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iceuniverse

미니 Samsung has indeed not brought us' Amazing 'phones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rumors, the S24 Ultra probably won't be amazing either. I want to know why? Even Apple, who seems lazy, will bring many obvious improvements to the iPhone 15 Pro Max, such as new buttons, new periscope telephoto lens, titanium metal, super narrow bezel, USB-C, and the invincible screen. These new improvements are obvious.

 

And Samsung, I dare not expect such a significant improvement now

 

1.From the S22 series to the S23 series, its improvements are almost indistinguishable in appearance, and its internal improvements are highly dependent on the computing power and processing power of the 8Gen2, rather than Samsung's own efforts. Samsung's only effort is to reduce costs once again.

 

2. From Watch4 to Watch5, the appearance has hardly changed, which is not the most serious issue. The most serious issue is the software OS, and Samsung's watches are always not smooth, far inferior to Apple or even OPPO watches, leading to a significant decline in Watch5 sales in China. However, the changes in Watch6 are still not significant, only reducing the bezel by 1.2mm.

 

3. From Tab S8 Ultra to Tab S9 Ultra, the appearance remains the same, even after two years, the notch design is still retained, and the majority of specification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processor and screen.

 

4. From Fold4 to Fold5, I heard the complaint of Fold5 testers. The design is almost identical, the camera is identical, even the crease is the same, but it is only 0.2mm thinner. After closing, it is 13.4mm thick, which is still thicker than MIX Fold2, not to mention Mate X3

 

5. One UI, there hasn't been much change in recent years, I'm not sure if One UI 6 can break through.

In short, the feeling Samsung gives me is that he seems to have done something, but also seems to have done nothing.

 

Working at Samsung is definitely boring. They repeat the same work as last year every day, and there is nothing exciting. Even if there is, such as the larger external screen of the Flip5, it has long been taken advantage of by competitors.

 

I don't know why on earth? Are the teams led by TM Roh just like him, only concerned about profits and not about innovation?

 

I don't think this is a normal company.

0006840137_001_20230531163126727.jpg

댓글
27
감이어디감
1등 감이어디감
2023.06.02. 14:19

꾸준히 평타 이상 하는 것도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요 근래 아쉬운 부분(DX DS 통틀어서)도 많긴 하지만 삼전만한 회사가 몇이나 될까요.

[감이어디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ceuniverse
글쓴이
iceuniverse 감이어디감 님께
2023.06.02. 14:25

If Samsung cannot improve in other areas, at least it can make improvements in appearance to let users know that this is a new phone. Even for lazy Apple, the iPhone 14 Pro has removed the notch, and the iPhone 15 Pro has greatly reduced the bezel, at least letting Apple fans know, "Wow, this looks like a new phone

[iceunivers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t
Mint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4:34

From the S22 to the S23, the design of the rear camera has changed. The Ultra model also has a small rear camera design change. Isn't this a "new design"?

[Mi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이어디감
감이어디감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4:40

말씀하신 부분은 이론적으로야 바람직하지만 제가 디자인은 문외하기도 하고 삼성의 팬덤은 애플만큼 두텁지 못해서 조심스럽네요. 어줍잖은 변화를 주면 욕먹기 딱일 것 같아서요.

 

개인적으로 아이폰의 다이나믹 아일랜드는 어줍잖은 변화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감이어디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적당히하자
적당히하자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5:33

14 프로 이전 모델들이 얼마나 유사 했는지 생각해보시길..

삼성이 요즘 디자인 변화가 둔화된건 인정하지만

애플만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이나믹 아일랜드랑 베젤은 아이폰이 그동안 다른 폰들에 비해 뒤쳐져있었던 부분일 뿐이죠..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2등 Eomjunsik
2023.06.02. 14:28

What do you think is the difference between iPhone 12 Pro and 14 Pro? If two of the world's best-selling flagship series seem to be making little progress, I think we should consider why.

 

Technically, of course, the phones you're talking about from Chinese manufacturers with a lot of experimental spirit are great. But will it benefit the company as well? We already know of a company that was experimenting and had to go out of business as a result. I don't know if you've heard of LG Electronics.

 

Samsung and Apple watch Chinese manufacturers load new technology, then pick up what looks good and put it in their products. Why would they take the risk?

 

*한국어 요약: 중국폰들이 모험하는거 좋은데, 그걸 삼앱이 왜 함? 그러다 LG꼴 남.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ceuniverse
글쓴이
iceuniverse Eomjunsik 님께
2023.06.02. 14:34

 iPhone12 Pro→14 pro

Dynamic island and software interaction are new things, with narrower bezels and powerful new 48MP RAW.

Although many Chinese brands' efforts and market share returns do not match, the reason here is that Chinese brand smartphones are still mostly limited to sales in China. This is a market strategy issue, and what really matters is the competitiveness of the phones themselves. Once they leave China and open up foreign markets, Samsung will instantly become extremely dangerous. This is only a matter of time, and it will happen sooner or later. Samsung has always regarded market channels as its own moat, which is unreliable. What truly drives a company forward is the product itself, not the market advantage.

