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200MP 조도 부족 시 50MP 업스케일링 촬영 맞다고합니다.

Screenshot_20230222_111523_Samsung Members.jpg

 

 

일단 로직 자체는 예상대로가 맞았네요...

 

근데 그 조건이 너무 극악이라 확인좀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ON/OFF 기능으로

강제 200MP 촬영 가능 여부도 요청....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31
Stellist
best 1등 Stellist
2023.02.22. 11:18

아니 이럴거면

 

그냥 일반모드/고화소모드 해서 지가 알아서 찍지 200 50 구분은 왜 해둔건지 모르겠네요 ㅋㅋㅋ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Stellist 님께
2023.02.22. 11:20

ㄹㅇㅋㅋ입니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Stellist 님께
2023.02.22. 11:21

일단 말로는 ON/OFF 기능 검토는 해보겠다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놋구놋구
2등 놋구놋구
2023.02.22. 11:24

2억촬영시 50MP로 내려서 다시 업스케일링 한다는건 어떻게 파악하나요? EXIF 정보엔 200MP로 나와서.. 따로 확인 방법이 있을까요?

[놋구놋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놋구놋구 님께
2023.02.22. 11:25

그냥 결과물 확대해봐야 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놋구놋구
놋구놋구 흡혈귀왕 님께
2023.02.22. 11:28

아 역시 매의 눈으로 확인을 해야하는군요.. 보통 저같은 사람은 50MP로 찍고 업스케일링 한건데...

오우 2억화소 끝내주네.. 이러고 살았을 듯요 ㅜㅜ

[놋구놋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치고
3등 이치고
2023.02.22. 11:25

정말 스마트폰에 고화소 센서 박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무슨 실익이 있다고...

[이치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이치고 님께
2023.02.22. 11:26

주광에서 엄청난 실익이 있습니다 ㅡㅡa;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치고
이치고 흡혈귀왕 님께
2023.02.22. 11:43

주광 크롭놀이 하지 않는 이상 큰 의미 있나요...

실익은 얻는 것만이 아닌 반대급부도 생각해야죠...

본문에도 문제를 올려놓으셨구요.

당장 미러리스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나요?

전체적인 밸런스를 보면 npu 부하도도 렌즈성능도 그렇고 오천 이하에서 센서 성능을 올리는게 현실적이라고 봅니다.

[이치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이치고 님께
2023.02.22. 11:4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이치고 님께
2023.02.22. 11:47

야간에서도 더 많은 정보를 볼수있는데요?

4b6e05e3b9b45bdd48808398e1db1d72.png

그리고

센서 성능? 마침 이야기 잘하셨네요

 

저화소 센서들보다 고화소 센서들 로직 성능이 훨씬 더 높습니다 ㅡㅡ;;;;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치고
이치고 흡혈귀왕 님께
2023.02.22. 14:34

정보량은 당연히 더 높아야죠...

그것마저 동일하면 고화소 쓸 이유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고화소센서여야만 로직성능을 올릴 수 있는게 아니잖아요?

고화소라 모든게 좋았으면 카메라쪽은 10억화소 갔어야죠...

준특수목적이기는 하나 풀프레임이 1.2천만 화소이면서 현역인 놈도 있습니다.

 

이게 정답이 있는게 아니라 선호, 기호의 문제일 수 있지만 전 풀프레임이라도 2억화소는 과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이고 화질에 환장하지만 여전히 4k 올레드 티비 쓰는 유저로서 8k영상 또한 과하다 봅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주광에 쨍한 사진 저도 좋아합니다.

과한 색역 못보고 픽셀매칭 안된 흐릿한 화면 못보는 사람이라서요.

 

다만, 잃는 것도 그만큼 크니 npu 부하를 줄이고 중저화소 rgb 센서에 로직성능 올려 밸런스를 맞추는게 저런 문제도 안보고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이치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이치고 님께
2023.02.22. 12:34

애시당초 주장하신 풀프레임이나 미러리스는 몇년째 로직 성능이

제자리인 놈들이라 비교 대상 자체가 아닙니다

 

여전히 구형 레거시 45nm 공정을 로직으로 쓰기 때문에 성능 한계가 명확하고

이런애들은 로직 성능보단 수광부 FWC 의존도가 높으니 로직 성능을 올리는게

애초에 수지타산이 맞지도 않구요

 

그리고 200MP는 결국 필요한 상황이 올수밖에 없습니다. 비디오 촬영도

8K에서 16K 넘어가면 4:3 비율 기준으로 위아래 16:9로 크롭해서 딱 16K 유효화소

나오는게 200MP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200MP가 정상 작동했을땐 50MP나 애플 48MP보다 큰 체감으로 좋고

이번 업뎃으로 촬영속도도 S22U의 108MP보다도 빨라졌으니

잘찍히면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중저화소는 애초에 시장에서 수요가 없으니 전제 자체가 안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치고
이치고 흡혈귀왕 님께
2023.02.22. 14:58

로직 성능이 별로라 가정해도 일례로 든 1.2천만화소의 그 미러리스가 s23u의 2억화소보다 결과물이 별로일까요?

