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mong

미니 카메라 업계는 좀 게을렀던것 같아요.

  • mong
  • 조회 수 1388
  • 2023.11.28. 18:01

카메라 얘기들이 많이 나와서... 문득 드는 생각이

 

스마트폰 업계가 좁쌀만한 센서로 어떻게든 해보려고

 

프로세서를 업글하고 합성속도를 높이고

 

야간모드 개발하고 인물모드 개선하고

 

합성으로 모자르면 AI까지 동원해가며 똥꼬쇼(?) 하는동안

 

카메라 업계는 진짜 되도않는 셔속이나 동영상 해상도같은걸로 급나누기나 하고있고

 

몇년만에 나온 신형이라고 해봤자 체감할만한건 편의성 정도지 화질에 드라마틱한 개선도 거의 없죠.

 

시대가 변한것도 있지만 카메라 업계도 참 게을렀던것 같아요. 

 

댓글
18
나르자
best 1등 나르자
2023.11.28. 18:07

고인물 시장의 폐혜였달까...

이렇게 해놔도 수백 수천만원에 팔려? 응.. 이대로만 팔께..

뭐 그런...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곰장수
best 2등 곰장수
2023.11.28. 18:12

일본 카메라가 가장 활발하게 나온 시기는

아이러니 하게도

Nx발매 직후 입니다.

일본 카메라 회사들 삼성 견제가

어마어마 했어요.

[곰장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곰장수 님께
2023.11.28. 18:1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파랑새
2023.11.28. 18:15

삼성 nx계열을 아리 알렉사 만큼 발전시킬수있었으면 삼성이 원탑이었을텐데 말이죠.

삼성이.... 그렇게는 못했네요

[파랑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ong
글쓴이
mong 파랑새 님께
2023.11.28. 18:47

뭐 결과적으로 삼성은 적절할때 잘 빠졌죠. 계속 버텼으면 더 큰 손해를 봤을겁니다.

[mo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파랑새 mong 님께
2023.11.28. 18:55

전 nx1만 보면 너무 아쉬워요.

바디는 진짜 잘뽑았어요.

프로 시장에서도 인기 많았구요.

렌즈군만.... 삼양하고 좀 잘했더라면...

타사(s사)은 광학 기술이 모자르면 타사와 협업으로

지금은 기술력 받아서 렌즈(자이스)도 진짜 잘뽑았구요. 35mm 풀바디에 글로벌 센서 상용화에...

저도 수입 카메라 별롭니다 특히 메뉴셋팅이나 말씀하신 내용 모두 너무 공감되요.

[파랑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86N
SM-G986N 파랑새 님께
2023.11.28. 19:58

카메라 접고 그 카메라 인력들 싹 다 스맛폰 카메라로 옮겼으니 이건 시류를 잘 탄거라 보여집니다. 일본 메이커들 텃세랑 브랜드 선호도 같은것도 무시할 수 없구요.

[SM-G986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tdpc
2023.11.28. 20:14

오만하죠. 신제품 성능 다 그대로고 사실 부족하기까지 한 수준인데 급나누기나 하고 있고.

 

국내에서 팀킬 어쩌구 소니가 미쳤어요 캐논이 미쳤어요 전부 바이럴이더라고요. 바이럴 컨텐츠가 아닌게 없을 정도로 광고비는 많이 대주면서 제품은 비싸기만 합니다.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파랑새 tdpc 님께
2023.11.28. 18:36

삼성 광학실력이 괜찮나요??

[파랑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unic*
lunic*
2023.11.28. 19:38

수요가 쪼그라드는 시기에는 뭘 어떻게 해도 하향세를 막을 수 없고 그래서 상대가 무엇을 하고 있든 안일하고 오만하게 보일 뿐이죠. 디버전스의 끝에 있는 밥벌이 기계 개발진들은 생각보다 모자라지 않고 컨버전스의 첨단에 있는 개발진들은 생각보다 전능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봅니다.

[luni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2023.11.28. 19:44

이건 수요층 차이로 봐야겠지요.

스맛폰은 대충 찍어도 그럴듯하게 보이게 하는게 핵심이고,

카메라 시장은 스맛폰때문에 시장 다 죽고 전문가 영역만 남은거나 마찬가지니까요.