[iceunivers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Section31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4:41

I may say this: I saw many times Chinese corporations announced and officially released many devices outside China, such as Europe, India, etc. But why do they still facing failure? There must be reasons.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ection31 님께
2023.06.02. 14:37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4:44

Why do you think Chinese flagship phones are limited to the Chinese market? It's not being sanctioned by the US government like Huawei, and brands like Xiaomi are already selling their phones well oversea.

 

Isn't it just that no one wants to buy a Chinese flagship? The cheap OnePlus sold well overseas as well. Just raised the price and ruined it.

 

It just seems like common paranoia to me.

 

*한국어 요약: 샤오미는 잘만 파는데? 중국 플래그십이 해외에서 그냥 안팔리는거 아님?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t
Mint iceuniverse 님께
2023.06.02. 14:39

Chinese brands are already selling their flagship smartphones in overseas markets like Europe. But they've never done well. If Chinese brands' smartphones really are more attractive devices than Samsung's, why aren't consumers buying them? Why aren't they dominating the premium market, and why do their profits keep falling?

[Mi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irsubK
best 3등 SirsubK
2023.06.02. 14:25

뭔가 "혁신 없는 애플" 의 삼성버전 소리를 하는것 같은데...

[Sirsub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irsubK 님께
2023.06.02. 14:25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목장
하늘목장
2023.06.02. 14:31

 

The Mi Mix Fold 2 is not waterproof and does not have a free-stop hinge

 

It's only slightly thinner than the Z Fold 4.

 

Is Thinness Innovative? wihout Function, like waterproofing or a free-stop hinge, or Is it just valued for being thin?"

 

Even Huawei products don't even have 5G.

 

 

 

I don't think this is a Innovation.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ceuniverse
글쓴이
iceuniverse 하늘목장 님께
2023.06.02. 14:40

MIX Fold2 is not worth discussing. What we are discussing is that their development speed is too fast. The improvement of each generation of products is equivalent to the improvement of Samsung's two generations of products. Samsung's progress in Fold5 is too small, with most specifications falling behind the Mate X3. But don't forget, it faces MIX Fold3, Mate X4, OPPO Find N3, vivo X Fold3...

[iceunivers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하엘무야허
미하엘무야허
2023.06.02. 14:36

In my opinion, innovative and experimental change is the privilege of the challenger. Challengers take risks and quickly introduce new technologies or designs. Samsung used to have that kind of period. However, Samsung and Apple are already deeply entrenched companies in the market and do not have to take big risks. That's not to say that they refuse to innovate. Apple's sales show that preemptive installation of new technologies or design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dominate the market.

[미하엘무야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odenameKhan
best CodenameKhan
2023.06.02. 14:39

"???: 혁신 없는 XX폰" 소리를 삼성에서 듣는 날이 오게 되어 매우 감개무량하다고 생각합니다

[CodenameKha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토카모
오토카모
2023.06.02. 14:42

Clipped_image_20230602-144229.png

 

사장님 귀여어어어어 

[오토카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이어디감
감이어디감 오토카모 님께
2023.06.02. 14:43

누끼 잘 따네요ㄷㄷㄷ

[감이어디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2023.06.02. 14:52

그렇게 변화많고 기발한게 잘먹히면 lg가 망하지는 않았을꺼 같은데 말이죠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6.02. 14:53

롤러블폰은 그래도 쵸큼... 크흠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Section31 님께
2023.06.02. 14:56

신기하고 좋았을꺼 같은 폰이지만 lg가 사업을 접는걸 막지는 못했을꺼 같아요.ㅜㅜ lg스마트폰 중에 안정적으로 팔리는 모델이 없었어서ㅜㅜ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목장
하늘목장 Section31 님께
2023.06.02. 15:53

솔직히 롤러블이 환상종이 되어서 그렇지....

 

출시가가 폴드보다 비쌌는데 무조건 까였으리라 봅니다.

 

1. BOE Oled

 

2. (어쩔수없지만) 확장영역의 내구도문제 

 

3. 떨어지는 전면카메라 화질

 

을 망라하는 Geek 한 LG

 

당장 저도 그가격주곤 절대 안사고 쿠팡 120 특가 정도뜨면 살 것 같거든요 ㅠ

[하늘목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best 흡혈귀왕
2023.06.02. 15:07

중국폰이 1등을 못하는 이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고민은배송을늦출뿐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023.06.02. 15:33

많이 팔리는건 자동차로 비교하면

소나타 캠리 어코드지

특정부분이 크게 특화된

스포츠카 오프로드SUV 픽업트럭 이런게 아닐텐데요

애플이나 삼성은 많이 파는쪽의 브랜드구요

다수의 니즈를 포기하고 한정된 원가를

특이하기만 한 부분에 쏟기는 힘들지 않을지?

[고민은배송을늦출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6X8BVYV1WH7T
X6X8BVYV1WH7T
2023.06.02. 21:26

현재 삼성이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주기 힘든 현실은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애플 아이폰15프로에서 개선예정된 것들이 "새로운 무언가"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시작가격 $1100달러짜리 (프로)플래그십 스마트폰이 라이트닝포트 + usb2.0을 고집하다가 이번 후속작에서 개선한다고해서 그게 새로운 무언가는 아니지요.

