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RuBisCO

미니 썬더볼트 vs Oculink eGPU 구성의 성능차이.

  • RuBisCO
  • 조회 수 2954
  • 2023.02.11. 18:06

https://youtu.be/TkRXMizMAqE

 

6.png

5.png

4.png

3.png

2.png

1.png

 

 

GPD Win Max 2의 2개의 M2 슬롯 중 2230 슬롯에 꽂아서 4x PCI-E 레인을 Oculink로 뽑은 테스트 결과입니다.

 

GPD Win Max 2는 M2 슬롯의 외부 접근이 쉽게 아예 밖으로 나와있어서 실사용에도 문제가 없는 구성이죠.

 

전반적으로 데스크탑에 근접한 성능을 보여주는 Oculink 연결에 비해서 형편없는 성능을 보여주는 썬더볼트입니다.

 

여하간 썬더볼트가 성능 까먹는 반도체폐기물인거야 새삼스러울게 없습니다만 한가지 새로운점이 있습니다.

 

대역폭이나 레이턴시 문제로 인한 극심한 성능저하 말고도 ReBAR에서까지 문제가 발생하는군요.

 

터널링을 거치는 탓인지 ReBAR 활성화시 오히려 성능이 반토막이 나버립니다.

댓글
15
노멀라이즈
1등 노멀라이즈
2023.02.11. 21:51

공정하지 못한 비교로 보이네요.

썬더볼트는 모바일에서도 충분히 쓰일만큼 포트를 작게 만든거죠. 썬더볼트 2보다도 3배쯤 커보이는 애를 같은선에 놓고 비교하는건 많이 공정하지 못하죠. 애초에 용도가 달라 보이는데요.

오큐링크가 썬볼만큼 슬림화를 하고도 성능이 나온다면 그때야 공정한 비교가 가능하다고 보이네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노멀라이즈 님께
2023.02.11. 22:10

크기는 애시당초 원래 목적이 아니었습니다. USB-C로 넘어오면서 저렇게 된거지 원래 썬더볼트가 1,2세대때 애플과 인텔이 합작해서 내놓을 적엔 USB-C의 두께의 2배는 되는 전용케이블을 썼습니다.

s-l500.jpg

사진은 애플 정품 썬더볼트 커넥터인데 USB A 타입 보다도 두꺼운 커넥터입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RuBisCO 님께
2023.02.11. 22:07

그거보다도 3배는 넓어 보여서 하는 얘기입니다. 딱 esata,dp콘넥터 두께에 사이즈인데요. 그정도면 썬볼2 3배정도 맞습니다. 댓글에도 썬볼2보다 3배라고 했고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노멀라이즈 님께
2023.02.11. 22:20

애플이 사용하던 30핀 커넥터보다 약간 두껍고 훨씬 좁은 사이즈입니다. 애시당초 사이즈가 문제가 아니라니까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2등 영어공학과
2023.02.11. 23:07

음...저건 PCI-e를 다이렉트로 뺀거 아닌가요??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영어공학과 님께
2023.02.11. 23:16

그렇습니다. PCI-E의 외장케이블 규격입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RuBisCO 님께
2023.02.11. 23:35

그러면 비교 대상이 좀 잘못된거 같습니다.

이 세상 모든게 PCI-e로 연결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데이터신호가 갈수있는 물리적 한계가 있으니 1~2m 정도규격인 USB와 썬더볼트, 15m정도인 hmdi, 100m정도인 RJ45인터넷선 등이 존재하는 거지요. 아마 저 PCI-e 직접빼는건 50cm넘기기도 힘들겁니다. 썬더볼트나 usb처럼 2m표준으로 만들려면 진짜 차폐잘하고 순도높은구리에 얇은연선이아니라 굵은단선으로 꽉꽉채워서 hdmi케이블은 비교도 안될정도로 굵게 만들어야 대역폭높은 PCI-e 신호가 유지될수도 있겠지요. 그렇게 억지로 만들어도 물리적 거리에따른 연산속도 감소는 따라올거구요. PCI-e 슬롯 중 제일 대역폭높은 PCI-e슬롯이나 ddr슬롯이 괜히 cpu옆에 몇cm정도로 붙어있는게 다 이유가 있는거죠. 

