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22년 상반기 전자지급서비스 이용현황 (한국은행)

한국은행 (Bank of Korea)가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른 전자지급서비스 통계와는 별도로 2016년부터 조사 및 발간하는 전자지급 서비스 이용현황 (2022)년도 버전입니다.

 

* 간편결제서비스의 정의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된 (2015.03) 이후 간편 인증수단(비밀번호,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또는 송금서비스

 

* 전체 시장 규모

2022년 상반기중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실적 (일평균)

- 이용건수 : 2,137만건 (전기대비 8.3% 증가)

- 이용금액 : 7232억원 (전기대비 10.7% 증) 

 

* 최근 3년 이용금액 

mspaint.png

 

[1]삼성페이의 결제실적

삼성페이의 결제실적은 LG페이와 혼재되어 등재되어있고 특정 페이서비스에 대한 이용 현황은 별도로 추산되지 않습니다. 다만, 삼성페이 점유율이 90% 라고 가정할경우, 휴대폰 제조사에 해당하는 일일 총 금액 1703억원의 90%인 1532억원 (일평균)을 연간 (365)으로 환산시 50조 9180억원의 이용금액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2]전자금융업자의 결제금액과 비중은 매우 높은데 왜 경쟁이 치열하고 점유율이 낮다고 평가되는건가요?

휴대폰 제조사는 단 2곳 (삼성페이,LG페이)인데 반해 전자금융업자의 페이 서비스 규모는 은행권,카드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전체 페이 (심지어 조사안된곳도 있음)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장이 크지만 경쟁하는 페이 사업자가 너무 많아 개별적인 한개 페이당 갖는 점유율이 낮고 경쟁이 치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애플페이가 들어올경우 전 카드사 기준 지불하는 수수료가 몇백억인가요?

애플페이의 국내 수수료율은 알려져있지 않으나 정설적으로 알려지는 수수료 0.15%를 기준으로 가정하고, 국내 컨택리스 단말기가 보급되지 않았음을 감안하여 50%의 가중을 두어 전체카드사 도입시 이용금액을 추산하면 다음과 같이 예상금액을 추산할 수 있습니다.

 

[A] 삼성페이 일평균 금액 (전체금액의 90%) : 1532억원

[A1] 국내 스마트폰 시장 애플 점유율 (2022.06기준) : 20%

[B] 컨택리스 보급이 더딘것에 따른 결제 가중치 (50%) 

[C1] 일평균 결제금액 : 153억 2천만원 

[C2] 연간으로 환산 결제금액 : 5조 5918억

 

[D] 연간 애플페이 수수료 (0.15%-- 이 수치는 알려진바가 없음으로 가정) : 83억 877만원 

[ETC] 연간 컨택리스 보급율에 상관없이 삼성페이만큼 결제한다고 가정했을경우 수수료 : 167억 754만원

 

[A]의 삼성페이 점유율은 2022.06기준 LG스마트폰 점유율 10%를 적용하여 90%로 가정하였습니다.

[B]는 가정치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당분간은 50%보다 더 낮을것으로 예상합니다만, 50%를 가정하여 적용)

[C]는 일평균 결제금액으로 50%만 애플페이로 결제했을때 예상금액입니다.

[C2]는 일평균 결제금액을 365을 곱한것입니다.

[D]의 애플페이 수수료는 알려진바가 없으므로 추정치입니다.

[ETC]는 컨택리스 보급에 관계없이 100% 삼성페이처럼 결제시 스마트폰 점유율에 따른 가정입니다.

 

[3-1] 애플페이 수수료 0.15%는 가맹점이나 소비자가 지불하게 되나요?

애플페이 수수료 0.15%는 가맹점이나 소비자가 지불하지 않습니다.

금융감독당국이 도입시 '직접적'으로 이 수수료를 소비자나 가맹점에 떠넘길 수 없음을 명시했습니다.

 

다만, 카드사는 페이 수수료를 금감원에 결제원가에 포함해달라는 내용이 단독보도가 있었습니다.

 

https://www.etnews.com/20230316000187

 

결제원가에 포함시 카드사가 4년 기준으로 산정되는 카드 수수료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것으로 보여지며 다음 수수료 산정은 2024년에 이루어집니다. 페이수수료가 결제원가에 포함시 카드사가 가맹점에 카드 수수료 인상에 탄력을 받아 인상시 최종적으로 간접적으로 부과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금감당국이 이를 거부한 상태입니다.