당신이 서술한 매우 얇아지는 베젤, 엄청난 카메라 개선점 등이 있으며 아직 유출되지않은 놀라운 어떤것이 있을 수 있지만,

애플 아이폰 프로는 여전히 무겁고, 카메라 범프는 기괴하게 두껍고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상대적으로 얇고 가벼운 아이폰15/15 Plus라는 선택지가 있지만

그들은 프로맥스만큼 베젤이 얇아지지 않으며, 120Hz 지원하지 않고, 구식의 라이트닝2.0 포트를 유지할 예정이지 않습니까? AOD는?

 

120Hz는 중국의 저가형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매우 기본적인 옵션들을 매년 1∼2개 씩 풀어주는 옵션 인질행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갤럭시 S23 혹은 S22 일반모델이 USB 2.0, AOD미지원 60Hz 노치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것을 상상해보십시오.

삼성은 애플만큼 강력한 AP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최소한의 노력"은 이미 수년전에 완료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폴더블 폰의 놀라운 발전속도는 인정하며, 개인적으로 OPPO의 Find N시리즈를 가장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글로벌 시장 진입에 문제가 있으며,

미패드를 사용해본 사람으로서 중국제조사의 OS는 보완할 점이 다소 많아보입니다.

또한 그들은 백도어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를 해결한다고 하더라도 그 이미지를 벗어나는데 매우 오랜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당분간 폴더블 시장에서 삼성의 경쟁상대는 없어보입니다. 애플에서 본격적으로 폴더블 스마트폰/태블릿 생산을 시작하기 전까지 말이죠.

[X6X8BVYV1WH7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82 13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7] file AquStar 24.06.02 1012 23
핫글 미니 LG의 아픈 손가락... [8] file 고슴도치 24.06.02 1276 9
핫글 미니 갤럭시 무충 솔직히 쓸모없습니다. [19] update 윤이 24.06.02 1011 9
192977 미니 GOS를 해제하려 합니다. [12] 나랏미 23.06.25 1206 2
192976 미니 저도 폴드4 벽돌됐네요 [6] 지새는달 23.06.25 1440 3
192975 미니 폴드3 쓰는데 폴드5 예구할만할까요 [7] 긴닉네임25408823 23.06.25 722 2
192974 미니 알리.. 환불 거절 당했네요 [8] file cir 23.06.25 1411 8
192973 미니 삼성도 폴더 모양을 그리 드러내고 싶어하진 않은 것 같네요 [6] file 클라비스 23.06.25 2142 10
192972 미니 네임드랍 단점.. [9] file 댕밤 23.06.25 1129 6
192971 미니 폴드 3 / 4 도 체감 엄청나긴 했죠 [2] sourire 23.06.25 990 4
192970 미니 도시락폰을 실사용 하는 방법 [2] file Stellist 23.06.25 1402 10
192969 미니 도시락폰 [7] file 하늘목장 23.06.25 1332 10
192968 미니 란즈크) 갤럭시Z폴드5 & 플립5 체감 차이점 및 S24 엑시노스 탑재 관련 [19] 노다 23.06.25 3194 26
192967 미니 란즈크) 퀄컴-소니 차세대 스마트폰 공동 개발 파트너십 [4] Section31 23.06.25 1062 3
192966 미니 플립5 실기 유출 [30] file 노다 23.06.25 3581 26
192965 미니 EU 새 법안에 스마트폰 방수 의무화 규정도 있었네요. [14] Stellist 23.06.25 994 7
192964 미니 웨이보) 원플러스 Ace 2 Pro, 물리 24GB램 탑재 [8] Section31 23.06.25 551 3
192963 미니 굿락 clockface에 시계 커스텀 기능도 있었군요... [2] file 모코코 23.06.25 721 0
192962 미니 kt lte 속도입니다 [10] file HQteam 23.06.25 713 0
192961 미니 아이폰 새기능 네임드랍.gif [33] file 적당히하자 23.06.25 2380 14
192960 미니 애플케어플러스 부가세 환급은 대체 언제쯤 진행될런지.. 너무 조용하네요. [4] Stellist 23.06.25 961 4
192959 미니 아이패드 미니5 vs 리전 y700 [7] bluesun 23.06.25 1508 0
192958 미니 아이폰에서 3가지 중 어떤 충전이 젤 빠를까요?? [3] file 494949 23.06.25 751 0
192957 미니 굿락을 건드리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8] [성공]함께크는성장 23.06.25 1367 2
192956 미니 갤럭시 유광 알류가 탁해 보이는게 알루미늄의 종특 때문이 아니었네요.. [14] file 클라비스 23.06.25 1337 1
192955 미니 앉은 자리에서 주말폰카 활용해보기 📷 [2] file 개구리 23.06.24 550 11
192954 미니 저만 무광 알류를 유광보다 선호하나요? [11] 클라비스 23.06.24 743 6
192953 미니 폴드4는 도장이 마구까지는군여 [13] F9F 23.06.24 1183 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