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Oxc.suga

미니 디멘시티 9300은 성능 좋은 칩입니다. 그러나 잘 만든 칩일까요?

  • Oxc.suga
  • 조회 수 1070
  • 2023.11.14. 22:05

간단히 해석해보자면 잘 나온 칩입니다. 성능도 우수하죠. 동시기 칩들에 비교했을 때 근소한 우위를 갖고 있으니까요.

8G3 GPU 차력쇼, E2400의 Xclipse GPU 아키텍쳐 상의 오류, 저마다의 하자점이 있긴 하지만, 언더독으로서 분명한 단기적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단기적인 성과로는 충분치 못한 상황입니다. 업계 탑인 퀄컴은 일전부터 독점 체제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과점에 힘입어 플래그십 칩 공급가격이 200불, 20만원을 훌쩍 넘는 기괴한... 상황까지 오게 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장 과점은 일종의 바위입니다. 그리고 바위에는 필연적으로 작은 틈-요컨대 높은 가격으로 인한 대체제 필요성 대두-이 있고, 이러한 틈에 물이 스며 얼면 바위가 조각조각 깨지듯, 후발주자, 언더독이 해야 하는 건 이 시장의 작은 틈부터 침식하여 과점의 타당성, 구조에 타격을 입히는 방법이 유일합니다. 무얼 하든 시장 파이를 이길 수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는 존재치 않으니까요.

 

이러한 시장을 과점하게 된 계기로는 시리즈의 특장점, 요컨대 퀄컴의 경우에는 압도적인 모뎀 성능에 힘입어 초기 피쳐폰 시장부터 스마트폰 시장에 일찍이 진입하여 엄청난 양의 수요를 흡수했습니다. 삼성 S.LSI는 MX 사업부라는 비교적 우호적인 시장 수요와 팹리스인 퀄컴과는 다르게 17"부터 삼파(SF)를 보유한 일종의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약간의 오버룸이 있었다고 볼 수 있죠.

 

다만, 시간은 퀄컴에게 조금 더 많았습니다. 스마트폰을 위시한 스마트폰의 칩으로서의 통화, 통신 성능의 우위를 기반으로 ISP 강화, NPU 및 이와 유사한 기능 도입(*최소 SD835 시절) 등 S.LSI보다 한 발짝 씩 앞서서 최근 스마트폰의 성능을 구분짓는 역량 배양에 힘썼습니다. 

 

이건, 스마트폰에 단지 SoC만 탑재되었을 때, 그러니까 각 제조사의 전용 ASIC 실리콘 탑재를 상정하지 않았을 때의 이야기이긴 합니다.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들이 논코어 부분의 성능 격차를 좁힐 수 있겠죠. 하지만, 이게 가능한 건 중국 내 기업들에 한합니다. 시장 규모가 크고, 전세계 시장에 비하면 작을지 몰라도 CCP의 지원...(은 루머이긴 하지만, 내수/국제판 가격차이 등 심증이 있으니 채택하겠습니다.)이 이러한 이레귤러, 아웃라이어의 탄생을 낳았죠.

 

미디어텍의 칩셋은 중저가형의 설계에 머물렀습니다. 디멘시티 브랜드의 등장 이전까지는요. (19" Dimensity 1000 공개)

이제, 미디어텍은 저들의 선임자가 밟았던 절차를 급속으로 좁히지 않는다면 경쟁을 불허하는 상황에 놓인 겁니다. 

언더독으로서, 시장을 점유하는 가장 쉬운, 그러나 어려운 방법은 특정한 니치 시장을 점유하는 겁니다. 과거 미디어텍이 그러했듯이요.

 

싼, 그러나 플래그십 급 성능이라는 건, 19년도, 그러니까 SD845 이전까지는 존재하지 않던 개념이었습니다.

당장 최근의 기형적인 칩인 SD7+G2(SD8+G1의 다운클럭/캐시 삭제 버젼)도 디멘시티를 견제하기 위해서 내놓은, 예방적 성격이 짙은 칩이였죠. 탑재 기기가 극히 적으니까요.

신규 제품군을 구상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칩 디자인 역량을 상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미디어텍은 지난 십몆년간 쌓아왔던 세월이 허투루 지내왔던 것이 아니라는 걸, 시장에 알린 셈이죠.

 

그러나 싹수가 보인다고 해서 시장에서 살아남는 건 아닙니다.

브랜드의 DNA라고 불리는 건, 달리 말하면 시장에서 갖는 가치이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단시간 내에 쌓아 올린다는 건 어불성설이고, 몇 년간의 성공적인 시도가 누적되어야 비로소 논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거겠죠. 

 

당장 디멘시티의 미래를 걱정하는 건, 이러한 부분에서 일 겁니다. 까는 게 아니라, 걱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디멘시티는 신생브랜드이다.

2.신생브랜드로서 선발대의 성능을 따라잡아야 한다.

3.단순히 코어 성능만이 칩 성능의 전부는 아니다.

 

그리고, 논코어 분야의 성능을 배양하는 데 선발대는 크게 애를 먹었습니다. 

그 선례를 지혜롭게 이용한다면, 디멘시티는 상궤에 드는 노력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겠죠.

 

디멘시티가 안되기를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9300의 상태 만으로는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게 문제겠죠.

 

 

댓글
8
Oxc.suga
글쓴이
Oxc.suga 스퀴니 님께
2023.11.14. 22:34

"신규 제품군을 구상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칩 디자인 역량을 상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미디어텍은 지난 십몆년간 쌓아왔던 세월이 허투루 지내왔던 것이 아니라는 걸, 시장에 알린 셈이죠."