 

[4] 간편결제가 일평균 7천억원을 차지하는 시장인가요?

기존 삼성페이,LG페이가 차지하는 페이 시장의 일평균 결제금액은 1703억 2천원이며 연간환산시 62조 1668억원의 시장입니다. 나머지 기타 전체 페이의 경우 일평균 결제금액은 3641억 6천만원이며 연간환산시 132조 9184억원의 시장입니다. 모든 간편결제금액을 합칠경우 일평균 결제금액은 7231억 7천만원이며, 연간환산시 263조 9570억 5천만원의 시장입니다.

 

한국은행 통계에서 조사된 페이사업자는 51개로 51개 사업자 전체가 일 평균 7천억원의 결제금액을 발생한다고 보면 맞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5] 카드 시장 점유율에 체크카드 실적은 포함하나요?

카드 시장 점유율에 체크카드실적은 별도로 산정하며 신용판매 실적이 보통 신용카드 점유율을 평가하는 요소이기때문에 체크카드 이용실적은 카드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단, 이 한국은행 통계에서는 체크카드 실적을 포함한 통계치를 제시했습니다.

따라서 차후 매 분기마다 금융감독원 공시자료에 따른 신용카드사 점유율에는 체크카드에 대한 결제 비중은 제외되나, 애플페이 수수료등은 한국은행 통계치에 체크카드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수료는 체크카드 이용 금액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위 계산 전체가 삼성페이 금액을 기준으로 한 가정치입니다.)

 

[6] 페이 시장 전망이 좋은편인가요?

페이시장이 전망이 좋은 부분과 안좋은 부분 모두 전망 가능한 상태입니다.

작년기준 이용건수 9.7%, 이용금액 11.7%를 증가한 아직 성장세가 뚜렷한 시장입니다.

 

한국 사회가 고령화가 지속됨에 따라 60대이상의 모바일뱅킹 이용율은 20%대에 불과한만큼 점점 고령화에 진입하는 한국사회 특성상 고령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것으로 보이며, 현재 출산율등을 고려한다면 페이시장도 어느정도 성장후 정체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본 글의 국내 스마트폰시장 점유율은 갤럽 스마트폰 조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09

 

삼성스마트폰 점유율 : 66%

애플아이폰 점유율  : 20%

LG스마트폰 점유율 : 10%

팬택,기타,응답거절 : 4%

 

* 본 통계에서 말하는 페이 사업자

- 전자금융업자 (35개) 

카카오페이(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KG이니시스(KPAY), 토스페이먼츠(Paynow), 하렉스인포텍(UBpay), NHN페이코(페이코), 섹타나인(카드자동결제), 스마트로(SS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페이), G마켓글로벌(스마일페이), 에스에스지닷컴(SSG페이), 롯데멤버스(L.pay), 인터파크(원페이), 우아한형제들(배민페이), 쿠팡페이(쿠페이), 십일번가(SK페이), 다날(NC페이, 아프리카페이 등), 쿠콘(체크페이), 위메프(위메프페이), 세틀뱅크(세틀뱅크머니), 코나아이(코나카드 등), 한국조폐공사(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차이코퍼레이션(차이페이), 통통(센드), 뱅크샐러드(뱅샐머니), 한국선불카드(모바일팝), 로드시스템(로드페이), 불루월넛(Took), 지머니트랜스(지머니페이), 인스타페이(인스타페이), 당근페이(당근페이 결제 서비스), 한국전자영수증(원터치페이), 핀샷(코인샷 머니),온오프코리아(NFC모바일 단말기 결제서비스), 비즈플레이(-)

 
- 휴대폰제조사 (2개)
삼성전자(삼성페이), LG전자(LG페이)
 
- 금융회사 (14개)
BC카드(페이북), 국민카드(앱카드, KB페이), 롯데카드(앱카드, 핸드페이), 삼성카드(앱카드), 신한카드(PayFAN), 우리카드(우리페이), 하나카드(하나1Q페이), 현대카드(앱카드),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모바일현금카드)2), 국민은행(리브간편결제서비스), 농협은행(올원페이, NH앱캐시), 신한은행(SOL Pay), 하나은행(N Wallet, 돈통 등), 케이뱅크(케이뱅크페이)
 
[7] 위 통계에서 애플페이는 없고 왜 추산치만 계산되어 있나요?
22년도에 애플페이가 출시하지 않았습니다.
 