또 썬더볼트는 2m규격의 유니버셜을 목표로하는 "프로토콜"이라 PCI-e다이렉트로 뺀걸 직접 비교하는건 약간 비교대상이 어긋난거같습니다.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영어공학과 님께
2023.02.12. 00:03

일단 범용프로토콜이란 부분이 사실 장점이면서도 문제점인데, 범용성에서는 기존의 레거시 USB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가볍게 커버하는 영역입니다. 범용으로 쓰자니 과하게 비용이 크고, 그렇다고 고성능 장치들을 연결하는데 사용하자니 PCI-E 레인에서 직결하는것에 한참 못미치게 어정쩡한거죠. 그리고 PCI-E 연결의 물리적인 거리에 따른 연산능력 감소라는건 표준규격의 1m 제한 안에서는 애시당초 문제가 없습니다. 말씀하신 거리에 따른 성능저하 부분은 PCI-E 규격내에서 이야기하자면 케이블을 주렁주렁 이어서 1M 정도로 연장하더라도 링크를 오류없이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연결이란 전제 아래에선 성능저하는 없습니다. 성능저하가 발생하는건 단순하게 물리적 거리 보다도, 신호가 중간에 거쳐야 할 단계가 얼마나 많느냐가 문제가 되는거라서요. 선로의 절대적 길이보다도 중간에 브릿지, 스위치를 몇개를 거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신호품질 문제는 사실 TB 패시브 케이블도 동일하게 공유하는 문제입니다. 비슷한 길이에 비슷한 신뢰성을 가지는 케이블이라면 TB 케이블도 요구조건이 매우 높아서 가격이 비슷해집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학점암살자
3등 학점암살자
2023.02.11. 23:14

폐기물이라고 말씀하신 썬볼은 오큐링크와 달리 대중화에 성공했죠. eGPU 하나만 놓고 보면 대역폭을 많이 까먹지만 범용성 측면에선 너무나도 우월하죠. USB C랑 통합돼서 공간이 한정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별도의 포트를 둘 필요가 없고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외장 SSD나 모니터 연결 같은 대부분의 환경에선 썬볼 대역폭으로도 차고 넘치니까요. 이래도 산업 폐기물인지는 잘 모르겠군요

[학점암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학점암살자 님께
2023.02.11. 23:22

해당 목적은 USB-Alt 에서 거의 커버되는 영역이죠. 사실 인텔이 USB에 얹어서 억지로 밀기 전의 썬더볼트1,2 시절에는 말씀하신 용도로 쓰는 경우는 PC 영역에서 소수파인 애플 플랫폼 내에서도 정말 소수만 쓰는 물건이었습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학점암살자
학점암살자 RuBisCO 님께
2023.02.11. 23:30

썬볼1도 원래는 usb 단자로 개발하지 않았나요

말씀하신대로 usb랑 통합되고 나서야 썬볼이 대중화됐다는건 결국 규격 외 독자 포트 쓰면 나가리 된다는걸 확인시켜줄 뿐이죠.. 

[학점암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학점암살자 님께
2023.02.12. 00:02

썬더볼트1은 독자 규격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하여간 독자포트는 망한다는 부분은 확실히 공감합니다. 좀 페널티가 쎄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
개🐶 학점암살자 님께
2023.02.12. 00:36

오큐링크는 USB를 대체하거나 상위호환 목적으로 만든게 아니기 때문에 썬볼하고 방향성이 다릅니다. 오히려 sas나 esata같은 애들을 위한 대체규격이긴 하죠. 그래서 서버쪽에서 잘쓰이지 데탑에선 잘 안쓰는거죠. 썬볼이 egpu를 구현하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효율이 워낙 안좋은거지 쓸 목적으로 만든다면 오큐링크를 사용하는게 좋긴 하죠

[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
개🐶
2023.02.12. 00:32

애초에 오큐링크를 메인보드 구매시 포트 달고 sata 4포트 변환 케이블로 대신해줬으면 egpu 목적으로는 성공했을지도 모르죠

데탑쪽에서는 안쓰는 규격이라...