저두 미디어텍이 역사 깊고 다양한 제품군에서 많은 성과를 냈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만, 플래그십에서 요하는 사항들에 대한 성과에 대해서 논하자면 약간 갸우뚱해진다는거쥬...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Oxc.suga 님께
2023.11.14. 22:34

엇...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Oxc.suga 님께
2023.11.14. 22:35

죄송해요.

글을 읽다가 해당부분을 저도 발견해서 지운거라 ㅠ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2등 나르자
2023.11.14. 22:34

그나저나 삼성은 버린 말레기가 임모탈로 성장한걸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될듯 하군여;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나르자 님께
2023.11.14. 22:37

조금 신기하긴 합니다. 자세한 분석결과가 궁금해지는 똥말리... 아니 똥모탈리스

그러나 RDNA 계열로 가면서 면적 감소+직접 개선의 여지가 있었으리라 합리적 예측을 해볼 수도 있겠는데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Oxc.suga 님께
2023.11.14. 22:41

하지만 지금까지 보면, 클럭 올리기가 생각보다 잘 안돼보여서

앞으로의 길도 쉽지는 않아보인다는게 문제긴 하다고 봅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Section31 나르자 님께
2023.11.14. 23:50

말리는 면적 대 성능비가 워낙 파멸적이었던 것으로 악명이 높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장 엑시노스 9810의 Mali-G72 18코어 때려박은 게 아직도 생생하군요. 크흠...

그리고 이론상 성능(FP32 GFlops) 대 실성능 간의 괴리가 가장 극심한 게 말리라서...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2 13
핫글 미니 [잡담] PC 들일 때 맥이냐 윈도우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8] 불심 24.06.01 999 11
핫글 미니 삼성 무충 정책은 참 그지같네요.... [8] ntrial 24.06.01 658 4
핫글 미니 Cortex-X925 3nm에서 실질적 클럭은 3.6GHz 안팍이겠네요. [16] file 흡혈귀왕 24.06.01 853 4
203322 미니 잡담: 말리는 면적 대 성능비와 이론상 성능 대 실성능간 괴리가... [11] Section31 23.11.14 1088 2
203321 미니 Nothing이 낫싱폰에서 아이메시지 보내는 앱을 만들었다네요??? [7] Stellist 23.11.14 1006 6
203320 음향 원모어 땡처리에서 재밌는 물건을 주웠네여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3.11.14 714 4
203319 음향 소니 1000XM5 시리즈, LinkBuds 시리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 file 웽웽 23.11.14 643 1
203318 미니 확실히 그냥 프로의 다이나믹 아일랜드는 좀 답답합니다 [3] file 릅갈통 23.11.14 1025 5
203317 미니 s22+ OneUI6.0 Beta 4차 업데이트 올라왔습니다. [3] file 미붕붕드링크 23.11.14 785 2
203316 미니 '타이젠 OS' 재도약…삼성전자, 리부팅으로 소비자 가전 플랫폼 강화 [4] 우주안녕 23.11.14 1253 2
203315 미니 D9300이 전성비 나쁘지않은게 A720 덕도 있는듯하네요. [6] 흡혈귀왕 23.11.14 776 8
203314 미니 S23 정펌 대체 언제 나오나요... [24] 갤럭시S23 23.11.14 962 7
미니 디멘시티 9300은 성능 좋은 칩입니다. 그러나 잘 만든 칩일까요? [8] Oxc.suga 23.11.14 1070 4
203312 미니 S24 Ultra One thing I never revealed [6] file iceuniverse 23.11.14 2222 12
203311 미니 애플 리셀샵 윌리스 사업 종료 [10] file 잇흥 23.11.14 1005 5
203310 미니 S24시리즈 木業..? [13] file aleji 23.11.14 1350 7
203309 미니 Nvidia H200이 공개되었군요. [5] file 좌지우건 23.11.14 643 2
203308 미니 오랜만에 카툭튀 없는... [18] file 좌지우건 23.11.14 1386 19
203307 미니 갤럭시 오너님덜 장면별 최적 촬영 키고 사용하시나요? [10] 섹시킹 23.11.14 585 0
203306 미니 S24 펌웨어 복호화 [10] file 개🐶 23.11.14 1222 2
203305 미니 퀄컴.엑시.미디어텍도 칩크기자체를 키우네요..? [6] dlwlrma 23.11.14 692 0
203304 미니 4LPP+ 수율이 좋았다면 2400도 좀더 과감한 구성이 되었을텐데.. [13] 흡혈귀왕 23.11.14 1133 4
203303 미니 다이사이즈 키우는거는 이쪽도! [3] 좌지우건 23.11.14 525 9
203302 미니 요즘 은근 저스터치가 늘어나고 있네요 [1] 스퀴니 23.11.14 525 0
203301 미니 디멘9300 구성이 재미있긴 합니다 [1] 오스트리아산캥거루 23.11.14 432 5
203300 미니 근데 D9300이 8G3보다 싸다면 이건 짚고 넘어갈 문제긴합니다. [11] 흡혈귀왕 23.11.14 867 2
203299 미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입점 비용 [9] file 펄럭펄럭 23.11.14 1413 21
203298 미니 저는 다이 사이즈는 아무래도 상관없다 싶은게... [19] Stellist 23.11.14 770 9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