23년도에 애플페이 통계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래 이유로 인하여 24년 전체분을 제대로 포함한 25년도부터 정상적인 통계를 볼 수있을것으로 예상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24년도 제대로 볼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만 다른 복수카드사가 애플페이를 도입하느냐, 서비스 주관사의 의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23년도 1분기 끝자락에 애플페이가 오픈 
- 컨택리스 결제 기기 보급 부진
- 온라인 결제 오픈하지 않음
- 온라인 결제 제한 사항
- 가맹점 제한등
 
 

 

 

 

댓글
1
polorbear
1등 polorbear
2023.03.26. 17:16

어우야.. 뭔 페이가.. 이리 많은지...  회사들 마다 하나씩은 다 있는듯..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41 13
핫글 미니 버즈3 "Pro"라고 불리고 싶으면 고쳐야 하는 부분 2가지 [10] TempNick 24.06.06 1327 16
핫글 음향 버즈3 진짜 오픈형인가 보네요 [15] file MrGom™ 24.06.06 1405 16
핫글 미니 스카이 필 45W PD 충전기 사지 마세요 [5] RacingMiku 24.06.06 850 15
190962 미니 [발퀄 주의] 갤럭시 버즈 프로, 에어팟 프로, 보스 콰이엇컴포트 이어버드 ANC 측정치 비교 [19] file 으하하핳 21.01.17 1117 11
190961 미니 2100은 뭔가 벤치를 떠나서.... [29] 흡혈귀왕 20.12.07 1117 11
190960 미니 찌라시)외계인. 차기 서식지 검토중 [16] 스퀴니 20.11.17 1117 3
190959 미니 카톡 논란된거 어디서 보신건가요 [19] 뇌이징 20.11.14 1117 0
190958 미니 갤럭시버즈2의 코드네임은 "다락방" [11] Eako 20.10.17 1117 5
190957 미니 갤럭시의 스크린 지문 인식은 완성됐다고 보시나요? [35] 뚜시뚜시 20.09.30 1117 0
190956 미니 One UI 3.0 폴더 & 노크온오프 기능 추가 [10] file 오토카모 20.09.16 1117 4
190955 미니 Mi10 울트라 줌성능 짱이네요 [29] file 흡혈귀왕 20.08.11 1117 3
190954 미니 애플은 ap의 성능을 낮춰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5] 노틀담의꼽추 20.07.10 1117 2
190953 미니 윈도우 멀티모니터 오늘도 1패 [7] file 긴닉네임2003291156 20.04.10 1117 0
190952 미니 삼성 생태계로 넘어가야하나요 [13] file Pepsi베어 20.03.21 1117 1
190951 미니 S20 터치샘플링 240hz라던데 [7] S20울트라짱 20.02.10 1117 0
190950 미니 폴드 경품당첨 되었네요^^ [30] 제네시스다 19.12.25 1117 5
190949 미니 지금 C type dac 킹왕짱이 메이쥬 dac pro인가요? [5] 갤폴드를쓰는겁니다 19.10.11 1117 0
190948 미니 폴드가 12만여회에서 고장난 이유.gif [3] file 크로아츠 19.10.04 1117 0
190947 미니 이폰을 기억하십니까 삼성 천만화소 디카폰.. [9] file 우주정력황제갤럭시엠 19.08.21 1117 0
190946 미니 스마트폰 직구 막히게 생겼네요;; [17] file RASBI 24.05.16 1116 1
190945 미니 왠지 S25 노멀도 8기가 탑재 할듯한 느낌이 드네요 [18] 닉넴이 24.05.10 1116 2
190944 미니 S24U 업데이트 이후 성능이 좋아진거 같네요..? [11] file 작은히포하마 24.02.16 1116 5
190943 미니 OneUI 6.1 S23 시리즈에 올라가는 AI 기능들 [6] file Stellist 24.02.05 1116 2
190942 미니 다시 나왔으면 하는 기기... [2] file MrGom™ 23.12.07 1116 7
190941 미니 갤럭시 one ui 6 기본 글꼴 [7] empineer 23.12.05 1116 4
190940 미니 속상하네요 [10] 찌그렁오리 23.11.02 1116 12
190939 미니 오늘자 14프맥 동대문 신당동.jpg [8] file 품귀문란 23.09.16 1116 10
190938 미니 좀 웃긴버그네요ㅋㅋㅋㅋ [2] file 댕밤 23.06.14 1116 9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