플랫폼이 다르니 면밀한 비교는 어렵지만 그래도 카메라라는 관점에서 보면 렌즈부터 상대가 안되는데요...

2억화소 아니 1억화소의 절반이라도 제대로 뽑아낼 렌즈가 달려있는지도 생각해볼 문제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제 말은 고화소만이 답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기업 입장에서 어련히 이것 저것 따져가면 만든 결과물이긴한데 말씀하신 영상해상도도 8k tv, hdmi 2.1이 나온지가 언젠데 아직 native 4k 컨텐츠(리마스터 등 제외)도 생각처럼 없는 상황에 이렇게도 미리 올려놓는게 과연 의미가 있나 싶네요...

일례로 삼성에서 8k tv에 암만 힘(강제로 4k라인 성능 칼질 등)을 줘도 보급이 안되고 있죠.

 

앞서 말씀드린대로 기술의 보급을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선호, 기호가 작용하는 것 같네요.

저는 과유불급이라는 관점이라...

 

뭐... 말씀하신 부분은 잘 알겠습니다.

[이치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이치고 님께
2023.02.22. 13:26

그 1200만화소 쓰는 소니 a7s 조차 최신작은 4800만화소 센서 비닝해서 쓰지 않던가요 (...)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치고
이치고 Stellist 님께
2023.02.22. 14:47

a7s4가 나왔던가요?

요즘 고동네에 신경을 접고 살았더니 몰랐네요...ㄷㄷ

[이치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ong
mong 흡혈귀왕 님께
2023.02.22. 12:34

가로등 불빛 닿는곳인데 당연히 고화소가 더 디테일하죠. 찐 저조도로 가면 다 뭉개지는거 모르실리도 없을테고... 고화소가 그렇게 전천후면 비닝은 뭐하러 하겠습니까. 로직 성능이랑은 전혀 무관한 얘기네요.

[mo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mong 님께
2023.02.22. 12:35

로직 성능이 센서 화질이랑 관련인데 왜 무관한다고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ietoro
pietoro 이치고 님께
2023.02.22. 13:31

그냥 갠적인생각 또는 몇몇 유튭들의 애길 빛대어 본다면.. 어차피 폰카에서 고화소 자체가 의미 없다고들 많이하죠? 님 말씀처럼..5천만화소만 되도 우와할 정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걸 몰라서 구글과 사과폰이 1억화소 안만든게 아닐텐데 말이죠..

판형이 깡패다란 말이 있듯.. 구지 어렵게 2억화소 만들어서.. 그걸 광량?늘린다고 5천으로 낮추고 12mp로 낮추고.. 아마 앞으로 나올 24,25도 이대로 쭉 2억화소 가져갈텐데.. 소프트 개선?을 얼마나 해 줄지가?

[pieto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고민은배송을늦출뿐
best 고민은배송을늦출뿐 이치고 님께
2023.02.22. 11:33

20230217_173946.jpg

20230217_173936.jpg

이렇습니다.

저는 고화소 사진 엄청 좋아해요.

[고민은배송을늦출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구리
개구리 고민은배송을늦출뿐 님께
2023.02.22. 11:58

이때싶 여행기만 ㄷㄷ😈

[개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주사위내기
best 주사위내기 이치고 님께
2023.02.22. 13:06

어찌보면 당연힌 기술발전의 결과물 아닐까요?

DSLR에 비해 쳐발리는 판형, 하지만 DSLR을 압도하는 연산성능 + 딥러닝 기술의 발전을 고려했을때, 현재 기술로서 화질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택한게 고화소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그게 화질 개선에 효과가 있었는지는...... 삼성이 4년에 걸쳐서 (특히 이번 S23으로) 증명해냈다고 봅니다.

[주사위내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ida
2023.02.22. 11:37

이럴거면 2억화소 광고는 왜 하나 ㅡㅡ....소비자 상대로 사기치고 있네.

[gaid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3.02.22. 11:47

이건 제 생각은

ON/OFF 보다는 구분과, 고지만 잘 했어도 됐을거라고 봅니다.

자동 고화소 모드로 미리 고지를 한 후, 기능을 설명 했으면, 큰 문제는 없었을꺼라고 봅니다만..

개발자들은 고지를 일일히 하면 구질구질하다 여기는지,

그런거 참 안합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르자 님께
2023.02.22. 11:48

저는 UI/UX 기획자인지라 이런거 볼때마다 어처구니 없긴합니다.

"삼성 정도나 되는 대기업 애들이 이렇게 일한다고????"

 

라는 생각이 자주 들어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구리
best 개구리
2023.02.22. 11:57

0.6x 1x 3x 10x 이 렌즈 전환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광학이든 디지털이든 '줌'의 배율을 의미한다면

 

50mp 200mp는 아예 화소에 대한 명시를 해놓고 버튼을 나눠놨기때문에 광량에 관계없이 선택한 모드로 강제 촬영되어야 합니다.

