을 도입하면 더 좋은 센서가 되는거 아닌가요?

전문지식은 전무하고, 그냥 일반상식마저 부족한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댓글
15
Oxc.suga
1등 Oxc.suga
2023.01.18. 20:41

센서 화소와 판형자체는 별로 관계가 없는 것이 맞습니다.

고화소 센서의 이점이라면, 광량이 충분하고, 모든 조건이 탁월할 때, 디테일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고, 이것이 소형 기기 특유의 후보정 위주의 발전과 더불어, 하나의 기믹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가혹한 환경에서는 1200만 화소 오리지널 센서가 동 판형 기준으로 리모자이크 등의 화질 저하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고화소 센서보다 더 우월한 면이 있어, 중형-대형 카메라에서는 아직까지 고화소 열풍이 불지는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화소의 우월한 디테일이 중대형 카메라에 언제 적용될 지는 아무도 모르죠...

결국에는 디테일 측면에서의 이점을 가져가고자 하고, 동시에 마케팅적 측면을 강조(결국에는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니만큼...)하려는 풍조의 결합 아닐까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Oxc.suga 님께
2023.01.18. 20:44

그리고, 1200만 화소는 4K 촬영의 한계점이기도 해서, 단순 사진촬영 용도라면 충분할지도 모르겠지만, 8K 이상 고해상도 동영상 촬영시에는 48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S21에서 3배 망원카메라가 1.08배 크롭방식으로 동작하는 GW2 센서였는데, 8K 촬영을 위해서는 이 센서로만 촬영할 수 밖에 없어, 화각 이슈가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결국, 12MP 센서의 동영상 촬영에서의 한계점을 여실히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코크니코알라
글쓴이
코크니코알라 Oxc.suga 님께
2023.01.18. 20:46

폰카는 칩셋을 통한 후보정이 강하게 개입하니 저조도에서 받는 불이익을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다 생각해서 사용하게 되는거군요... 점점 카메라보단 칩셋으로 그리는 그림같은 느낌이 드네요

[코크니코알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코크니코알라 님께
2023.01.18. 20:4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코크니코알라 님께
2023.01.18. 20:51

결국, 스마트폰은 전문가용 카메라와는 달리, 후처리를 모두 제한된 자원 속에서 자동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드러나는 일종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가 사진편집하는 거 보면, 보정 전 후로 완전 딴 사진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폰카 후보정은 그냥 개껌처럼 보일정도로...

근데 폰카 사진이 그리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로는, 다시 말하지만 성능이나 시간면에서 성능적으로 제한적인 부분이 많아서 생기는 문제로, 보정 결과가 어설퍼보이는 것도 그 탓일 겁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2등 Oxc.suga
2023.01.18. 20:45

숫자에 현혹되는 일반인의 한계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DR 스탑이나 판형이나... 일반인들은 별로 관심없지 않겠습니까...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Oxc.suga 님께
2023.01.18. 20:45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3등 Sparrow
2023.01.18. 20:48

픽셀비닝 고화소 센서가 같은 크기의 저화소 센서와 비교해서 범용성에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4mm와 48mm화각을 쓰려면 두 개의 렌즈가 필요하지만, 고화소 광각 센서만 있으면 하나의 렌즈로 무손실12mp 1~2배 줌을 구현할 수도 있죠.

물론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아직까지는 고화소 기능을 알뜰하게 활용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지만요 ㅠ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Sparrow 님께
2023.01.18. 20:53

오, 화각에 변화를 주는 것이라면 크롭 말씀하시는 걸까요?

근데 제한된 판형에서 고화소 센서면, 화소 하나 크기가 겁나 작아질텐데 크롭 품질도 덩달아 떨어지지 않나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Oxc.suga 님께
2023.01.18. 21:04

크롭 품질이 당연히 별도의 2배줌 카메라를 탑재하는 것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저화소 센서를 크롭할때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4800만화소 센서로 2배 크롭하면 그래도 1200만화소 결과물을 얻을 수 있지만, 1200만화소 센서를 2배 크롭하면 300만화소에 불과하거든요.

 

더 극단적인 케이스로 가보면, 1억 800만화소 센서는 3배 크롭해도 1200만화소 결과물이 나오지만 1200만화소 센서를 3배 크롭하면 130만화소 남짓에 불과하게 됩니다. 아무리 픽셀당 수광면적이 넓다고 하더라도 이미지 크기 자체가 요즘 시대에는 어디 써먹기 어려운 900p급 저해상도 결과물밖에는 찍지를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려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Stellist 님께
2023.01.18. 21:06

아, 저화소 센서 크롭은 생각도 못하고 있었네요. 훨씬 결과물이 떨어지네요;;

거시기 플래그십 폰에는 그래도 광학줌이 들어가는 이유는 중저가 폰과 차별화를 위한 거겠죠?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Sparrow Oxc.suga 님께
2023.01.18. 21:20

아이폰14pro가 48mp를 이용한 2배 크롭 줌을 지원하는데, 픽셀크기가 1.22um이라 웬만한 망원센서 수준의 픽셀피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망원 렌즈보다 밝은 조리개도 수광량에 이점이 있겠지요 ㅎㅎ

개인적으로 수광량보단 리모자이크 알고리즘이 얼마나 성숙한지가 크롭줌 화질을 결정하는 것 같아보이더군요.

