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GLaD

미니 요즘 엘사가 핫한데

  • GLaD
  • 조회 수 386
  • 2020.02.03. 15:35

보니까 투트랙 및 매스 프리미엄 기사가 이번 엘전 컨퍼런스콜에서 나온 이야기로 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컨콜 전문을 찾아봤습니다.

 

Q. (MC사업) 신규 5G 폰이 출시돼도 마케팅 비용이 증가해서 적자폭이 확대되는 것 같다. 5G 폰 확대와 ASP 상승을 통해 적자폭을 유의미하게 줄일 수 있을지 말해달라.

 

A. 올해 5G 글로벌 시장의 경우,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업자가 전국망 구축을 본격화하고, 일본은 도쿄올림픽 개최로 공격적 투자가 예상된다. 북미, 유럽, 일본 등 자사 전략 시장에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자사는 5G 모델에 대해서 프리미엄부터 보급형까지 강화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글로벌 5G 시장의 지역 특성 감안해 차별적으로 지역에 맞게 공급할 계획이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5G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이통사의 가입자 확보 경쟁이 심화하고 프리미엄 제품의 공격적 마케팅이 전개될 것이다. 시장 상황을 감안해 프리미엄 사양을 갖춘 LG V60를 출시해 초기 수요에 대응하고, 자사 마케팅 비용도 사업자의 공격적 마케팅 비용 지출로 어느 정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 시장은 5G 시장이 활성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통사간 경쟁도 작년보다 소폭 둔화했다. 자사는 더 많은 고객이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새로워진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합리적 가격을 갖춘 5G 제품을 선보여 매출을 확대하고자 한다.

 

손익 관점에서 북미, 유럽 시장에서 이통사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인한 자사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 그간 추진했던 생산지 이전 및 통합 등 구조개선 노력을 통해 원가절감 면에서도 손익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Q. (MC사업) 스마트폰 사업 매출이 위축됐다. 고정비가 계속 부담이 될 것 같다. 매출 변동과 무관하게 최소한 BEP나 약간의 이익을 낼 수 있는 전략이 가능한지, 높은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지 않으면 적자가 지속되는 것인지 말해달라.

 

A. 그동안 생산지 재편, 부품 포트폴리오 재구축, ODM 확대 등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해왔다. 수익구조 측면에서 어느 정도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 수요 정체, 경쟁 심화로 여전히 매출이 부진했다. 그로 인해 이러한 구조개선 노력 효과가 상쇄된 면이 있다. 인위적으로 구조조정을 추가할 계획은 없다.

올해 본부 전체의 전략은 사업 턴어라운드를 위한 매출 성장 모멘텀 확보에 있다. 올해는 5G 시장이 활성화되고 애플의 진입 등으로 5G 시장의 폭발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자사는 프리미엄은 물론 매스 프리미엄 및 보급형 5G 제품을 출시해서 애플, 중국 업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북미, 유럽, 한국, 일본 등 전략 시장에서 5G 수요를 선점하고, 보급형 제품은 소비자 관점의 핵심 사양 우위 확보와 함께 ODM을 적극 활용해 원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매출 확대를 추진하겠다.

또 2021년에도 차별화한 핵심 제품을 출시해서 시장 지위를 회복하고 고객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 선순환 사업 구조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그간 구조개선 노력과 함께 이러한 매출 확대가 현실화하면 의미 있는 사업 성과 개선이 빠른 속도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출처는 디일렉입니다.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4881

이번 삼성 컨콜 전문도 있으니 관심있으시면 한번 보세요.

 

 

제가 보기엔 지금의 V(그리고G)랑 Q 사이에

삼성 A90처럼 '5G 전용 매스 프리미엄 라인업'을 새로 낸다는 이야기로 보이는데요...

V(그리고 G)는 그대로 가구요.

