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커널 파일 기반 , 2200~2400 GPU 정보(개정)
- Section31
- 조회 수 623
- 2023.03.13. 17:17
** X: Xclipse
** 현재 엑시노스 2200의 GPU 등에 RDNA2 기반의 다른 제품들처럼 ACE(비동기 컴퓨트 엔진)가 있는지 확실치 않아서 일단 뺐습니다. 만약 ACE가 있음이 확인되면 이를 추가하여 표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 용어설명
- SP: Stream Processor / 스트림 프로세서. 퀄컴 Adreno GPU의 ALU에 대응합니다.
- TU: Texture Mapping Unit / 텍스쳐 매핑 유닛
- ROP: Render Output Pipeline / 렌더링 출력 파이프라인
- ACE: Asynchronous Compute Engine / 비동기 컴퓨트 엔진
- GP: Geometry Processor / 기하 프로세서
- PU: Primitive Unit / 프리미티브 유닛 (GP의 연산효율을 보조)
- RA: Ray Accelerator / 레이 액셀러레이터 (하드웨어 기반 레이 트레이싱)
- RZ: Rasterizer (래스터라이저)
덧붙이는 말
1) 커널 파일 상으로는 Xclipse 930의 클럭이 1,402 MHz 라고 나와 있지만,
어제 모 회원분의 짐작으로는 만약 엑시노스 2300이 양산되어 나왔다면
GPU의 클럭은 아마도 최대 1.6 GHz 였을 것이라고 짐작하셨습니다.
2) 4LPE로 제조된 Xclipse 920의 클럭이 1,306 MHz 였으므로, 만약 실제로
2300이 양산되어 Xclipse 930의 클럭이 1,600 MHz대로 나왔다면,
4LPP가 4LPE 대비 확실히 공정상 성능과 수율이 개선되었다고 봐야 할 듯합니다.
3) 그렇다면, 4LPP+로 제조된다고 알려진 6 WGP짜리 Xclipse 940(가칭)의 클럭이
1.7 ~ 1.8 GHz까지 올라가는 것 또한,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 삼성이 만약 작정하고 드라이버 최적화를 한다면 드디어 GPU 경쟁에 있어서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4) 이제 남은 필요 데이터는 4LPP/4LPP+의 공정상 성능/수율 관련 최신 데이터입니다.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Galaxy S24 Ultra (If possible)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 이후 플랜: ????



(사실 이런 계산 별로 안 좋아하는데 그냥 해볼게요. 가정이 많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데 이 가정들이 비공개 정보랑 제조사 변덕에 휙휙 바뀌는 요소라서 맞을 확률이 너무 낮아서 하는 의미가 있나 싶어서 요즘 안 하거든요.)
GPU 클럭관련해서 엑시노스2200 대비 2300에서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를 보면
1. 공정
그 분 썰보면 2300 공정일 것으로 보이는 4LPP가 원래 4LPE 공정이 냈어야될 성능이라지요.
그리고 예전 xclipse 920 찌라시보면 1.8GHz는 TDP 10W이상으로 상정한 클럭이고 1.29GHz, 1.58GHz를 테스트했다고 했지요.
그리고 2200 출시 후 테스트보면 GPU 벤치마크시 소비전력이 9W 전후로 나오고요.
이걸 맞춰보면 2200은 전력을 TDP 한도 내에서 최대로 쓰는 셋팅으로 나왔고 그게 GPU 1.3GHz.
(긍정적으로 가정하면) 4LPE 공정이 제 성능을 냈으면 1.6GHz가 가능했을거라 볼 수 있고
그런 공정 조건인 2300 GPU가 2200 GPU와 사양이 같았다면 1.6GHz로 나왔겠지요.
2. 사양 변경.
그런데 2300 GPU는 사양이 증가했으니 클럭을 그대로 가져가는건 힘들겁니다.
CU가 33% 증가했으니 TDP가 같은 상태에서 단순 계산으로 1.2GHz가 나옵니다.
클럭이 낮아진거에 비해 전압은 더 떨어질거고 전력 여유가 생기니 1.2GHz보다는 높게 가져갈 수 있을거고요. (전성비 개선하는 기본 원리가 이거니...)
엑시노스나 스냅 CPU 전력-클럭-전압 사례로 대충 맞춰보면 CU 33% 증가에서 TDP 같게 가져가는 클럭은 -8% 정도로 나오네요.
1.6GHz에 반영하면 1.47GHz 정도.
그런데 이건 GPU에서 전력쓰는게 WGP만 있다는 가정 하에서 계산한거고 실제로는 논코어 영역도 상당해서 이 부분 전력 비중을 반영하면 동일 TDP 내에서 조건이 바뀌었을 때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는 앞선 계산보다 적어집니다.
이런걸 반영하면 커널상 1.4GHz라는건 의외로 실제 클럭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이네요.





WGP를 늘렸는데 클럭도 올린다..?? 아무리 수율이 올랐다고 하더라도 그건 너무 많은 전력을 소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차라리 낮은 클럭인걸 감안해서 WGP를 늘렸다고 봐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