[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개🐶 님께
2023.02.12. 00:38

참 잠재력은 좋은 규격인데 여러모로 좀 아쉽습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35 13
핫글 미니 삼성 서비스센터 직원이 고객 휴대폰 갤러리 훔처본 사고가 터졌군요. [43] 1o92nd 24.06.05 1633 29
핫글 미니 LG g5는 왜 망했을까? [31] updatefile 펄럭펄럭 01:14 1025 20
핫글 미니 버즈3 "Pro"라고 불리고 싶으면 고쳐야 하는 부분 2가지 [7] TempNick 10:54 647 14
212318 미니 뱅앤올룹슨 h95, 에어팟 맥스 청음 후기 [10] 소나기 20.12.20 2589 5
212317 미니 2020년형 아이패드 프로.......avi [9] 스퀴니 20.03.26 2589 0
212316 미니 1인치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8] file 지나가던호갱 22.05.15 2587 11
212315 미니 탭 S8/S8+/S8U 긱벤치 퇴출 [22] file 두꺼비감자칩 22.03.15 2587 29
212314 미니 워치4 돌연사는 지금 여기저기 난리입니다 [20] file 에피 22.11.05 2586 14
212313 미니 가성비 좋은 4K@60Hz 지원의 c타입 허브 [8] file 흡혈귀왕 20.07.31 2586 4
212312 미니 레이저보다 플립의 외부스크린 디자인이 설득력 있는 이유 [44] file 미하엘무야허 23.06.03 2585 24
212311 미니 S20, 이번 컬러 콘셉트는... [7] file 오토카모 20.02.12 2585 7
212310 미니 윈도우는 뭔가 보안이 최악일 것 같이 생겼는데 [13] AurA 22.12.14 2584 9
212309 미니 버즈 라이브 측정 (소리 평가 갈리는 이유) [21] file 헤메 20.08.08 2584 25
212308 미니 삼성파운드리는 3나노에 진짜 역량 쏟아부어야겠네요 [8] GalaxyBudsSeries 22.05.14 2583 10
212307 미니 아무래도 갤탭은 이번이 마지막일 것 같네요. [37] 감자 23.12.07 2582 18
212306 미니 [데이터 주의] 제조사 별 플래그십 노트북 분해 모습.jpg [35] file Havokrush 20.05.18 2582 1
212305 미니 아이패드 120Hz 옵션을 껐더니 터치문제 해결.., [25] chromium 19.12.08 2582 0
212304 미니 갤럭시탭 S8플러스, 울트라 긱벤치 [10] file PatGelsinger 22.02.04 2581 5
212303 미니 갤럭시 탭 S8 Ultra 스펙 [20] Thomasp5675 21.12.16 2581 25
212302 미니 갤럭시 버즈 플러스 99000원 쿠폰 나중에 중고나라에 얼마에 풀릴까요? [8] JamesBlake 20.02.12 2580 0
212301 미니 8nmLPP 엑시노스9820 vs 7nmFF 스냅드래곤855 긱벤치5 직접 비교 [10] file 흡혈귀왕 19.12.17 2580 0
212300 미니 음..? 삼성 오스틴 조직개편 있나요? [7] file Aimyon 22.05.03 2579 3
212299 미니 갤럭시 최애 디자인들 입니다. [10] file 후루꾸루 22.04.25 2579 10
212298 미니 삼성 디바이스 케어 치후360 제공이네요?! [4] 하렌쿠우 20.01.07 2579 1
212297 미니 s23+ 수령 실물 밴치 [21] file 광신도는싫어요 23.02.08 2578 19
212296 미니 저는 어플의 부족한 만듦새에 관대한 편입니다 [10] file 크나앙 22.06.06 2578 16
212295 미니 삼성 갤럭시 탭 S6 Lite 2022 Edition [24] file AlieNaTiZ 22.05.11 2578 11
212294 미니 찌라시)닌텐도 스위치 후속작 준비 중? [15] Aimyon 21.10.05 2578 7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