 

뭐 행복회로라면 행복회로겠습니다만 ^^;;

GLaD
Cake is True.
댓글
9
GLaD
글쓴이
GLaD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2.03. 15:37

본문이 그렇지 않을 것 같다는 내용인데 안 읽으셨나보군요;

[GLa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공]함께크는성장
[성공]함께크는성장 GLaD 님께
2020.02.03. 15:41

북미와 유럽에서는 5G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이통사의 가입자 확보 경쟁이 심화하고 프리미엄 제품의 공격적 마케팅이 전개될 것이다. 시장 상황을 감안해 프리미엄 사양을 갖춘 LG V60를 출시해 초기 수요에 대응하고, 자사 마케팅 비용도 사업자의 공격적 마케팅 비용 지출로 어느 정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 시장은 5G 시장이 활성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통사간 경쟁도 작년보다 소폭 둔화했다. 자사는 더 많은 고객이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새로워진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합리적 가격을 갖춘 5G 제품을 선보여 매출을 확대하고자 한다.

 

북미 유럽에서 V60으로 초기수요 대응할거고

한국에서는 적당한 5G 위주로 낼거라는데

어디가 그렇지 않은건지 모르겠네요

 

밑에서 나온 국내 V60 드랍썰과도 일맥상통하는 거 같은데요

[[성공]함께크는성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2.03. 15:43

자사는 프리미엄은 물론 매스 프리미엄 및 보급형 5G 제품을 출시해서 애플, 중국 업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북미, 유럽, 한국, 일본 등 전략 시장에서 5G 수요를 선점하고

 

이문구를 말씀하시는거 같습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공]함께크는성장
[성공]함께크는성장 스퀴니 님께
2020.02.03. 15:47

그러니까 그 세부 내용을 본문에 적힌 그 내용으로 얘기한거고

지금 댓글 달아주신 건 그거 요약한 수준이라...

 

아무리봐도 컨콜 내용으로는 V60 국내 드랍이 높아보이는데 말이죠

[[성공]함께크는성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LaD
글쓴이
GLaD 스퀴니 님께
2020.02.03. 15:48

그 부분도 맞습니다. ^^

[GLa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LaD
글쓴이
GLaD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2.03. 15:47

본문 마지막에 적어둔대로,

제가 보기엔 지금의 V(그리고G)랑 Q 사이에

삼성 A90처럼 '5G 전용 매스 프리미엄 라인업'을 새로 낸다는 이야기로 보이는데요...

V(그리고 G)는 그대로 가구요.

 

지금까지 G8, V50 모두 묘하게 너프먹은채로 북미 및 글로벌 출시했는데, 이번엔 그렇게 안하겠다는거구요.

[GLa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공]함께크는성장
[성공]함께크는성장 GLaD 님께
2020.02.03. 15:51

그러니까 전 그거 보면서

플래그십 버리고 어정쩡하게 매스 프리미엄 내봤자 뭔 소용이냐

라는 얘기를 댓글로 단 거고요

 

컨콜 내용에서 한국 시장 내용이 그거 아닙니까

매스 프리미엄 라인업 새로 만들어서 그거 위주로 내겠다

V60은 북미와 유럽 위주로 내겠다

이거잖아요

V60을 지금 당장 국내에 낸다는 얘기가 없고요

 

플래그십 만들어도 개판 오분전으로 만들다가

이제 겨우 정신차리네 마네 하는 애들이고

있는 플래그십 하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감당못해서 골골대는 애들이

매스 프리미엄 만들어서 내봤자 뭔 소용이냐는 얘깁니다

[[성공]함께크는성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LaD
글쓴이
GLaD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2.03. 15:58

한국에 출시하는 건 어차피 당연하니, 언급을 안한게 아닌가 싶다는 이야기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플래그십을 이제 한국에는 안 내겠다는 이야기도 없죠. ^^;;

 

물론 SW 부분 말씀은 저도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인력을 더 뽑지 참...