 

사실 광량 조건이 널널하든 타이트하든 이해안가는 부분이에요😈 

[개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개구리 님께
2023.02.22. 11:57

맞아요 너무 조건이 극악으로 타이트하게 잡았어요.

그리고 장면 최적화 ON/OFF마냥 선택권이라도 주었어야 했구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흰하나
흰하나
2023.02.22. 16:35

정말 엄청난 ai성능으로 지금당장 2억화소보다 50mp 업스케일링으로 찍는게 1%라도 더 좋다라는 결론이 나와서 저렇게 처리하는거면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 근데 지금은 50mp 업스케일링 한것보다 그냥 2억화소로 찍은게 더 좋다라는 결과물이 있으니까 문제가 되는거같네요. 적어도 어떤 방식으로 찍히는지 표시를 해주던가 아니면 두가지 모드로 2장이 찍혀서 선택이라도 할수있어야 만족을 할거같아요.

[흰하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ietoro
pietoro
2023.02.22. 13:36

p01-06-2022_14-59-49_8.4.400.jpg

본문과 좀 어긋나는 얘길 수도 있는데..

1억화소 폰 (구글캠 강제 업스케일링 4800만으로 담은 사진입니다..)

크롭해 봐도 뭔가 어정쩡한 느낌은 없더라구요.. 단 애초 2억화소에 5천만 화소를 담는것과는 구조 자체가 다르겠지만요~^^;

제 눈엔 이정도만 되도 훌륭하지 않나 싶습니다..

[pieto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ietoro
pietoro
2023.02.22. 13:37

99.JPG

사진 맨끝? 부분 크롭한 사진..

[pieto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9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34] [성공]함께크는성장 24.06.02 1238 23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6] file AquStar 24.06.02 833 18
핫글 미니 노트7으로 회귀 [5] file 빅코 24.06.02 1017 11
186927 미니 S23 만져보고 왔는데.. [10] file IXAC 23.02.22 991 2
미니 200MP 조도 부족 시 50MP 업스케일링 촬영 맞다고합니다. [31] file 흡혈귀왕 23.02.22 713 5
186925 미니 갤북3 ar 코팅이 안들어간건 원가 절감이 맞는거 같습니다. [6] NeoSeven 23.02.22 524 1
186924 미니 갤럭시 홈미니2, 갤럭시 홈 출시소식 없나요? [5] 훌릭 23.02.22 334 0
186923 미니 미친 S23 노멀 배터리타임 [12] file Eomjunsik 23.02.22 1530 8
186922 미니 유튜브뮤직 전문통계도 있네요 file 힙스터 23.02.22 575 0
186921 미니 혹시 사운드바 잘 아시는 분 있을까요?? [10] 우어억 23.02.22 424 0
186920 미니 보호필름 중에서 AR 필름이 뭔가요? [9] KIKIRAKA 23.02.22 533 2
186919 미니 50mp expert raw 연사 속도가 빨라지면서 [3] file medicine 23.02.22 419 3
186918 미니 탭칠 민팃 무쳤네요.... [11] 민초홀릭 23.02.22 1072 2
186917 미니 S23U는 그냥 이렇게 모드를 2개로 줄이는게 나을지도 microLED 23.02.22 404 0
186916 미니 일단 삼성이 200MP 촬영을 왜 그런식으로 접근했는지 이해는되는데... [6] 흡혈귀왕 23.02.22 883 3
186915 미니 삼성의 고화소에 대한 접근법이 아쉽습니다 [6] mong 23.02.22 806 11
186914 미니 잡담: 내년의 엑시노스 시리즈는 3종 세트일 것인가? [8] Section31 23.02.22 1205 4
186913 미니 이번에 4050 잘나왔네요 ㄷㄷ [4] file 여가어딥미코 23.02.22 1048 5
186912 미니 나의 찾기가 배터리 많이 잡아먹나요? [8] 미세먼지주의보 23.02.22 1375 1
186911 미니 대박 Expert RAW도 이번 업뎃으로 50MP 촬영속도 빨라졌네요 [2] 흡혈귀왕 23.02.22 863 0
186910 미니 애플스토어 직원들은 알바(비정규직)인가요? [4] 어디로가야합니까 23.02.22 2034 2
186909 미니 갤캠스에서 2월 10일에 울트라 스블 사전예약 했는데 [6] Dydx 23.02.22 537 0
186908 미니 음? S23U 펌업후 카메라 어시스턴트 버그이려나요? [2] 흡혈귀왕 23.02.22 1021 2
186907 미니 23 플러스가 울트라보다 배터리 [5] OneUI2 23.02.22 912 3
186906 미니 폴드4랑 플립4 벌써 One UI 5.1.1 만드나 보는데요...? [1] 감비아도나츠 23.02.22 1031 1
186905 미니 음... 뱀독이 올라오는군요 [3] file Aimer 23.02.22 1136 1
186904 미니 엑시노스 1380의 GPU 클럭은 상당히 고클럭 세팅이군요 [4] Section31 23.02.22 1053 2
186903 미니 HEIF 볼수있는건 HEVC 디코딩을 지원해야 볼수있나요? [7] dlwlrma 23.02.22 474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