개인적으론 14pro 2배 크롭줌의 퀄리티가 가장 좋아보였습니다 ㅎㅎ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뭉게뭉게해
2023.01.18. 21:12

주광에선 화소하나의 크기가 1.4마이크로미터만 되도 충분합니다

애매한 저조도에서 불리하니 계속 크기가 커지고 있죠

4k를 맞춰야하니 1200만

8k를 대비해야하니 4800~5000만

저조도 대응해야하니 픽셀비닝 뭐 이런 이유로 현재카메라 화소랑 센서크기가 정해지고 있죠

[뭉게뭉게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고민은배송을늦출뿐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023.01.18. 21:16

20221010_134233.jpg

20221020_131952.jpg

20230118_210843.jpg

20230118_210929.jpg

휴대폰의 고화소가 기믹이라는 소리도 듣기는 하는데

휴대폰 1200만 화소에서 볼수없는

카메라 느낌의 해상력을 흉내는 낼수 있는

나름의 존재 의의가 있습니다.

물론 주광에서지만요

 

[고민은배송을늦출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54 13
핫글 미니 I'm not looking forward to the Fold6 [20] iceuniverse 09:36 941 19
핫글 미니 완전 플랫이 확실히 내구성이 좋긴 좋네요 [5] Niflheimr 09:18 721 8
핫글 미니 근래 나온 갤럭시중 최애색상.jpg [9] file 품귀문란 24.06.06 1131 7
183787 미니 워치4 스트레스가 최고로나오네요 계속;; [3] file 출사표 23.01.30 711 1
183786 미니 노트북만 있으면 폰도 탭도 모두 컨트롤 가능합니다 [5]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30 825 2
183785 미니 One UI 5.1 유출기능 덜덜하네요 [11] Stewart수현 23.01.30 3046 15
183784 미니 갤북 울트라 개인적인 관전 포인트 [19] Aimer 23.01.30 1058 6
183783 미니 폴드4 아라미드 제외하고 가벼운 케이스 있을까요? [6] 요들총각 23.01.29 489 0
183782 미니 요즘 qhd 모니터도 싸네요 [3] 룬룬 23.01.29 586 0
183781 미니 미코인 s23 선택조사 나왔습니당 [3] 윤이 23.01.29 720 1
183780 미니 각각 노멀 플러스 울트라 끼리 22,23 필름호환 될까요? [5] aleji 23.01.29 646 0
183779 미니 올해도 옴니아2 생존신고합니다. [10] file 하늘목장 23.01.29 885 6
183778 미니 무선 충전을 잃을 수 없어서요 [3] file 후루꾸루 23.01.29 613 5
183777 미니 이번에 무선충전 10W란 루머가 계속 나오네요 [11] HQteam 23.01.29 857 3
183776 미니 갤럭시 S23시리즈 정품 케이스 랜더링 [4] file 우주안녕 23.01.29 998 4
183775 미니 삼성은 안 만든게 없었네요 [2] 찌그렁오리 23.01.29 960 1
183774 미니 S22U 3배줌 음식샷 [7] file 흡혈귀왕 23.01.29 557 4
183773 미니 14프맥 메인 S20울트라 서브폰인데 [2] dlwlrma 23.01.29 453 0
183772 미니 저보다 오래된폰 실사하는분?? [5] 카밀리아 23.01.29 703 1
183771 미니 S22U 창문열고 긱벤치5 [8] file 흡혈귀왕 23.01.29 641 0
183770 미니 아이폰15는 낌새를 보아하니 [10] 도저히못참겠다 23.01.29 1037 2
183769 미니 근데 그램은 해외에서는 어떤가여? [15]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3.01.29 780 0
183768 미니 S23U 유출 카메라 결과들 보면 광축 틀어짐은 안보이네요 [2] 흡혈귀왕 23.01.29 806 2
183767 미니 루머) S23 시리즈 삼닷 단독색상 유출? [15] file Section31 23.01.29 1339 5
183766 미니 페이스북 해고 근로자, 앱이 배터리 방전테스트를 했다고 증언 [13] AquStar 23.01.29 963 4
183765 미니 스마-트 한 삶을 위헤 샀슈 file 투야 23.01.29 381 2
183764 미니 아이폰 세라믹실드+스테인리스 조합 엄청 단단하네요 [3] PatGelsinger 23.01.29 670 5
183763 미니 그때 그시절의 예송논쟁...jpg [14] file 1q2w3e4r! 23.01.29 1267 7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