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저 법안이 비단 애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산업전체에 적용되는 규제이기떄문에 애플뿐만 아니라 구글 기타 등등에 전부 적용됩니다.

 

예를들면 삼성도 MST기술 서드파티한테 무상으로 열어줘야할껄요?

(다행히도 EU쪽에서 MST기술을 사용하지는 않겠지만요)

 

 

이게 애플을 단순히규제하는게 아니라 산업전반에 광범위한 적용을 담고 있고

약간 남용 수준까지 너무 초월적인 규제이기도 해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8
Stellist
1등 Stellist
2022.07.06. 17:27

무상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미 MST 서드파티에 개방되어 있지 않나요? KB페이 같은거 MST로 작동하는거 같던데...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29

아... 무료가 아니었군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Stellist 님께
2022.07.06. 17:31

저의 짧은 지식으로도 MST API가 따로? 있는거로 알고 있진 않습니다.

 

MST가 완전 개방되었다면 조금더 산업전반에 활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요그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32

유럽 법안을 보면 서드파티 개방를 허용만 하면 되는걸로 보이는데요. 그리고 애플같은 경우에는 아예 nfc결제를 서드파티에 일절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오직 애플페이만 쓰라고 강요하고 있죠. 삼성이 수수료 받고 허용하는거랑은 차원이 다릅니다.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57

네 두가지 방식을 보면 삼성이 조금더 개방적인건 사실이나 두개 모두 EU법안 취지에 맞는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사과는 확실히 그쪽 개방을 반쪽만해놔서 개발사들이 개발을 못합니다.
삼성은 결제에 대해서 계약을 통해 삼성페이 기능으로써 정해진 기능만 사용하도록 개방합니다.

둘다 EU법안에 기대치에 못미쳐요.

 

사과는 NFC전반을 안드로이드 수준까지 개방해야하고
삼성은 삼성페이 브랜드 계약을 안맺더라도 결제 포함 API를 전부다 공개해야할걸요?

 

저 법안이 가지는 문구가 사용자 H/W기능에 무제한 엑세스를 의미하는데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54

그리고 돈 받는것도 명확하지 않지만 아래글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 비지니스 이용자에게 더 부당한 조건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서 사과주식회사가 애플페이 운영하는 자회사한테 결제 NFC 기술 비용 무상으로 처리하면 다른 비즈니스 이용자에게도 무상으로 처리해야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2등 요그
2022.07.06. 17:28

무상으로 열어줘야하는지는 법안을 자세히 살펴보아야합니다. 그리고 삼성은 이미 mst를 페이코랑 kb앱에 풀어주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30

수수료를 받는지 여부는 저도 법안 자체를 살펴보지 않아서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법안취지를 보면 무조건적인 개방으로 보여지네요.

그리고 MST를 선별된 파트너한테 수수료 여부에 관계없이 열어주는게 아니라 API수준으로 평등하게 개방하는것이라 지금수준과 차원이 다를것으로 보여집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G8
3등 LGG8
2022.07.06. 17:31

이참에 국내도 nfc가 대세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LGG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2022.07.06. 17:37

전혀 다른 내용으로 보입니다.

특히 MST는 예로서 매우 부적절하게 보이네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노멀라이즈 님께
2022.07.06. 17:46

어떤 부분이 전혀 다르게 보이시는지 말씀해주시겠어요?

MST가 EU지역에서 안사용해서라고 한다면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네요.

근거리 통신 기술에 해당하고 EU지역에서 H/W상 장착되서 판다면 아래 EU 디지털 마켓법에 따르면 공개해야하는건 맞는것처럼 보여지는데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52

MST는 마켓도 아니고

기술적인 우위?라고 할만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독점이라고 볼만한 부분도 없죠.

국내 점유율이 높으니 독점처럼 보이기야 하겠지만 어차피 카드를 좀 더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정도 입니다.

MST 없다고 물건 구매 못하는것이 아니죠. NFC도 있고 실제 카드를 써도 된다는거죠. 다만 좀 더 불편한 정도일 뿐

 

말씀하신 대로 MST가 문제라면 결국 페이 서비스 전부가 문제가 될것이고 애플과 구글은 페이 서비스도 문제가 되니 더 아프겠군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노멀라이즈 님께
2022.07.06. 17:53

아뇨 저 법안의 진짜 문제는 일정규모이상의 빅테크 기업에 적용되는거고 점유율, 독점 그런거 없이 그냥 닥치고 개방이니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길 초월적인 법이라는점입니다.

법조항에 저런거없이 그냥 일정규모이상 기업이만 싹다 공개하라니까니까 굉장~한 법안이죠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8:08

음... 게이트키퍼는 찾아봤는데 일종의 블랙리스트 처럼 관리될걸로 보입니다. DMA 자체엔 규모에 관한 구체적인 얘기는 없어요.

 

현재까지 첫번째 DMA 쳐맞을 회사가 어디인가 찾아봤는데 메타, MS, 구글, 애플, 아마존 정도가 거론되고 있고 여기서 MS는 뺄까 말까 이런 얘기만 나오고 있습니다. 이 리스트가 업데이트 가능성은 있지만 당장의 문제는 아니란거죠.