그런 수요에 맞추려면 극단 영역(초고속, 초저도 등) 충족시켜주는게 중요하지요.

AI로 없는 픽셀 만들어서 그럴듯하게 보이는 짓 했다가는 오히려 배척받습니다.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gamma 님께
2023.11.28. 19:53

아무리봐도 개인적으로 DSLR, 미러리스의 사진, 동영상 품질이 스마트폰의 그것보다는 더 압도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네요.

 

대부분의 경우에는-프로 영역을 제외한 분야에서는-스마트폰으로도 충분하겠지만, 불가침으로 여겨지는 일부 프로의 영역마저 침범할 수 있을지는 솔직히 의심이 강하게 듭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R
S.R Oxc.suga 님께
2023.11.29. 09:22

판형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게 영상입니다. 당장 직캠만 검색해보셔도 바로 아실 겁니다.

[S.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Q
PQ gamma 님께
2023.11.28. 22:48

진짜 문제는 카메라 시장과 컨텐츠 시장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점이죠. 카메라 시장은 진짜 전문가들을 타겟으로 하지만, 카메라로 찍은 컨텐츠가 진입해야할 시장은 점점 아마추어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진찍고 영상찍는다고 하면 일단 화질, 해상도 이런게 중요했던 시대였고, 뭘 만들겠다 하면 일단 카메라부터 사고봐야 했고 유통도 방송사, 영화사 끼고 들어가야 했었죠. 

그런데 지금은 그게 아니니까요. 당장 TV예능보다 유튜브가 재밌는 시대고, 그나마 규모 좀 있다는 채널들도 제작비 아끼겠다고 카메라에서 액션캠, 휴대폰등으로 대체하려는 추세라, 이대로 흘러가면 정말 어지간히 큰 대형 프로덕션이 아니고서야 수요를 찾기 힘들겁니다. 

까놓고, 말하면 제일 애매해질게 캐논, 니콘, 소니 컨슈머 제품군들입니다. 정말 화질이 중요한 사람들은 이미 미러리스가 아니라 디지털백 쓰고 영화에서는 레드나 아리 쓰는게 현실이죠. 

수요층은 차이가 있겠지만, 그 수요층을 구분하는 기준이 달라진게 문제입니다.

[PQ]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R
S.R PQ 님께
2023.11.29. 09:23

그래서 소니 FX시리즈가 잘 팔리죠. 카메라 회사들이 마냥 손 놓고있는게 아닙니다.

[S.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2023.11.29. 01:28

되도 않는 셔속이나 동영상 해상도로 급나누기 하는건 스마트폰도 똑같죠.

카메라 화소수, 렌즈 갯수, 센서 크기, 화각 등으로 급나누기 해서 카메라 성능이 1순위인 사람들은 플래그쉽 모델 구매하잖아요.

그냥 그 때는 기술 수준이 낮아서 어쩔 수 없었던 겁니다. 지금은 시간이 지나서 기술이 발전해서 작은 센서로 이것저것 할 수 있는 거구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R
S.R
2023.11.29. 09:29

1. 리드아웃 스피드가 비약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2. 이윽고 물리 셔터가 사라진 기종이 등장하였습니다. 즉, 폰카처럼 빠른 다중합성이 가능해지는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센서가 커질수록 발열뿐만 아니라 리드아웃 속도가 증가하고, 물리 셔터로는 속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3. 카메라가 발전이 없는게 아니라 폰카의 화질이 지나치게 별로였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4. 인물모드같은 잡다한 기능은 dslr-like여서 굳이 구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S.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흑우를위한나라는없다
흑우를위한나라는없다
2023.11.29. 23:04