매스 프리미엄 언급은, 지금의 A90처럼 플래그십은 부담스러워서 선뜻 못 사는 사람들을 공략하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중저가시장도 이제 무시 못할 정도니까요... 지금의 Q는 미드레인지라기보단 로우레인지에 가깝구요.

[GLa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58 13
핫글 미니 I'm not looking forward to the Fold6 [21] iceuniverse 24.06.07 1326 24
핫글 미니 삼성 폴더블 AS는 명불허전이네요 [11] 새벽하늘 24.06.07 1114 21
핫글 미니 24년 1분기, 유럽 갤럭시 S 시리즈 전년 대비 58% 상승 [1] file AquStar 24.06.07 416 10
44864 미니 엑시노스992 개발중 [14] 흡혈귀왕 20.02.09 1211 2
44863 미니 AP랑 RAM, 스토리지 성능은 계속 올라가는데... [8] file 흡혈귀왕 20.02.09 801 0
44862 미니 갤럭시 로고 vs 삼성 로고 투표 [17] file JamesBlake 20.02.09 1660 0
44861 미니 어차피 해상도 명칭은 다 마케팅 용어일 뿐이고 액티브r 20.02.09 179 0
44860 미니 잠망경 구조는 일반화각으로는 초점거리만 보면 폰에 풀프레임도 가능한데 [2] 액티브r 20.02.09 285 0
44859 미니 밑에 G9 스펙 공식 아니랍니다 [4] file V50 20.02.09 612 0
44858 미니 아래 G9 스펙표는 거짓에 한표 던집니다.jpg [4] file 스퀴니 20.02.09 475 1
44857 미니 오이오이 삼성... [3] file 이재용. 20.02.09 779 0
44856 미니 애플이 꺾이는 날이 올까요 [16] [성공]함께크는성장 20.02.09 438 0
44855 미니 제리아재의 레이저 2020 [5] file 레제르바 20.02.09 578 0
44854 미니 AV1 하드웨어 디코딩을 지원하는 프로세서는 이미 발표되었습니다 [3] 스퀴니 20.02.09 357 0
44853 미니 AV1 코덱 지원하는 AP는 과연 언제즘 나올런지.... [11] 흡혈귀왕 20.02.09 581 0
44852 미니 구글과 삼성 협력할만한게 카메라 말고 없는걸까요 [13] [성공]함께크는성장 20.02.08 420 0
44851 미니 넷플릭스, 안드로이드에서 AV1 코덱 적용 시작 [3] 스퀴니 20.02.08 1145 0
44850 미니 도대체 뭔 통수를 칠 예정이길래 [2] [성공]함께크는성장 20.02.08 594 0
44849 미니 1인치 센서와 풀프레임의 주간 상황에서 구별 [5] 니내아니 20.02.08 559 0
44848 미니 삼성이 절대 성능으로 애플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요 [9] [성공]함께크는성장 20.02.08 501 0
44847 미니 구글이 협력한다면 디아블로 20.02.08 120 0
44846 미니 실사용에 영향을 미칠만한 통수가 너무많아서 감이안오네요 ㅋㅋ [5] S7엣지 20.02.08 400 0
44845 미니 V60에 1/1.7인치 64MP IMX686이 달린다해도.... [12] file 흡혈귀왕 20.02.08 508 0
44844 미니 구글 크롬, 순차적으로 HTTPS사이트의 HTTP로 된 링크 다운로드 차단 예정 스퀴니 20.02.08 302 0
44843 미니 1년에 3,600만대 vs 4개월에 6,100만대 [16] Havokrush 20.02.08 408 0
44842 미니 갤럭시 Z 플립 가죽케이스 [8] file Stellist 20.02.08 626 0
44841 미니 노트20은 무조건 엑시노스가 들어간다면 말리냐 rdna냐. [9] 갤럭시S20존버 20.02.08 406 0
44840 미니 서피스 네오 사고 싶네요. [2] file sands 20.02.08 28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