 

삼성은 휴대폰을 제외하면 글로벌 마켓이라고 할 만한 거대 플랫폼을 가진 회사는 아니라서 너무 유권해석을 확대해서 하신것 같고, 이 법의 사례들이 나와야 판단이 될 것 같습니다. 특허 기술까지 법으로 강제 오픈하면 위헌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불심 님께
2022.07.06. 18:11

아 삼성이 안들어간다면 나름신기하면서도 다행이네요. 저도 근데 이런 코멘트를 다는게 다를거라 생각해서 조금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만, 말씀하신대로 특허기술이 법으로 강제 오픈하는거 자체가 너무 초월적인 부분이 좀 있어서 저게 과연 시행될 수 있을까 싶긴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8:13

그래서 제가 위헌 얘기를 한 것입니다. 유럽이든 대한민국이든 기본적으로 '헌법' 레벨에서 지적 재산권 보호 얘기가 나옵니다. 그래서 이 범위를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API들이 public으로 전환될 순 있겠지요. 하지만 MST는 좀 얘기가 다를것 같습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아이
우주아이
2022.07.06. 17:53

애플의 폐쇄정책과 비교하는 건 개인적으로 좀 억지로 보이지만

말씀대로 삼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거니깐요

하지만 전 솔직히 삼성보다는 애플쪽만 보고 싶네요

앱선대원군 방식이 솔직히 개열받거든요

[우주아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32 13
핫글 미니 삼성 서비스센터 직원이 고객 휴대폰 갤러리 훔처본 사고가 터졌군요. [39] update 1o92nd 24.06.05 1299 26
핫글 미니 파운드리 2위가 절대 의미 없는 수치가 아니죠 [29] 흡혈귀왕 24.06.05 1086 16
핫글 미니 LG g5는 왜 망했을까? [22] updatefile 펄럭펄럭 01:14 771 13
165386 미니 혹시 가능하면 락스타 업뎃 받으신분들 공유가능할까요 모카멜 22.07.06 257 0
165385 미니 아이폰 14 라인업,15 라인업 AP 급나누기 시작시 [5] file 다람쥐 22.07.06 731 0
165384 미니 AP 재탕한 신작이 구작보다 평이 좋았던.jpg [5] file 클래식크롬 22.07.06 1239 6
165383 미니 갤럭시 S22 시리즈가 그닥 잘 팔린게 아닙니다. [13] file 다람쥐 22.07.06 1687 13
165382 미니 S23 시리즈 AP 변수는 엑시노스2300 개발 취소입니다. [14] file 흡혈귀왕 22.07.06 1651 7
165381 미니 갤럭시탭s8 체감가 40만 후반대 ㄷ ㄷ ㄷ [13] 조형기의운전교실 22.07.06 1458 4
165380 미니 나쁜거 잘따라한다지만 갤럭시에서 칩나누기는 어림도 없죠 [10] AquStar 22.07.06 926 1
165379 미니 폴드4 UDC개선이 가장 기대되네요. file GalaxyZFold3 22.07.06 653 1
165378 미니 데이터쉐어링 이용하시는분 계신가요? [23] 범퀴 22.07.06 789 1
165377 미니 샤오미 12S 시리즈 여전히 8K@24fps 촬영이 한계네요. [1] 흡혈귀왕 22.07.06 283 0
165376 미니 폴드4 신형배터리 탑재가 안되서 아쉽네요 [6] 갤럭시S22 22.07.06 776 1
165375 미니 솔직히 폴드4는 2TB 나와야죠 [3] file MrGom™ 22.07.06 534 3
165374 미니 애플의 행보가 정말 당혹스러운건 맞습니다 [12] 1q2w3e4r! 22.07.06 1180 4
165373 미니 너무더워서 무선충전 안쓰고 유선충전 써야겠슴다 [2] 완벽한무선충전 22.07.06 318 1
165372 미니 아이퐁14 시리즈가 A15랑 A16 이원화를 한다면.... [4] 흡혈귀왕 22.07.06 640 2
165371 미니 50짜리 중급기 샀슈 [23] file 하늘목장 22.07.06 1583 25
165370 미니 애플이 아이폰 14 프로에만 더 힘 싣는 이유가 다 있었군요. [3] 다람쥐 22.07.06 916 4
165369 미니 아론황 미밴드7 프로 언박싱&첫 인상 [1] Angry 22.07.06 544 3
미니 저 법안이 비단 애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18] Futuristics 22.07.06 725 1
165367 미니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더이상 보여줄게 없다??? [10] 외로운외뿔고래 22.07.06 801 6
165366 미니 13프로도 한여름은 무리군요 [30] 아이폰13프로 22.07.06 1072 5
165365 미니 S22U는 지금 날씨에 발열 어떤가요?? [5] 비밀이야아 22.07.06 606 3
165364 미니 S22U 고민되네요 뚜따로 광각 모듈 교체해야할런지;;; [16] file 흡혈귀왕 22.07.06 661 2
165363 미니 애플 서드파티 스토어를 반대 하신다면 AurA 22.07.06 411 6
165362 미니 역대 1인치센서 스마트폰 [7] 전문가 22.07.06 940 3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