1.스마트폰과 DSLR의 센서 크기자체가 어마어마하게 다르므로 프로세서 빨로 뭔가 하기 힘듭니다.
2.스파트폰과 파이자체가 달라 프로세서 성능이 가격대 성능비로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3.셔속으로 급나누기는 진짜 나쁜놈들이지만 그정도는 스마트폰도 똑같이 하고있어서...
4.스마트폰이 야간모드 개선하고 ai 똥꼬쇼 하는동안 센서와 AF에 몰빵했습니다. a7s3의 야간촬영 능력, a9m3의 단점없는 미친 글로벌센서, 그리고 신제품에 적용된 ai af성능.
5. 화질은 지금도 차고넘쳐서 a7r5같은 바디들은 한장당 용량이 부담스러워서 쓰기 꺼려질 정도입니다. 추가로 신형 렌즈들 꾸준히 내면서 고화소 대응도 하고있습니다. 
6.동영상 급나누기는 아쉽지만...발열로 항상 이슈인것만 봐도 프로세서문제로 보이고 이건 센서크기랑 처음에 말한 시장크기 차이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7.전문 직업 특성상 스마트폰에서 하고있는 후보정이나 ai프로세싱은 고퀄이 필요해서 이 작업은 포토샵이나 다빈치리졸브 프리미어 등이 맡고 있어서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딱히...(어도비 화이팅...?)

결론은 스마트폰 소프트웨어는 애플이 캐리하고 있고 카메라는 소니가 캐리중입니다.
각 업체 없었으면 10년전이랑 별 차이 없었을 것 같습니다.

[흑우를위한나라는없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301 13
핫글 미니 갤북엣지 수령했습니다 [13] file 김링크 24.06.20 865 14
핫글 음향 갑자기 왠 삼각기둥에 왠 투명 뚜껑입니까... [8] updatefile Stellist 24.06.20 1192 10
핫글 미니 버즈3 프로 케이스 유출(+추가) [33] file 애갤삼아 24.06.20 1597 8
205238 미니 유튜버 나오는 건 여전하군요 ㅎㅎ 프로입털러 20.09.14 177 0
205237 미니 윙 출시기사에 대한 내티즌 반응을 알아보자 file 심플리 20.09.16 177 0
205236 미니 토요일 [1] file Thomasp5675 20.09.18 177 0
205235 미니 그러고 보니 50mp gn1은 Vivo 전용이었던 걸까요? [3] Eidio 20.09.20 177 0
205234 미니 사진 잘 찍는 방법 알려주실분 [1] pigini 20.09.22 177 0
205233 미니 usb-a(m) to usb-c(f) 젠더를 사봤는데 [2] file 이타카노 20.09.23 177 1
205232 미니 윙 중고 존버합니다..... [1] file 사랑 20.09.23 177 0
205231 미니 삼성 AI 포럼 2020 Thomasp5675 20.10.06 177 0
205230 미니 개발자에서 오픈베타 바로 올라갑니다 [1] file 여가어딥미코 20.10.06 177 0
205229 미니 삼성은 액티비티를 언제 지원하려나요 [성공]함께크는성장 20.10.08 177 1
205228 미니 왔슈 [3] file 후루꾸루 20.10.08 177 4
205227 미니 [SAIF 2020] Teaser: Samsung AI Forum 2020 Live Streaming | Samsung Thomasp5675 20.10.12 177 0
205226 미니 무슨 애플이 5G 개발한줄알겠어요 [1] 버르닝 20.10.14 177 0
205225 미니 프로맥스 OIS 짐벌인가봐요 dlwlrma 20.10.14 177 0
205224 미니 OnePlus Buds Z - Set Your Music Free Thomasp5675 20.10.14 177 0
205223 미니 키즈카페 세팅 점심나가서먹을것같애 file 까마귀 20.11.01 177 1
205222 미니 A55는 언제쯤.. 긴닉네임2002250504 20.11.05 177 0
205221 미니 빅서 여전히 홈팟 스테레오 지원을 안하는군요 소나기 20.11.13 177 0
205220 미니 스냅챗, 틱톡 경쟁서비스 'Spotlight' 발표 [2] 스퀴니 20.11.24 177 0
205219 미니 어쨋든 바형 플래그십은 울트라 한정이라고 보면될듯하네요. [1] 흡혈귀왕 20.11.25 177 0
205218 미니 폴드2 베타 절대 하지마세요 폴드엣지 20.11.25 177 2
205217 미니 샤오미 등장 [1] 스퀴니 20.12.02 177 0
205216 미니 마이크로소프트, Azure용 서버와 Surface에 넣을 Arm 기반 CPU 개발 추진 길가던풋맨 20.12.19 177 1
205215 미니 갤워티 라이브 배경화면들 이쁜데 몇개 없는거 아쉽네요. [1] 이시우배찌 21.01.06 177 0
205214 미니 이러고서 [2] Fervidex 21.01.07 177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